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63개
-
Home ventilator 가정용 인공호흡기 (적응증, Ventilator mode, Vent 알람, 대응법, Home ventilator 간호)2025.01.281. Home ventilator 가정용 인공호흡기 Home ventilator 가정용 인공호흡기는 무호흡 상태, 호흡부전, 산소 이산화탄소 수준 유지가 어려운 경우, 장기간 자동 환기가 필요한 경우, 뇌압 상승 및 심장질환 환자의 호흡 부담 감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주요 모니터링 지표로는 압력, 평균압, PEEP, 일회 호기량, 일회 흡기량, 분당 호흡수, 최대 흡기압 등이 있다. 2. Ventilator mode 자발 호흡이 없는 경우 CMV(Controlled Mandatory Ventilation) 모드를 사용하며, 자...2025.01.28
-
CPR이란?2025.01.161. 심정지 심장이 멎게되면 우리 몸으로 가는 혈액의 순환이 중단이 되고, 온몸으로 가는 산소공급이 중단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호흡이 정지가 되면 산소공급이 중단이 되고, 혈액내산소량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두 경우 모두 몸에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는 상태이며 결과적으로 세포가 손상을 받아 결국에는 사망에 이르게 된다. 2. 심폐소생술(CPR)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다시 뛰게 하는 것이 아닌, 모종의 이유로 제대로 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심장을 대신하여 외부 사람이 직접 해당 부위를 압박하여 심장이 할 일을 일부나마 대리해 ...2025.01.16
-
세브란스합격자, 실습ALL A+ DAR 간호진단_ 아주대 신경외과_NS2025.05.161. 비효율적 기도청결 대상자가 스스로 객담을 뱉지 못함을 관찰하였고, 호흡시 그르렁소리가 들림을 관찰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24시간 SPO2 모니터링, 1시간마다 RR 사정, 저산소증상 사정, suction을 통한 airway 확보, 진해거담제 투여, 산소요법, 객담배출기 적용, 수분섭취 및 hydration 요법, 반좌위 적용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suction 후 그르렁소리 없이 호흡이 관찰되었습니다. 2. 감염위험성 대상자가 brain metz 치료를 위해 방사선 치료를 받고 PICC와 정맥주사가 적용되...2025.05.16
-
정상 신생아 CASE (문헌고찰부터 퇴원요약지까지 전부 작성)2025.01.031. 신생아 정의 및 특성 신생아는 출생 후 4주까지의 영아를 말하며, 조기 신생아는 생후 7일까지, 후기 신생아는 생후 7일~28일까지의 신생아를 의미한다. 신생아는 체온조절, 조혈계, 수분과 전해질 균형, 위장관계, 신장계, 피부계, 근골격계, 내분비계 등에서 특성을 보인다. 체온조절이 어렵고, 혈액량이 적으며, 수분 저장이 힘들어 탈수가 쉽게 유발되고, 피부가 미숙하여 작은 자극에도 피부층 분리 및 수포가 발생할 수 있다. 2. 정상 신생아 신체사정 정상 신생아의 신체사정 항목으로는 활력징후(체온, 심박수, 호흡수, 혈압), ...2025.01.03
-
심폐소생술 수업자료 ppt2025.05.151. 심폐소생술 (CPR)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환자에서 멈추어진 심장의 자발순환을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응급처치 과정입니다. 성인, 소아, 영아에 따라 심폐소생술 시행방법이 다릅니다. 심폐소생술에는 기본 소생술과 전문 심장 소생술이 있습니다. 심폐소생술이 미흡하면 선진국보다 생존 및 뇌기능 회복률이 낮아, 100명 중 5명만 살아서 나온다고 합니다. 심폐소생술의 골든타임은 4분이며, 이 시간 내에 신속한 처치가 필요합니다. 2. 심폐소생술 순서 심폐소생술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의식확인 및 도움요청 2) 119 신고 및 자동...2025.05.15
-
아동 간호 진단2025.01.121. 분비물의 부적절한 배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간호 진단# 1 분비물의 부적절한 배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간호 목표 단기 목표 1. 3일 이내 환아는 분비물을 적절하게 배출하여 기침이 감소할 수 있다. 장기 목표 2. 10일 이내에 호흡음이 깨끗하고 일정하게 들릴수있다. 3. 10일 이내에 호흡수가 정상범위를 유지할 수있다.(20~30회/분) 간호 사정 간호계획(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간호평가 주관적자료(S-data) - 보호자: 보1. 호흡의 양상을 사정한다. 2. 수분을 충분히 제공하고 병실 주변을 건조...2025.01.12
-
중환자실 ventilator 인공호흡기 사용법 간단한 정리2025.01.111. 중환자실 ventilator 사용법 중환자실에서 ventilator(인공호흡기)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들을 정리했습니다. ACMV, PCMV, VCMV 등 다양한 ventilator 모드와 각 모드의 특징, 설정값, 알람 대처법 등을 설명했습니다. 또한 ventilator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과 예방법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2. ACMV (Assist Control Mechanical Ventilation) ACMV 모드는 완전 호흡 대체 모드로, 환자의 자발호흡을 무시하고 강제적으로 호흡을 제공합니다. 이로...2025.01.11
-
응급상황에서의 행동요령2025.01.081. 응급처치 필요성 및 법적 요건 응급처치는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1분 1초를 다투는 긴박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생명보험입니다. 사람은 심장마비 발생 후 4분 이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곧 죽음을 의미할 수 있기 때문에, 응급상황에 대처하는 처치자의 신속, 정확한 행동에 따라서 환자의 삶과 죽음이 좌우됩니다. 응급처치자는 동의, 명시적 동의 등 법적, 윤리적 문제에 대해 충분히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2. 응급처치 개념 및 기본지침 응급처치는 다친 사람이나 급성질환자에게 사고 현장에서 즉시 조치를 취하는 것을 말합니...2025.01.08
-
성인 실습 A+ 맞은 기흉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2025.05.101.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감염의 징후(부종, 발적)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3일 이내에 감염을 나타내는 수치가 감소할 것이다. 5일 이내에 대상자와 보호자는 감염 예방을 위해 배액관의 관리와 철저한 손씻기에 대한 내용에 대해 물었을 때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4시간마다 V/S와 SPO2를 사정하고, 혈액검사를 시행하여 Neutro 수치를 확인하였다. 흉부배액관 삽입부위를 매일 하루 두 번씩 사정하고 멸균적으로 관리하였다. 처방에 따른 항생제를 투여하고, 흉부배액관 감염관리 Check list를 1...2025.05.10
-
기본응급처치교육(CPR)2025.04.281. 응급처치 법적 의무 응급환자를 발견한 때에는 즉시 이를 응급의료기관 등에 신고하여야 하며, 응급의료종사자가 응급의료를 위하여 필요한 협조를 요청하는 경우에 이에 적극 협조하여야 한다. 심폐소생술을 모든 국민에게 교육하고 응급상황에서 시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국민의 기본 권리에 해당된다. 2. 선한 사마리아 법 선의의 응급 의료에 대한 면책을 규정하고 있다. 3. 생존사슬 기본응급처치, CPR(심폐소생술)이 포함된다. 4. CPR 정의 Cardio(심장), Pulmonary(폐), Resuscitation(살리는 기술)의 약자...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