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과 | 미디어영상학과 | 학년 | 3학년 |
---|---|---|---|
과목명 | 미디어혁신과뉴스스토리텔링 | 자료 | 3건 |
공통 |
<문제> 아래 취재 내용을 토대로 ‘드라마 보는 중년 남자가 늘고 있다’는 요지의 기획 기사를 쓰세요. ▼2005~2010년 시청률 1~10위 드라마의 시청자 구성 비율 (%) ▼SK텔레콤 ‘호핀’ 광고=‘호핀’은 영상 콘텐츠 플랫폼. SK텔레콤은 최근 호핀을 광고하면서 연령대별로 광고물을 따로 제작. 20대는 남녀가 나란히 영화를 보는 장면. 30대는 남성이 코미디물을 웃으면서 보는 장면. 40대는 남자가 출퇴근길이나 회사, 집 침대에 누워 스마트폰으로 영상물을 들여다보며 엉엉 우는 장면임. 회사에선 비슷한 연배의 동료들과 같이 멜로물을 보면서 우는 장면. ▼홍길동 인터뷰 내용=45세. 대기업 팀장. “아내가 보니까 옆에서 같이 보기 시작했다. 가족들과 함께 드라마를 보면 공통된 얘깃거리를 찾을 수 있어서 좋다. 펀드매니저들 얘기가 나오는 ‘마이더스’나 요리사들 이야기인 ‘파스타’ 같은 전문 직업인들의 세계를 다룬 드라마를 보면서 새로운 정보도 얻는다. 드라마와 관련된 이야기를 알고 있으면 직장에서도 동료들과 어울리기 좋다. 부하 직원들이 드라마 얘기할 때 아는 척 하면 트렌디하고 감각 있다, 쿨하다는 이미지를 줄 수 있다.” ▼임꺽정 인터뷰 내용=40세. 중소기업 과장. “어릴 때부터 TV를 많이 보고 자란 세대다. 그래서 중년이 돼서도 드라마를 보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같다. 대학을 다닐때도 친구들과 드라마 이야기를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상이었다. 멜로 드라마도 좋아한다. ‘시크릿가든’은 한 편도 빼놓지 않고 다 봤다. 아내는 남녀 주인공이 서로 사랑을 확인하고 난 뒤 김이 새 더 이상 보지 않았지만. 몇몇 ‘마니아용’ 드라마의 DVD를 가지고 있다. 열혈 드라마 시청자라고 할 수 있다.” ▼김남복 인터뷰 내용=47세. 지방대학 교수. “아침 연속극을 특히 좋아한다. 아침 드라마를 놓치지 않으려고 출근하면서 볼 수 있는 DMB폰도 장만했다. 자녀가 어느 정도 독립할 나이가 되니 집에만 있던 아내가 밖으로 돌기 시작했다. 아이들은 아이들대로 얼굴도 보기 힘들다. 그래서 가정이 흔들릴 것 같은 불안감을 느낀다. 불륜, 가정 파괴 등 이런 불안감을 구체화한 아침 드라마를 보면서 나만 불안을 느끼는게 아니라거나, 나보다 더한 사람도 있구나 라는 생각에 묘한 위안을 느낀다. 드라마들은 결국 갈등이 봉합되며 해피엔딩을 맞기 마련인데 이런 결말에 안도감을 느낀다.” ▼김갑식 인터뷰 내용=40세. 인터넷 기업 대리. “완벽한 조건을 갖춘 주인공은 나의 롤 모델 역할을 한다. 남자 주인공을 동경하면서 그의 옷차림과 말투를 따라하기도 하고, 그가 가진 차를 갖고 싶다는 생각도 한다. 유능한 주인공이 나오면 일처리 하는 방식을 보면서 성공 비결 같은걸 배우기도 한다.” ▼오동영 인터뷰 내용=45세. 자영업자. “드라마에 나오는 자상한 남자들을 보면서 위기를 느낀다. 그러다 보면 스스로 집안일을 하기도 한다…. 아줌마들, 드라마 보는 남편을 구박하지 말라.” ▼이문원 인터뷰 내용=대중문화평론가. “남자들이 이전 세대에 비해 마초적인 성향이 줄면서 감성적인 대사와 스토리에 반응하는 것 같다. 사회 전반에 걸쳐 여성파워가 세지면서 남성 시청자들의 성향도 변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윤석진 인터뷰 내용=충남대 국문과 교수. 드라마 평론가. “가정에서는 ‘돈 버는 기계’로 전락하고, 밖에서는 치열한 경쟁에 내몰려 스트레스를 받는 중년 남성들이 살벌한 현실에서 도피해 드라마에서 위안을 찾는다. 막장 드라마의 온갖 극단적인 사례를 보면서 위안을 얻고, 현실과 달리 정의가 승리하는 줄거리를 보면서 상실감이나 박탈감을 해소할 수 있어 허구의 세계인 드라마에 중년 남성들이 빠져드는 것이다.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사는 것이 고단한 일반 남성들은 재벌 2세 캐릭터에 자신의 모습을 투사하고 싶은 욕망이 드라마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을 것이다.” |
파일오류 | 중복자료 | 저작권 없음 |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
---|---|---|---|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