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사원 채용과정의 방법과 기준 -면접전형
- 최초 등록일
- 2020.07.30
- 최종 저작일
- 2020.02
- 17페이지/
MS 워드
- 가격 5,000원

소개글
"신입사원 채용과정의 방법과 기준 -면접전형"관련 내용입니다.
목차
1. 면접의 중요성
2. 기업에 맞는 인재 선발
3. 면접준비
4. 면접의 방법
5. 면접의 종류
본문내용
1) 면접의 중요성
면접이란 면접관이 입사 후보자를 직접 만나 그의 인품, 언행, 지식의 정도 등을 알아보는 시험이다. 즉, 서류전형에 의한 근거자료를 바탕으로 직접 후보자와 면접관이 대면하여 질문과 대답이라는 과정을 통하여 잠재적인 능력이나 창의력 또는 업무추진력, 사고력 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으로 후보자의 능력에 대한 총체적인 정보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업은 더 이상 모범생 인재만을 선호하지 않는다. 기존 서류전형과 필기시험 위주의 채용방식에서 면접시험, 적성검사, 외국어 능력 평가 등을 중시하며, 기존의 채용방식으로는 입사 지원자의 인간성, 성장 가능성 등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기업이 원하는 인재를 선택함에 있어서 심층 면접을 통해 신중을 기하고 있다.
최근 많은 기업들이 면접에 많은 비중을 두거나, 개별면접이나 집단면접 식으로 두 세 차례의 면접을 거쳐 합격자를 결정하는 방법을 택하는 등 면접시험을 강화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면접은 서류전형(이력서, 자기소개서)에서 발견해 내지 못한 인물, 성격적인 장단점, 자세, 말씨, 행동, 직업관, 가치관, 표현력, 기본지식 등을 면접관이 질문을 통해 응시자를 종합 평가한다. 이 때 응시자가 가지고 있는 잠재력, 지도력, 적응력, 발전성 등 그 적성이 기업에 맞아 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느냐의 여부가 합격의 관건이 되는 것이다. 즉 기업에서 사원을 가려 뽑을 때 성적보다는 재목이 어떠한가를 중요시 하고 있다.
지난 4월 초, 한 채용정보사이트에서 기업 인사담당자 1416명을 대상으로 ‘채용 기준’에 대해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은 기업이(31.7%) ‘서류전형 30%, 면접 70%’의 비율로 입사 시험을 진행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
또한, 채용 시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에 대한 질문에는 ‘인성’과 ‘실무능력 및 경험’을 중시한다는 응답이 전체의 49%를 차지하였다. 입사지원서나 자기소개서/경력기술서에서는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어려운 항목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