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인의 우울과 자살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5.01
22P 미리보기
노인의 우울과 자살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 수록지 정보 : 임상사회사업연구 / 2권 / 3호
    · 저자명 : 이민숙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결과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노인자살 문제와 관련하여 자살의 잠재적 원인인 노인우울을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와 우울, 노인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노인 우울에 어떤 영향을 주고, 우울이 노인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여 노인자살의 실태와 사회적지지, 우울이 노인 자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우울과 노인 자살방지를 위한 사회사업가의 개입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조사는 서울, 경기 일원에 위치한 노인종합복지관과 일반종합복지관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60세 이상 남, 여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법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노인들은 평균 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지지를 받고 있고, 사회적 지지가 노인우울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울정도는 평균 2.22(최대값 4.3)이고, 자살생각은 0.22(최대값 2.0)이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노인 자살생각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사회적 지지가 약하다고 느끼는 노인이 자살생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와 우울과의 관계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사회적 지지가 없다고 느끼는 노인이 심각한 우울에 빠지게 되는 것을 증명하였다. 노인의 우울정도는 자살생각에 대해 정적인 상관관계이고, 우울정도가 심한 노인일수록 자살생각을 많이 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사회적 지지는 노인자살에 대하여 우울을 매개로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또한 동거여부가 노인자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노인자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가 약화된 독거노인 중심으로 자살과 우울예방에 대한 사회사업적 프로그램과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어초록

    The goal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identify depression of the old, which affects suicide of the old, and which is a potential factor of suicide attempt along with a high prevalence rate, and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nd contemplation of suicide of the old. Further, in the present study, it was reviewed what effect the social support has directly on suicide of the old, in particular, where depression is mediated. In other words, it was specifically reviewed what effect the social support has on generation of depression of the old, and what effect the depression has on contemplation of suicide of the old.
    Through the review, the present researcher tried to provide a basis to establish social workers’ intervention strategy for the prevention of depression and suicide of the old by identifying the actual conditions of suicide of the old and the effect of the support and depression on suicide of the old. 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the following matters were set up: First, what level of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contemplation of suicide are the old aware of? Second, does depression mediate social support and contemplation of suicide?
    The object for the survey in the present study is old men and old women of over 60 years old who have been served by two welfare facilities for the old and two general welfare facilities, which are placed throughout Seoul and Kyonggi. The survey was made by conducting an interview by use of questionnaires. As means for the survey,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validation of suicide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SPSS 10.0 was used in analyzing frequency,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route with respect to each vari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for the old who responded to the present survey is average 3.85(maximum value of 5.0), which shows that the old have received a relatively high level of support. Further, it was analyzed that social support is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of the old.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level of depression is average 2.22(maximum value of 4.3) and contemplation of suicide is 0.22(maximum value of 2.0).
    Second,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support is negatively related to contemplation of suicide of the old, which establishes that weakening social support may lead to contemplation of suicide of the old, i.e., the old who feel weakening social support contemplate committing suicide.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show a negative correlation and social support plays a very significant variable in depression of the old. That is, it was established that the old who feel lack of social support fall in a serious depression.
    The level of depression of the old has an affirmative relationship(which is the most important relationship in statistics and measurement) with contemplation of suicide and significantly affects contemplation of suicide of the old. It was proven that the more the old suffer from a severe depression, the more the old contemplate committing suicide. In the event depression is controll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variable and contemplation of suicide is reduced and depression plays a parameter.
    Through the study results as discussed above, it was proven that although social support critically affects contemplation of suicide of the old, the social support would indirectly(rather than indirectly) affect contemplation of suicide of the old, if depression were mediated. Namely, it was established that depression is the most dangerous factor in contemplation of suicide of the old, and whether the old live alone or together significantly affects suicide of the old. In order to protect the old from suicide, it would be advisable to provide the old, specifically, the old who live alone, with a prevention program against suicide and depression, and sufficient supports in terms of social work.

    Key Words: social support, depression, contemplation of suicide of the old, and parameter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임상사회사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