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소식 시의 선적 심상 고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4.12.16 최종저작일 2014.08
24P 미리보기
소식 시의 선적 심상 고찰
  • 미리보기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蘇軾 詩의 禪的 心象
    1. 諸行無常의 情趣
    2. 諸法無我의 人物
    3. 一切皆苦의 事件

    Ⅲ. 나오는 말

    본문내용

    Ⅰ. 들어가는 말
    문학작품을 감상하는 데 있어서 창작자의 내면세계에 대한 진지한 고찰 은 해당 작품의 바른 이해에 더욱 접근하도록 이끈다. 특히, 시문학 작품 에서는 다른 양식에 비해 개인의 정서나 사상이 간결한 언어에 응축되기 마련이므로, 시인의 내면세계를 모색하는 데에 있어서 詩語가 전개하는 화 면, 구성하는 풍격, 자아내는 정취 등에 내재된 함의를 규명하는 일은 중 대시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그리하여 본고는 그 규명의 실마리를 詩語를 비롯하여 詩句, 詩情, 詩風 등에 두루 비치는 ‘心象’에서 찾고, 이를 통해 시인의 내면세계를 살피어 작품의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한 하나의 길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고에서 언급하는 ‘心象’은 창작자가 외부 세계를 자신의 내면에 투영 한 마음의 그림인데, 이들의 함의는 만사와 만물을 담은 시인의 시선에 깃 든 그 내면의 심층을 살필 수 있는 매개가 된다.

    <중 략>

    七年來往我何堪, 又試曹溪一勺甘. 夢裏似曾遷海外, 醉中不覺到江南. 波生濯足鳴空澗, 霧繞征衣滴翠嵐. 誰遣山雞忽驚起, 半巖花雨落毿毿. 7년 세월 왕래한 일 내 어찌 견뎌 왔던가, 다시 조계의 法水 한 모금 맛보게 되었구나. 꿈속에서 바다 건너로 유배되었던 듯하더니, 취중에 나도 모르게 강남으로 왔노라. 물결 일어 발 씻노라니 텅 빈 골짝에서 물소리 들려오고, 자옥한 안개가 나그네 옷 두르나니 푸르스름한 이내가 적셔온다네. 누가 놓아준 걸까, 놀란 산새 홀연히 날아가버리고, 큰 바위산 위 꽃비는 흩날리며 떨어진다네. <過嶺二首・其二>35)
    蘇軾은 1101년 해배되어 강남으로 향하였다. 大庾嶺을 넘어 嶺南으로 되돌아가는 길에 들어오는 자연 경물의 모습을 통해 덧없이 흘러가는 인 생의 여정을 비추어본다. 惠州와 儋州에서 보낸 폄적의 7년 세월은 흡사 꿈속이나 취중과 같이 어리둥절하게 지나와 無常한 이치를 실감케 한다. 이로써 蘇軾은 無常하게 흘러가는 모든 것에 마음을 묶어 두지 않는다. 어떠한 생각도 내지 않고, 그저 홀연히 날아가는 산새와 흩날리며 떨어지 는 꽃비를 바라볼 뿐이다. 이처럼 호쾌하게 흘려보낼 줄 아는 蘇軾 본연의 내적 품성은 만사와 만물에 계합하는 원융한 미덕을 발휘하니, 이는 곧 대 자연의 도리에 합치되는 탈속감을 자아낸다.

    참고자료

    · Buljeon ganhaenghoe(Kim Dujae). The Surangama sutra. Seoul: Minjoksa,1994.
    · Cho Kyupaek. Sodongpa Si yeongu(A Study on SuShi). Seoul: Yeongnak,2012.
    · Dao Yuan(Yeokgyeongwiwonhoe). Jingde Chuan Deng lu. Dongguk Univ.Dongguk Yeoggyeongwon, 1986.
    · Guṇabhagra. Tsa a-han ching(Samyuktagama). Seoul: U paper, 2013.
    · Jin Hyeonjong. Hangwoneulo ilgneun palmandaejanggyeong(Reading theTripitaka Koreana). Seoul: Deulnyeok, 1999.
    · Jinsu(Kim Wonjung). Samkukji(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Seoul:Mineumsa, 2007.
    · Kim Jigyeon. The Diamond sutra. Seoul: Minjoksa, 1992.
    · Kong Fanii. Sushi Shiji(A Collection of Sushi's Poetry). Beijing: ZhonghuaShuju, 1987.
    · Shi Yahui(Jangyeon). Sodongpa seoneul malhada(Sudongpo talk aboutChan). Seoul: Gimyeongsa, 2006.
    · Sun Changwu. Chansi Yu Shiqing. Beijing: Zhonghua Shuju, 1997.
    · Wang Shuizhao(Cho Kyupaek). Sodongpa Pyeongjeon(Critical biographyof Su Shi). Seoul: Dolbegae, 2013.
    · Wang Shuizhao. Wang Shuizhao Zixuanji. Shanghai: Shanghai Jiaoyu,2000.
    · Zhang Chang. Chan yu Tang Song Shixue. Beijing: Xinxing Chubanshe,2010.
    · Zhuxi(Seong Baekhyo). Noneojipju(The Analects of Confucius Variorum).
    · Jeontongmunhwa Yeonguhoe, 1997.
    · Zhuangzi(An Byeongju). Chuang Tzu. Jeontongmunhwa Yeonguhoe,2001.
    · Cha Yeongik. A Study of Sushi’s literature works during the HuangzhouPeriod. Korea University, 2013.
    · Im Soyeong, A study on Sushi's works of Chanshi. Chung-Ang University,2009.
    · Park Yeonghwan. “Sosigui munhagirongwa seonjong” (literature theoryof Sushi and Zen Buddhism). Chinese literature 36(2001).
    · , Sushi Chanshi Yanjiu (A study on sushi’s Zen
    · poetry).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1991.
    · Tripitaka Koreana knowledgebase. http://kb.sutra.re.kr/
    · DB of Korean Classics. http://db.itkc.or.kr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