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5개
-
산후출혈 프로토콜2025.01.041. 산후출혈 Fatima sanogo 환자는 41주 4일 된 태아를 질식분만 후 산후출혈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분만 과정에서 2도 회음부 열상이 있었으나 즉시 교정되었고 태반도 자발적으로 만출되었습니다. 하지만 분만 후 출혈이 다시 시작되어 혈압이 낮고 맥박이 높은 상태였으며, 많은 양의 오로와 출혈이 있어 moderate rate bleeding으로 판단되었습니다. 또한 복부 통증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산후출혈 관리 프로토콜에 따라 신속한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1. 산후출혈 산후출혈은 산모의 생명을 위협할...2025.01.04
-
조기 산후 출혈 사례 연구(간호 과정 2개)2025.01.031. 조기 산후 출혈 조기 산후 출혈은 분만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한 출혈로, 출혈량이 많고 이환율이 높다. 주요 원인은 자궁퇴축부전과 지연으로 출혈이 지속되는 것이다. 증상으로는 불규칙적인 심하지 않은 출혈, 악취 나는 적색 오로 등이 있다. 진단을 위해 산모용 패드 확인, 자궁 검진, 자궁수축 및 오로 사정 등을 실시한다. 치료로는 자궁수축제 투여, 양손 자궁압박법, 수액 보충 및 수혈, 외과적 중재 등이 있다. 2. 산후 간호 산후 간호에서는 산모의 활력징후 측정, 질출혈과 오로 양상 사정, 자궁수축 정도 확인, 방광팽만 사...2025.01.03
-
여성건강간호학실습 사례연구보고서 (간호진단 3개)2025.05.101. 자궁 복구 부전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 산모의 오로 양이 증가되었고, 자궁 촉진 결과 약간 말랑한 상태로 확인되었다. 혈색소 수치가 낮아 자궁 복구 부전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분만 후 상처와 관련된 통증 산모가 회음부 절개 부위의 통증을 호소하였고, 상처 부위에서 약간의 출혈과 덜 아문 상태가 관찰되었다. 이는 분만 후 상처와 관련된 통증으로 볼 수 있다. 3. 분만 후 방광 민감도 저하와 관련된 배뇨 장애 산모가 소변 보기가 어렵다고 호소하였고, 방광 촉진 결과 팽만된 상태가 확인되었다. 초음파 ...2025.05.10
-
산후출혈에 대한 질병보고서 및 사례보고서2025.05.091. 산후출혈의 정의 및 원인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PPH)이란 고전적인 의미로 질 분만 후 500mL 이상 또는 제왕절개 분만 후 1,000mL 이상의 혈액 손실을 뜻한다. 산후출혈은 자궁무력증, 잔류태반, 열상, 혈종, 자궁퇴축부전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2. 산후출혈의 병태생리 자궁무력증, 잔류태반, 열상, 혈종, 자궁퇴축부전 등이 산후출혈의 주요 원인이다. 자궁무력증은 자궁의 과다 팽만이 중요한 위험요인이며, 잔류태반은 태반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아 출혈을 유발한다. 열상은 자궁경부,...2025.05.09
-
정상 자연분만(NSVD) 케이스 스터디2025.01.031. 정상 자연분만(NSVD) 정상 자연분만(NSVD)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고려하여 행해지는 자연스러운 분만 과정 중 하나입니다. NSVD는 적절한 간호 및 의료케어가 결합된 과정으로,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합니다. 이 케이스 스터디에서는 여성건강간호학의 관점에서 정상 spontaneous vaginal delivery의 케이스를 살펴보고, 간호사의 중요한 역할과 함께 여성의 건강을 어떻게 증진시키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NSVD의 중요성과 여성 건강간호사의 역할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2025.01.03
-
산후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 간호과정2025.05.011. 산후출혈 산후출혈은 산모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이다. 이와 관련된 체액부족 간호과정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진단적 계획으로는 활력징후 및 산소포화도 모니터링, 소변량 확인, 혈액검사, 중심정맥압 및 폐모세관 쐐기압 측정, 의식 수준 확인, 자궁저부 및 회음부 사정 등이 있다. 치료적 계획으로는 자궁 마사지, 다리 거상, 수혈, 자궁수축제 투여, 수액 공급 등이 포함된다. 교육적 계획에서는 산후출혈 증상, 정상 오로, 기립성 저혈압, 수분 섭취, 자궁저부 사정 방법, DIC 증상, 출혈 예방 등을 교육...2025.05.01
-
인수인계 예시2025.04.281. 병동 간호사 인계 병동 간호사 000이 ICR 8번 bed에 입원한 75세 여성 환자 ***님에 대한 인계를 제공합니다. 환자는 복수 천자 검사를 받기 위해 초음파실로 내려갔으며, 복위가 2.5cm 늘어나 인턴 의사가 관찰하고 있습니다. 혈압이 매우 예민하여 혈압 모니터링을 하며 내려갔습니다. 수혈 중 검사실에서 연락이 와 수혈하면서 내려갔고, 수혈 1팩을 2시간 정도 투여했습니다. 알부민 수치가 2.3으로 낮아 알부민 투여 중이며, 주요 수액 투여는 중단하고 노르에피네프린 주입만 지속하고 있습니다. 환자는 brain meta...2025.04.28
-
여성간호학실습 제왕절개 C/sec 케이스스터디(진단3, 과정3)2025.01.281. 제왕절개술 제왕절개분만(Cesarean section)은 복부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것이다. 우리나라 제왕절개분만율은 WHO 권고수준을 웃도는데, 이는 35세 이상 고령출산 비율의 증가와 반복된 제왕절개술 증가 때문이다. 제왕절개술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시행된다. 모체와 태아측 요인으로는 아두골반 불균형(CPD), 유도분만 실패, 자궁기능부전 등으로 인한 난산이 있고, 모체측 요인으로는 모체 질병, 중증 감염, 과거 제왕절개분만, 자궁수술의 경험, 난소종양이나 섬유종으로 인한 산도 폐쇄, 35세 이상의 초산부나 오랫동...2025.01.28
-
정상분만 케이스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3개)2025.01.031. 자궁 수축으로 인한 태아하강과 관련된 분만 통증 분만으로 인한 통증은 개인에 따라 지각하거나 표현하는 게 다르게 나타나는 주관적인 경험이기 때문에 정의하기 어렵지만 조직 손상과 관련되어 유발되는 불쾌한 감각과 정서적인 경험에 따라 대상자는 통증의 정도가 심하다고 본인이 말했으므로 이는 매슬로우 1단계인 생리적 욕구에 충족됨으로 1순위로 선정하였다. 대상자에게 호흡법을 교육하여, 스스로 분만 진행 동안 통증 완화를 위한 호흡법을 시행하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목표를 달성하였다. 2. 태아와 태반 만출과 관련된 출혈 위험성 혈액검...2025.01.03
-
[간호학과] 모성간호학 여성 자연분만 실습 NSVD 케이스보고서2025.05.111. 자연분만(NSVD) 자연분만(NSVD)은 산부가 만삭에 이르고 합병증 없이 한 명의 태아를 두정위로 24시간 이내에 질을 통해서 분만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상분만과정은 규칙적인 자궁수축, 자궁경관의 소실과 개대, 선진부의 지속적인 하강으로 이루어진다. 분만 과정은 분만 1기, 2기, 3기, 4기로 나뉘며 각 단계마다 특징이 있다. 분만 중 산모의 생리적 변화로 심박출량 증가, 맥박 상승, 혈압 상승, WBC 증가, 호흡수 증가 등이 나타난다. 분만 후 합병증으로는 출혈, 통증, 배뇨 장애 등이 있다. 2. 출혈 위험성 분만 후...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