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00개
-
서울대학교 A+ 생물학 실험 PCR, DNA technology2025.01.281. DNA 기술 DNA 기술은 생명과학 및 생명공학의 핵심적인 도구로, 유전 물질의 분석, 변형 및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기술 중 특정 유전자를 vector라 불리는 plasmid에 삽입하고, 그 유전자의 복제본을 생산하는 기술인 DNA cloning, 전기영동을 통한 분석은 유전자 연구와 다양한 생물학적 응용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Plasmid DNA Plasmid DNA는 세균 내에서 독립적으로 복제할 수 있는 작은 원형 DNA 분자로, 염색체 DNA와는 별개로 존재한다. Plasmid는 외래 유전자를 운...2025.01.28
-
[A+레포트] DNA 제한효소 예비레포트2025.01.221. 제한효소 제한효소는 생물이 자기 세포에 다른 종류의 DNA가 들어오면 이를 파괴하는 기능을 가진 효소이다. 유전공학에서는 재조합 DNA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특수한 효소로 알려져 있다. 제한효소에는 크게 3종류가 있으며, 모두 특정한 DNA 염기 배열을 인식한다. 유전공학에서 잘 사용되는 것은 II형 제한효소이며, 절단부위가 인식부위의 가운데 위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2.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 전기영동은 DNA와 같은 전하를 띠는 물질들을 전기적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분리하는 기술이다. DNA는 인산기에서 H+를 방출...2025.01.22
-
Reverse Transcription PCR 보고서2025.05.131. PCR의 정의 PCR은 Polymerase chain reaction으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말한다. DNA 분자 상에서 어떤 부분만의 염기서열을 증폭시켜 적은 양의 DNA로도 PCR을 통해 많은 DNA copy를 만들어 낼 수 있다. 2. PCR의 원리 및 방법 PCR은 DNA 가닥을 분리하고, primer가 주형가닥의 상보적인 염기서열에 결합하도록 한 후, Taq polymerase에 의해 새로운 DNA 가닥이 합성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많은 DNA 단편을 복사해 내는 기술이다. 3. PCR의 이용 PCR은 의학적 진단, 유...2025.05.13
-
레닌저 생화학 정리노트 Ch09. DNA 기반 정보기술2025.05.101. 유전체(genome) 생물의 완전한 하나의 반수체 유전자를 의미하며, 유전체학(genomics)은 DNA에 대한 학문으로 세포와 개체 수준에서 생화학을 연구하는 학문인 system biology에 기여한다. 2. 클로닝 유전자와 그 산물에 대한 연구를 위해 동일한 복제물을 만드는 것으로, 특정 개체의 복제물(organism cloning), 특정한 유전자나 DNA 단편의 복사물(DNA cloning)을 만들 수 있다. 재조합 DNA(recombinant DNA)는 2개 이상의 소스에서 공유 결합된 조각으로 구성된 복합 DNA ...2025.05.10
-
Analysis of PV92 Alu Insertion Frequency and Genetic Drift in Human Populations Using PCR, BLAST, and Hardy-Weinberg Equilibrium2025.01.231. PV92 Alu 삽입 PV92 Alu 삽입은 염색체 16번에 위치한 다형성 마커로, 인구 유전학 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실험에서는 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PCR, 겔 전기영동, BLAST 분석을 통해 PV92 Alu 삽입의 빈도를 조사하고, 관찰된 유전자형 빈도와 Hardy-Weinberg 평형에 따른 기대 유전자형 빈도를 비교하였습니다. 2. 유전적 부동 실험 결과와 BioServer 데이터 분석을 통해, + 대립유전자(Alu 삽입 있음)는 아시아와 남미 지역에서 더 높은 빈도를 보이고, - 대립유전자(Alu ...2025.01.23
-
아주대 생명과학실험 Plasmid DNA 추출2025.01.131. 플라스미드 DNA 플라스미드 DNA는 원핵세포의 세포질 및 진핵생물의 세포 소기관에서 발견되는 작고 원형의 이중 가닥 DNA 분자이다. 이 DNA 조각들은 자율적으로 복제할 수 있으며, 세포의 염색체 DNA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플라스미드는 보통 추가적인 유전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특정 환경 조건에서 숙주 세포에 유익할 수 있는 기능들을 부여한다. 2. 제한효소 제한효소(EcoRI)는 플라스미드 DNA를 실험실에서 조작하기 위한 주요 도구이다. 이 효소는 특정 짧은 DNA 서열을 인식하고 절단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2025.01.13
-
DNA 결합효소 실험 결과 보고서2025.01.221. DNA 제한효소 실험에서 HindⅢ와 EcoRⅠ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Lambda DNA를 절단하였다. 이론적인 digestion 결과와 실제 실험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DNA Ladder marker를 이용하여 DNA 크기를 추정하였다. 또한 DNA 밴드의 끌림 현상과 DNA 밴드의 굵기에 대해 고찰하였다. 2. 전기영동 실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제한효소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HindⅢ, EcoRⅠ 각각 사용한 경우, 그리고 두 효소를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전기영동 ...2025.01.22
-
RNA 추출, cDNA 합성 및 qRT-PCR2025.01.181.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은 DNA의 상보적 가닥에 결합하는 2개의 프라이머를 동시에 사용하여 증폭을 원하는 DNA의 특정 영역만을 in vitro에서 복제, 증폭하는 기술이다. 3단계를 거쳐 DNA를 복제하는데, 변성, 결합, 신장 과정을 반복하여 DNA를 증폭시킨다. 2. RT-PCR (Reverse Transcriptase PCR) RT-PCR은 유전자에서 만들어진 RNA에서 역전사효소를 이용하여 cDNA를 생성한 후, cDNA를 주형 가닥으로 PCR을 수행하여, 유전자의 RNA 발현...2025.01.18
-
제한효소 처리 DNA 전기영동 보고서2025.05.051. 제한효소 제한효소는 세균이 가지고 있는 DNA를 자르는 효소이다. 외부 바이러스의 DNA를 절단하여 자기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제한효소는 그 종류마다 4개 또는 6개의 염기서열을 인식하여 DNA를 절단하며, 이러한 특징 때문에 DNA 클로닝 등에 사용되고 있다. 2. 전기영동 전기영동은 전기장의 영향으로 전하를 띄는 물질이 유동성 매체에서 이동하는 원리를 이용한 기술이다. DNA는 음의 전하를 띄고 있기 때문에 전기를 걸어주면 양전하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DNA 가닥의 길이에 따라 이동 속도가 달라지므로, 이를...2025.05.05
-
Plasmid DNA의 제한효소 절단 및 전기영동2025.01.221. 플라스미드 DNA 플라스미드는 vector의 한 종류로, 염색체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원형의 DNA이다. 스스로 복제할 수 있고, 유전될 수 있으며 외부의 유전자를 포함해 전달될 수 있다. 2. 제한효소 제한효소는 DNA를 자를 수 있는 효소를 말하는데, DNA 분자의 특정한 염기서열에 결합해 DNA를 절단한다. 이렇게 절단된 DNA 조각은 전기영동을 통해 분리될 수 있다. 3. 전기영동 전기영동은 슬러리 내의 전하를 가진 입자들에 전기를 가하게 되면 각자 가진 전하의 반대되는 극성을 띠는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