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과 | 국어국문학과, 일본학과, 도시콘텐츠∙관광학과 | 학년 | 1학년 |
---|---|---|---|
과목명 | 한국문화자원의이해1 | 자료 | 5건 |
공통 |
1. 백제의 건국세력이 고구려 계통임을 보여 주는 유력한 근거가 되고 있는 무덤 형식은 무엇인가? (3점) 2. 고분 규모와 부장물에서 다른 지방을 압도하는 신라 최고 지배층의 배타적인 묘제는 무엇인가? (3점) 3. 다음의 고구려 고분 중 사신도 벽화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 (3점) 안약 3호분 벽화, 쌍영총 벽화, 덕흥리 고분 벽화, 무용총 벽화, 각저총벽화, 수산리 고분 벽화, 강서고분 벽화 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단어는 무엇인가? (3점) 웅진 천도 후 백제 묘제는 ( ㉠ ) 이/가 사라지고 ( ㉡ ) 중심으로 통일된다. 5. 사찰의 건축물 중 자신을 낮추는 마음을 갖게 하는 것을 모두 나열하시오. (3점) 6. 영주 부석사의 안양문은 사찰의 삼문 중 어떤 문에 해당하는가? (3점) 7. 다음 빈칸에 들어갈 단어는 무엇인가? (3점) 탑의 층수는 ( ㉠ ) 에 있는 ( ㉡ ) 의 수로 결정된다. 8. 석가모니가 탄생 직후 “천상천하유아독존”이라 외치고 취한 수인은 무엇인가? (3점) 9. 다음 빈칸에 들어갈 단어는 무엇인가? (3점) 불상은 대부분 ( ㉠ ) 의 모습이나 보살상은 ( ㉡ )을/를 쓴다. 10. 다음은 삼신불 중 무엇을 의미하는가? (3점) 진리 자체로서의 모습 : ㉠ 수행의 과보로써 이룬 원만한 공덕의 부처님 : ㉡ 중생을 계도하기 위해 나타난 부처님 : ㉢ |
파일오류 | 중복자료 | 저작권 없음 |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
---|---|---|---|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