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7차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초등미술과 교수-학습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1.01
34P 미리보기
제7차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초등미술과 교수-학습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향미술교육논총 / 9호
    · 저자명 : 이규선, 류재만, 백중열

    목차

    1.서론
    2.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
    3.제7차 초등미술과 교육과정의 고찰
    4.제7차 초등미술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초등미술과 교수-학습 모형
    5.결론

    초록

    오늘날 학교 미술교육은 미술 전문가를 기르기 위한 것이 아니라 미술을 통해 인간의 성장을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이성과 감성의 조화로운 발달을 도울 수 있는 인성 교육적인 측면에서 미술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동시에 이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직업 교육적인 측면과 문화 교육적인 측면, 창조적인 자기 표현적인 측면이 함께 중요 시 되고 있다. 인간의 성장을 돕는 것은 미술교과만의 기능은 아니다. 미술교과 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살려 바람직한 인간의 성장을 도울 수 있도록 제7차 교육과정은 미술교과의 성격을 ① 미술은 느낌이나 생각을 시각적 조형언어를 통하여 창조, 발전시켜 나아가는 예술의 한 영역이다. 또, 미술은 그 시대의 문화를 기록하고 반영하기 때문에 우리는 미술문화를 통해서 과거와 현재를 이해하고, 나아가 문화의 창조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② 미술교과교육은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하여 주변 세계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향유할 수 있는 심미적인 태도와 상상력, 창의성, 비판적인 사고를 길러주고, 아울러 미술문화를 이해하며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인적인 인간을 육성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영어초록

    To make a progress of the seventh elementary art curriculum is that we reorganize every chapter and approach the new teaching-learning model which leads a better educational background.
    At the point of theory background for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we can see the fact that both understanding art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are focusing on the composition. We introduce how to reorganize the chapter for theoretical background of understanding art.
    For the seventh art educational curriculum, learners and teachers lead the activity of teaching-learning. Teachers should do their own role as a supporter, helper for their learners to let them do their best. So this can lead more active experiences of art education which satisfies the admitting of composition.
    To complete the goal of seventh art educational curriculum is that we find out their creativity for information of art, and give them a model of very right teaching-learning. This is generally based on the fact that we choose the focus of experiencing art, finding out art materials, theory, thoughts, imagination, and examination.
    It is very important for students interests, desire, their own choices, and free in the model of teaching-learning for seeking theory. When this model gives us theory of learning with teachers & students communication, we can choose and learn more specific theme, method of expressing. Generally, this model performs the procedures of coming up with thinking, drawing, experiencing, expressing, criticizing, and self-examination.
    The model of these two teaching-learning as above is not definite model but teachers do need to reorganize and perform flexibly, consider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of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향미술교육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