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과후 보육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5.01
22P 미리보기
방과후 보육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 수록지 정보 : 방과후아동지도연구 / 2권 / 1호
    · 저자명 : 한경순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부모­자녀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
    Ⅳ. 연구 방법
    Ⅴ. 연구 결과
    Ⅵ. 연구과제
    참 고 문 헌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보육서비스에 요구되는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을 촉진시키고, 이를 통해 아동의 심리․사회적 발달을 가져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해 밝혀 보고자 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주이야기’ 교육방법을 기초로 구성된 본 프로그램은 부모­자녀 의사소통의(p<.001)의 경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부모­자녀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먼저 수용성과 사교성으로 구성된 사회성에 있어서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수용성 발달에 효과가 있었으며, 사교성 발달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었다.
    세째, 부모­자녀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또래 정서성과 가족 정서성으로 구분되는데, 또래 정서성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가족 정서성(p<.001)의 경우,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한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겠다.
    1) 부모­자녀 의사소통향상 프로그램이 미진한 현 상황에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경험적 자료를 얻은 것이다.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고 아동의 사회, 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이 전무한 상황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 향상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됨으로써 방과후 보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2)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향상 프로그램의 적용 대상과 적용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다. 그동안 유아에게만 적용되어 왔던 ‘마주이야기 ’ 교육방법을 보다 다양한 대상과 공간, 특히 방과후 보육에서 아동에게 적용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3) 가정과 기관이 연계한 아동에 대한 공동양육기능의 가능성이다.
    기존의 프로그램들은 가정과의 연계성이 미진하였다. 본 연구자가 개발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으로 가족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의사소통기회를 자연스럽게 증진시킴으로써 자녀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통한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4) 부모­자녀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가정, 부모, 아동, 지역사회,기관을 포괄하는 보육프로그램이란 점에서 사회복지적 의의를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자가 개발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아동의 포괄적 발달을 지지하거나 최근에 요구되는 아동의 총제적 문제접근과 전문적 원조라는 교육및 사회복지적 관점의 방과후 보육서비스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아진다.

    영어초록

    The after-school childeducare(방과후아동보육) facilities have increased in number around the country. Their key role was to look after children instead of their working or absent parents. But from the late '90s there have been a strong requirement that they should help serve the childhood welfare(아동복지) and develop their positive personality.
    So through this study, I will present the so called "The Parents-Children Understanding Enhancement Program" which can be used to do the same in those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ure that this program can promote the mutual understanding of parents and children, and to verify that this program can have a positive and effective influence on their psycho-social development.
    A variety of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will be considered, but "Maju Iyagi education method"--The Face-to-face Story Telling or Listening to a Child--will be mainly applied in my Parents-Children Understanding Enhancement Program. That method was developed for preschoolers by Park moon hee who is Aram kindergarten general ledger. The key is to listen to a child and to be moved by their expressing themselves.
    To measure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my program, I used an organized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use of the program. And I analyzed the change of the children's reactions using SPSS 10.0, which is a social science statistics analysis package. The chief analysis technique is t-test and Pearson's inte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parents-children understanding, the experiment group showed more meaningful and positive changes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in the case of sociality, the experiment group showed more meaningful enhancement in being receptive, but less in being sociable. But roughly we can conclude that this program helps develop children's sociality.
    Third, in the case of emotionality,(정서성)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peer emotionality.(또래정서성) But in family emotionality(가족정서성), the result showed that the program enhanced it just a little bit in the experiment group.
    I should say that I have the limit to apply this program. I couldn't experiment this program in much more facilities, and I couldn't examine the effect of it in various regions and to a variety of objects. I cannot find yet why this program can't enhance the development of emotionality.think more factors and circumstances should be examined in detail. Nevertheless I could conclude this study is significant.
    Consequently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will be summed up as follows.
    1. By verifying ffectiveness of Parents-Children Understanding Enhancement program, we could get empirical data to supplement.enhance the after-school child care activities.
    2. It is possible that we expand the objects and range of the Parents-Children Understanding Enhancement program. The face-to-face story telling method can apply to the after-school child care, not to only the preschool children.
    3.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acilities can cooperate with the family in bringing up the childedcare. This program requires parents and other family members' active participation. And through their interactions, they can naturally become interested in their children and understand them.
    In the aspect of social welfare, this program has the significance.Because this program is a child care program into which the family, parents, local community and children participates, this program can satisfy the child care service, approach the whole problem-solving of the children and support their desirable develo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방과후아동지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3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