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브란스합격자, 실습ALL A+ DAR 간호진단_ 아주대 신경외과_NS
본 내용은
"
세브란스합격자, 실습ALL A+ DAR 간호진단_ 아주대 신경외과_NS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05
문서 내 토픽
-
1. 비효율적 기도청결대상자가 스스로 객담을 뱉지 못함을 관찰하였고, 호흡시 그르렁소리가 들림을 관찰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24시간 SPO2 모니터링, 1시간마다 RR 사정, 저산소증상 사정, suction을 통한 airway 확보, 진해거담제 투여, 산소요법, 객담배출기 적용, 수분섭취 및 hydration 요법, 반좌위 적용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suction 후 그르렁소리 없이 호흡이 관찰되었습니다.
-
2. 감염위험성대상자가 brain metz 치료를 위해 방사선 치료를 받고 PICC와 정맥주사가 적용되어 있었습니다. 또한 lab 검사 결과 감염 징후가 있어 4시간마다 V/S 사정, 1일 1회 lab 검사, 해열진통제 투여, PICC와 정맥주사 부위 청결 유지, 감염 증상과 징후 교육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당일 감염 증상과 징후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
3. 비계획적 발관 위험성대상자가 folley catheter, L-tube, IV-line 등의 삽입관을 자주 제거하려 하고, MMSE 18점으로 인지기능 저하와 섬망이 관찰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라운딩마다 삽입관 고정상태 확인, 억제대 적용, 삽입관 관리 및 대처법 교육, 삽입관 주변 드레싱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당일 삽입관이 빠짐없이 유지되었습니다.
-
4.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대상자가 intracranial aneurysm(MCA)으로 진단받고 4vessel angiography 시술을 받았습니다. 이에 따라 4시간마다 V/S 측정, 혈압제제 투여, hydration 요법, ABR 적용, ICP상승과 혈전 증상 교육, 콜벨 사용법 교육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약물 복용 후 BP가 다소 안정적인 양상을 보였습니다.
-
5. 급성통증대상자가 intracranial aneurysm(MCA)으로 인한 두통을 호소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4시간마다 V/S 측정, 1시간마다 NPIS 점수와 양상 사정, 진통제 투여, 뇌혈관확장제 부작용 교육, ICP상승 예방 수칙 교육, 호흡요법과 이완요법 교육, 전환요법 교육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진통제 투여 후 NPIS 3점 이하로 확인되었습니다.
-
6. 심박출량 감소의 위험대상자가 CAOD, cardiogenic syncope 병력이 있었고, EKG와 심장효소 검사 결과 bradycardia와 1st degree AV block, 심장효소 수치 증가 소견이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4시간마다 V/S와 EKG 사정, 1일 1회 심장효소 검사, I/O 확인, 약물 투여, BR 취하기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당일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2차 손상을 예방할 수 있었습니다.
-
7. 출혈위험성대상자가 임시형 심박동기 삽입술을 받았고, aspirin과 heparin 등의 항응고제를 복용 중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매 duty마다 V/S 사정, 1일 1회 혈액응고검사, 시술부위 피부상태와 출혈징후 확인, 약물 용량 조절, 출혈 징후와 증상 교육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당일 시술부위 출혈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
8. 손상위험성대상자가 화장실 다녀오다 어지러워 넘어져 입원하였고, Lexapro 복용으로 인한 어지럼증이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매 duty마다 V/S와 증상 사정, 병실 내 위험요인 제거, BR 취하기, 안전한 신발 착용 교육, 낙상위험성 교육, 손상 예방 행동수칙 교육, air metris 적용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당일 신체 내외부 손상을 예방할 수 있었습니다.
-
9. 수술과 관련된 고체온대상자가 brain abscess로 CT based neuronavigation guided aspiration & drainage cath. insertion 수술을 받았고, 수술 후 체온 상승이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4시간마다 V/S와 1시간마다 체온 측정, 해열진통제 투여, 실내온도 유지, ice bag 적용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체온이 37.4~37.6도 사이로 유지되었습니다.
-
10.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대상자가 hypokalemia와 hyponatremia 소견이 있었고, 항경련제, 이뇨제, 소염진통제 등을 복용 중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1일 1회 전해질 검사, 피부상태 확인, 약물 및 소금 투여, 전해질 불균형 증상 교육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처방된 소금을 모두 섭취하고 식사량도 증가하여 전해질 불균형을 예방할 수 있었습니다.
-
1. 비효율적 기도청결비효율적 기도청결은 환자의 호흡기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습니다. 기도 내 분비물이 적절히 제거되지 않으면 호흡 곤란, 무기폐, 폐렴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간호사는 환자의 기도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 시 흡인이나 기관 내 흡인 등의 적절한 기도 관리 중재를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기침 능력, 가래 배출 정도 등을 평가하여 기도 청결 유지를 위한 간호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호흡기 합병증을 예방하고 건강한 호흡기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2. 감염위험성감염 위험성은 환자 안전에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의료기관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감염원으로 인해 환자들이 추가적인 건강 문제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호사는 철저한 감염 관리 절차를 준수하고, 환자의 감염 징후를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손 위생, 무균술 준수, 적절한 개인보호구 착용 등의 기본적인 감염 예방 활동을 수행하고, 감염 발생 시 신속한 대응 체계를 갖추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감염 예방 교육을 제공하여 환자 안전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의료기관 내 감염 발생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
3. 비계획적 발관 위험성비계획적 발관은 환자의 안전과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습니다. 기관 내 튜브나 중심정맥관 등의 의료기기가 의도치 않게 제거되면 호흡 곤란, 출혈, 감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호사는 환자의 의식 수준, 진정 상태, 진통 관리 등을 면밀히 관찰하여 비계획적 발관 위험을 사전에 파악하고 예방해야 합니다. 또한 의료기기 고정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고,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등 체계적인 관리 활동을 수행해야 합니다. 이와 더불어 환자와 보호자에게 의료기기 관리의 중요성을 교육하여 협력을 이끌어내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비계획적 발관으로 인한 환자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4.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비효과적 뇌조직 관류는 뇌 손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매우 심각한 문제입니다. 뇌로의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산소 공급이 부족해져 뇌세포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호사는 환자의 혈압, 심박출량, 뇌파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뇌 관류 상태를 지속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필요 시 승압제 투여, 체온 관리, 인공호흡기 조절 등의 중재를 통해 뇌 관류를 개선하고 뇌 손상을 예방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의식 수준, 신경학적 증상 등을 관찰하여 뇌 기능 저하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5. 급성통증급성통증은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통증으로 인해 환자는 스트레스와 불안을 경험하게 되며, 이는 회복 과정을 지연시키고 합병증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간호사는 환자의 통증을 정기적으로 사정하고, 진통제 투여, 온열 요법, 마사지 등 다양한 통증 관리 중재를 적절히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통증 관리의 중요성을 교육하여 협력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급성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
6. 심박출량 감소의 위험심박출량 감소는 심각한 순환기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 요인입니다. 심박출량이 감소하면 장기로의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조직 관류 저하, 쇼크, 다장기 부전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호사는 환자의 혈압, 맥박, 소변량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심박출량 감소 징후를 조기에 발견해야 합니다. 필요 시 수액 공급, 승압제 투여, 기계 환기 등의 중재를 통해 심박출량을 개선하고 순환기 기능을 안정화시켜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심혈관 기능을 지속적으로 평가하여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심각한 건강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7. 출혈위험성출혈 위험성은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매우 심각한 문제입니다. 수술이나 외상으로 인한 출혈은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출혈 관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간호사는 환자의 출혈 징후를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 시 지혈 처치, 수혈, 약물 투여 등의 중재를 신속히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출혈 위험이 높은 환자의 경우 출혈 예방을 위한 특별한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보호자와 협력하여 출혈 관리에 힘써야 합니다. 이를 통해 출혈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
8. 손상위험성손상 위험성은 환자의 안전과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습니다. 낙상, 화상, 압박 손상 등 다양한 형태의 손상이 발생할 경우 환자의 회복 과정이 지연되고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호사는 환자의 손상 위험 요인을 사정하고, 낙상 예방, 압박 손상 예방, 화상 예방 등 다양한 안전 관리 활동을 수행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손상 예방의 중요성을 교육하여 협력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손상 위험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
9. 수술과 관련된 고체온수술과 관련된 고체온은 환자의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습니다. 체온 상승은 감염 위험 증가, 대사 장애, 신경학적 합병증 등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호사는 수술 전후 환자의 체온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체온 관리 중재를 신속히 제공해야 합니다. 체온 조절 장치 사용, 수액 냉각, 해열제 투여 등의 방법을 통해 체온을 정상 범위로 유지하고, 고체온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을 예방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고체온의 위험성과 관리 방법을 교육하여 협력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수술과 관련된 고체온으로 인한 심각한 건강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10.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전해질 불균형은 환자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전해질 농도 변화로 인해 신경계, 근골격계, 심혈관계 등 다양한 장기 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호사는 환자의 전해질 수치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불균형 징후를 조기에 발견해야 합니다. 필요 시 수액 요법, 약물 투여 등의 중재를 통해 전해질 균형을 회복시켜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식이, 배설, 섭취량 등을 관찰하여 전해질 불균형 발생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예방 활동을 수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전해질 불균형으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