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황장애 집단 인지행동치료의 치료적 요인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3.01
11P 미리보기
공황장애 집단 인지행동치료의 치료적 요인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인지행동치료 / 3권 / 1호
    · 저자명 : 허유정, 최영희, 박기환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황장애의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알려진 집단인지행동치료에서 어떤 치료적 요인들이 치료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부가적으로 인지행동치료에서 환자들이 가장 도움을 받은 치료 구성요소가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공황장애로 진단 받고 집단인지행동치료를 받은 161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마지막 회기(12회기)에 환자들에게 Yalom의 치료적 요인척도와 집단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5가지 치료 구성요소 평가 척도를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치료를 마친 환자들을 대상으로 Barlow가 제안한 최종상태기능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12회기의 집단인지행동치료를 마친 환자들 중 상위 최종상태기능 집단에 속한 환자들은 하위 최종상태기능 집단에 속한 환자들에 비해 ‘지도’, ‘희망의 고취’, ‘집단응집력’, ‘자기이해’, ‘이타주의’, ‘동일시’, ‘가족재정립’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인지행동치료에서 가장 도움을 받은 치료구성요소로 평가된 것은 치료 초반부에 제시된 교정적 정보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황장애 집단인지행동치료에서 어떤 요인이 성공적인 치료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이 논의되었다.

    영어초록

    The authors intended to identify which therapeutic factors have crucial influence on treatment outcome in Grou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GCBT), which is known to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panic disorder. In addition, we examined which treatment component was the most helpful in GCBT. Therefore, 161 patients meeting DSM-IV criteria for panic disorder were assesed by Yalom's Curative Factors Questionnaire and asked to rank for five components of Panic Control Treatment(PCT, Barlow et al., 1994). The end-state functioning of each patient was examined in order to evaluate its results and all patients were devided into two groups of High End-State(HES) and Low End-State(LES). Results showed that after GCBT, the patients who belonged to HE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 guidance", "group cohesiveness", "altruism", "identification", and "family reenactment" factors than the patients who belonged to LES. Also, the most helpful component of PCT was psychoeducation, which was constructed to provide the corrective information for panic disorder. Finally, the authors discussed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 about the future research.

    Key words :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anic disorder, therapeutic factor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지행동치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