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이트헤드의 상대성원리(相對性原理)와 불교(佛敎)의 불이사상(不二思想) 비교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5.01
15P 미리보기
화이트헤드의 상대성원리(相對性原理)와 불교(佛敎)의 불이사상(不二思想) 비교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 8권 / 2호
    · 저자명 : 이태호

    목차

    화이트헤드 상대성원리에 나타난 불이사상
    불교의 불이사상(不二思想)에 나타난 상대성원리
    결(結)
    후 주
    참 고 문 헌

    초록

    “개별자는 어떠한 주체에 대해서도 술어가 되지 않으며, 다른 어떠한 주체 속에도 들어가지 않는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철학이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에서는 부정된다. 대신 개별자인 현실적 존재자는 다른 현실적 존재자 속으로 들어간다고 본다. 한 현실적 존재자가 다른 현실적 존재자 속으로 들어간다는 것은 본질적 관련을 가짐을 뜻하는데 이것을 화이트헤드는 내적 관련이라고 한다. 그는 모든 현실적 존재자가 이러한 내적 관련을 가지는 것에 주목하여 ‘보편적 상대성 원리’로 정립했다. 화이트헤드의 보편적 상대성 원리는 모든 현실적 존재자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다른 모든 현실적 존재자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실체란 존재하기 위해서 자기 자신 이외의 아무것도 필요로 하지 않는 존재자라고 밖에는 달리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는 데카르트의 언명을 부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실체는 개별자이며 현실적 존재자이다. 하나의 개별자가 존재하기 위해서 모든 개별자가 필요하다는 것은 한 주체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모든 대상들이 필요하다는 것인데, 이것은 불교의 아즉우주(我卽宇宙)의 불이(不二)사상을 나타내고 있다.
    불교의 불이사상은 고대인도의 우파니샤드철학부터 시작되었지만, 불교의 여러 경전에 나타나고 있다. 불이는 둘로 보이는 것들이 실은 ‘둘이 아니다’는 뜻이다. 중국 천태종에서는 십불이문(十不二門)을 말하고 있다. 그 열 가지 불이의 근저에 놓여있는 불이는 유무불이(有無不二)와 시비불이(是非不二)라 할 수 있다. 이 유무불이와 시비불이가 가능하기 위해서 천태종 산가파의 시조인 지례(知禮)가 선과 악의 용어를 예로 든 이물병합(二物相合), 배면상번(背面相翻), 당체전시(當體全是) 등의 시각이 필요하다. 이물병합은 산과 악이 체를 달리하면서 합해있는 이자합일(二者合一)의 모습이고, 배면상번은 선과 악이 동전의 양면처럼 자기동일(自己同一)의 모습이고, 당체전시란 선과 악이 둘인 당체 그대로 즉일(卽一)인 당체즉일(當體卽一)의 모습이다. 불교에서는 경전에 따라 위의 세 가지 중에서 선택해서 불이를 풀이하였지만, 당체전시가 가장 높은 수준의 해석이다. 둘인 당체 그대로 하나가 된다는 것은 실체철학에서 불가능하다. 그러나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에서 제시한 보편적 상대성원리는 가능하다. 이런 면에서 화이트헤드 유기체 철학의 보편적 상대성원리와 불교의 불이사상은 그 깊은 사고에 있어 서로 소통하고 있다.

    영어초록

    Whitehead's philosophy of organism denies the substantial philosophy of Aristoteles that a particular is neither asserted of a subject nor present in a subject. For the former asserts that an actual entity, particular enters into other actual entity. What an actual entity enters into other entity means an essential relation, Whitehead calls it an internal relation, whereby he established the principle of universal relativity. According to this principle, every actual entity has internal relation. Indeed, it is by the principle that in order that every actual entity exists, it needs every actual entity. It denies also Descartes's dictum which a substantial individual requires nothing but itself in order to exist. His substantial individual means the same as a particular or an actual entity in Whitehead. In the philosophy of organism, in order that a particular exists, it needs every particular. This is just like that in order that a subject exists, it needs every objects. This expression can be substitute for the Buddhistic not-two-ness of universe id est myself.
    This not-two-ness has been shown in various sacred books of Buddhism, though its origin is due to Upanisad of ancient India. It means that two concepts opposed or two facts incompatible are regarded not as being separate each other, but in fact, as one. In china, Tiantai's religion(天台宗) which is due to Buddhism, says also ten sorts of not-two-ness. Specially, two of them are considered as the basic of the rest. They are the not-two-ness of being and nothing, and the not-two-ness of right and wrong. But to comprehend the two, we must above all make out three dictions of Jire(知禮) : first, being together-good and evil(二物倂合), second, self identity-good and evil(背面相翻), third, one-id est-good and evil.(當體全是) Jire, the founder of the sect of SanGa which was derived from Tiantai, explained for example good and evil. His dictions have also each face : the first, being together-good and evil, which good and evil having each different body are coexist in one body, its face has a unite coexisting good with evil. the second, self identity-good and evil, which is like as a coin having both-sided, its face has a unite of good and evil as both-sided. the third, one-id est-good and evil. which good and evil have a common root, like as the heads of Medusa, its face
    has one, as it is, good and evil. According to various sacred books, Buddhism, having chosen properly one of the three and having explained it, placed the third at the highest level. However, it is impossible to comprehend the third by the substantial philosophy. On the contrary, by the principle of universal relativity which the organic philosophy of Whitehead presented, it is possible to comprehend it. in this case, Whitehead's philosophy and the Buddhistic not-two-ness, and so we can arrive at our conclusion, come profoundly to a mutual understanding with each other.

    Key Words : Whitehead, the Principle of universal relativity, the Buddhistic not-two-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