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공과 민간 부문간 협력관계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4.01
33P 미리보기
한국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공과 민간 부문간 협력관계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6권 / 1호
    · 저자명 : 김영종

    목차

    Ⅰ. 서 론
    Ⅱ. 사회복지서비스의 민간과 공공간 관계 모형
    III.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관계 유형 분석
    IV. 공공과 민간 협력체계의 과제와 방향
    Ⅴ. 결언 및 제언
    ■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복지서비스 수급체계에서 공공과 민간 부문이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알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공공과 민간-비영리 부문간의 적절한 협력관계의 유형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대안적 방향과 과제를 제시한다. 연구의 내용은, 재원 공급자로서의 정부와 서비스 제공자로서의 민간 비영리 조직, 그리고 이들을 규정하는 제도적 환경을 분석하여, 민간과 공공간의 관계 설정 유형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연구의 결과, 한국의 사회복지서비스는 재정 공급자와 서비스 제공자가 따로 분리되어 있는 일종의 협조형(collaborative)에 속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그 가운데서도 ‘동반자(partner)’ 모형보다는 ‘대행자(vendor)’ 모형에 보다 더 접근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대행자 모형은 상당한 제도적 견고성까지를 띠고 있어서, 현재와 미래의 공공과 민간 부문간의 관계 설정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의 제언으로는, 공공과 민간의 협력 특히 공공과 민간-비영리 부문간의 동반자적 협력관계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된다. 동반자적 협력체계로의 모형 구축을 위해서는, (1) 사회복지사업법을 비롯한 법적, 제도적 규범들에서 공공의 민간에 대한 통제 구조를 변화시키고, (2) 민간 서비스 조직들의 역량 강화를 통해 동반자로서의 지위 확보를 유리하게 하고, (3) 정부의 민간에 대한 지원방식을 변화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밝힌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find what relationship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re forming in social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in Korea.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come from government expenditures and the foundation records of private non-profit organizations in social welfare services. The methods of analysis are basically descriptive, and a normal framework of analysis is applied to the data to find what theoretical model is best fit to the situ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discourse on 'privatization' influences social welfare service fields so that the scope and role of each sector -public and privat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ctors need to be changed. The change from 'vendor' model to 'partner' model is suggest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direction, when there is a situation of intermingled development of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ree strategies are suggested to be appropriate for building partnership model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non-profit sectors: (1) changes on Social Welfare Service Act - loosening public control over the private sector, (2) strengthening private non-profit organizations - in order to balance the power in negotiating with the public sector, (3) changing the methods of public grant to the non-profit organizations - endowing more discretion to the recipient side or service producer while sustaining the ability of the public to plan, coordinate, evaluate, and control the outcom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행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