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과학 1,2,3학년 화학 총정리
- 최초 등록일
- 2020.05.16
- 최종 저작일
- 2020.05
- 10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중학교 화학을 모두 정리했습니다.
목차
중1-1. 기체의 성질1
중1-2. 물질의 상태변화19
중2-1. 물질의 구성30
중2-2. 물질의 특성53
중3-1. 화학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71
[참고문헌]101
본문내용
중1-1. 기체의 성질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lk8lgbGp2jc&t=272s
기체를 이루는 입자의 특징 - 수박씨닷컴 안현정선생님
1. 물질을 이루는 입자
모든 물질은 아주 작은 알갱이로 이루어져 있다. 즉, 입자는 물질을 이루는 작은 알갱이이다. 공기(기체)도 눈에 보이지 않는 매우 작은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입자는 크기가 매우 작아서 눈에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입자를 표현하기 위해 간단한 시각적인 모형을 이용하기 마련인데 이것을 입자모형이라고 한다.
[참고] 교육과정이 변경 전-<입자를 분자로 설명>
* 입자(알갱이)
1. 원자: 일정한 질량과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물질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입자이다. 산소 원자(O)는 산소 기체의 성질을 가지지 않는다.
2. 분자: 몇 개의 원자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입자로, 물질의 고유한 성질을 가진다. 분자가 분해될 때 원자의 종류와 수는 변하지 않지만 물질의 성질을 잃게 된다. 수소(H2), 산소(O2), 오존(O3), 이산화탄소(CO2), 암모니아(NH2) 등이 있다.
3. 원소: 물질을 나타내는 성분을 나타내는 말이다. 종류의 의미를 가지며 추상적이고 셀 수가 없다.
⇨ 산소라는 원소(O)는 산소 원자(O)일 때는 산소 기체의 성질이 없고 산소 분자(O2)일 때 산소 기체의 성질을 가진다. 산소 원자(O)는 산소 기체의 성질을 가지지 않는다.
* 분자 더 알아보기
1. 분자 : 물질을 계속 쪼개어 나가면 결국 그 물질의 성질을 지닌 가장 작은 알갱이로 되는 데 이를 분자라 한다.
계속
쪼개면
더
쪼개면
∙ 분자는 2개 이상의 원자가 모여서 된 것이다.
∙ 분자가 쪼개지면 그 물질의 성질을 잃는다.
2. 분자 모형 : 분자는 너무 작아서 눈으로 볼 수 없으므로 이해하기 쉽도록 그림으로 나타낸다.
3. 분자로 나타낼 수 없는 물질들
[다이아몬드]
[염화나트륨]
[금속 구리]
이런 물질들은 분자라 부르지 않는다. 그 이유는 정확히 몇 개의 원자가 모여서 분자 1개를 이루는지 구별이 안 되기 때문이다.
※ 분자의 예
[물]
산소
[수소]
참고 자료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 <비상교육>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 <비상교육>
중학교 3학년 과학 교과서 <비상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