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NA 추출, cDNA 합성 및 qRT-PCR
본 내용은
"
세포생물학실험 만점(A+) 실험 보고서(레포트) 06. RNA 추출, cDNA 합성 및 qRT-PCR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09
문서 내 토픽
-
1.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PCR은 DNA의 상보적 가닥에 결합하는 2개의 프라이머를 동시에 사용하여 증폭을 원하는 DNA의 특정 영역만을 in vitro에서 복제, 증폭하는 기술이다. 3단계를 거쳐 DNA를 복제하는데, 변성, 결합, 신장 과정을 반복하여 DNA를 증폭시킨다.
-
2. RT-PCR (Reverse Transcriptase PCR)RT-PCR은 유전자에서 만들어진 RNA에서 역전사효소를 이용하여 cDNA를 생성한 후, cDNA를 주형 가닥으로 PCR을 수행하여, 유전자의 RNA 발현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
3. qRT-PCR (Quantitative Real-Time PCR)qRT-PCR은 PCR 기반 실험 방법으로, PCR 과정 중에 증폭되는 산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통해 시료에 존재하는 초기 DNA의 양을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이다. 형광 검출법을 사용하여 DNA 분자의 증폭과 양의 측정을 동시에 수행한다.
-
4. RNA 추출Trizol을 이용하여 세포막을 파괴하고 RNA만 선택적으로 분리한다. Chloroform으로 RNA 층을 분리하고, Isopropanol로 RNA를 침전시켜 정제한다. DEPC-water로 RNase를 제거하여 RNA를 보호한다.
-
5. cDNA 합성역전사 효소를 이용하여 mRNA를 거쳐 엑손만이 존재하는 형태의 cDNA를 합성한다. Oligo dT 프라이머와 랜덤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cDNA를 만든다.
-
6. Gapdh와 Trail 유전자Gapdh는 세포유지유전자로 발현이 일정하여 대조군으로 사용된다. Trail은 종양 괴사 인자 연관 apoptosis 유발 리간드 유전자로, 그 발현 변화를 확인한다.
-
7. Nano drop분광광도계의 일종으로 RNA, DNA, 단백질 등의 양과 순도를 측정할 수 있다. A260/A280 비율로 핵산의 순도를, A260/A230 비율로 salt 제거 정도를 확인한다.
-
8. △Ct와 △△Ct△Ct는 target gene과 reference gene의 Ct값 차이로, 전체 DNA 양을 보정한 값이다. △△Ct는 대조군 대비 target DNA의 발현양 변화량을 나타내는 fold change 값이다.
-
1.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은 DNA 증폭 기술로, 극소량의 DNA 시료에서 수백만 개의 복사본을 만들어내는 기술입니다. PCR은 유전자 분석, 질병 진단, 범죄 수사, 고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CR 기술은 DNA 증폭을 위해 열변성, 프라이머 결합, DNA 합성의 3단계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목표 DNA 서열을 지수적으로 증폭할 수 있습니다. PCR은 민감도와 특이성이 높아 미량의 DNA도 검출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정확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오염 문제, 비특이적 증폭, 정량화의 어려움 등 한계점도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
2. RT-PCR (Reverse Transcriptase PCR)RT-PCR (Reverse Transcriptase PCR)은 RNA 시료에서 DNA를 합성하고 이를 증폭하는 기술입니다. RNA는 DNA와 달리 직접 PCR 증폭이 어려워 역전사 효소를 이용해 cDNA로 변환한 후 PCR을 수행합니다. RT-PCR은 RNA 발현 분석, 바이러스 검출,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이 기술은 매우 민감하고 특이적이어서 극소량의 RNA도 검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량적 분석이 가능해 유전자 발현 수준을 정량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RNA 추출, cDNA 합성, PCR 최적화 등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실험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3. qRT-PCR (Quantitative Real-Time PCR)qRT-PCR (Quantitative Real-Time PCR)은 RT-PCR 기술을 발전시킨 것으로, RNA 발현 수준을 실시간으로 정량화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qRT-PCR은 형광 염료나 프로브를 이용해 PCR 증폭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정량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목표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qRT-PCR은 유전자 발현 분석, 병원체 검출,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기존 RT-PCR보다 민감도와 정확도가 높으며, 실험 시간도 단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RNA 추출, cDNA 합성 등 복잡한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며, 최적화가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4. RNA 추출RNA 추출은 생물학 실험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정확한 RNA 추출은 후속 실험의 성공을 좌우하기 때문입니다. RNA 추출 방법에는 페놀-클로로포름 추출법, 컬럼 정제법, 자성 비드 기반 추출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각 방법마다 장단점이 있어 실험 목적과 시료 특성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페놀-클로로포름 추출법은 고순도의 RNA를 얻을 수 있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고 유기 용매를 사용해야 합니다. 반면 컬럼 정제법은 빠르고 간단하지만 수율이 낮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자성 비드 기반 추출법은 자동화가 가능해 고효율적이지만 장비 구입 비용이 높습니다. 따라서 실험 목적, 시료 특성, 예산 등을 고려해 최적의 RNA 추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
5. cDNA 합성cDNA 합성은 RNA 분석 실험에서 필수적인 단계입니다. RNA는 직접 PCR 증폭이 어려우므로 역전사 효소를 이용해 DNA 상보 가닥인 cDNA로 변환해야 합니다. cDNA 합성 과정에서는 RNA 시료의 특성, 목적 유전자, 실험 목적 등을 고려해 적절한 프라이머와 반응 조건을 선택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oligo(dT)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mRNA를 선택적으로 역전사하거나, 랜덤 헥사머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모든 RNA를 역전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고자 할 경우 gene-specific 프라이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cDNA 합성 효율은 실험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최적의 조건 설정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RNA 품질 확인, 프라이머 선택, 반응 조건 최적화 등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
6. Gapdh와 Trail 유전자Gapdh와 Trail 유전자는 유전자 발현 분석에서 자주 사용되는 유전자입니다. Gapdh(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는 세포 내 대사 과정에 관여하는 housekeeping 유전자로, 다양한 세포와 조직에서 안정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Gapdh는 유전자 발현 분석의 내부 대조군(reference gene)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한편 Trail(Tumor necrosis factor-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은 세포 자살 신호를 전달하는 유전자로, 암 세포 사멸 유도에 관여합니다. Trail 유전자 발현 분석은 암 치료 효과 평가, 암 세포 내성 기전 연구 등에 활용됩니다. Gapdh와 Trail은 유전자 발현 분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실험 조건에 따라 발현 수준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내부 대조군 선택과 발현 정규화가 필요합니다.
-
7. Nano dropNano drop은 극소량의 시료로도 빠르고 정확하게 핵산(DNA, RNA) 농도와 순도를 측정할 수 있는 분광광도계 장비입니다. Nano drop은 시료 소모량이 적고 측정 시간이 빠르며, 정확도와 재현성이 높아 유전자 발현 분석,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등 다양한 분자생물학 실험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Nano drop은 시료의 260nm 흡광도를 측정하여 핵산 농도를 계산하고, 260/280nm 흡광도 비율을 통해 단백질 오염 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험에 적합한 고순도의 핵산 시료를 선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Nano drop은 소량의 시료로 측정하므로 균일성이 중요하며, 시료 오염이나 기포 발생 등에 주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Nano drop 측정 결과는 다른 방법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8. △Ct와 △△Ct△Ct와 △△Ct는 qRT-PCR 데이터 분석에 사용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Ct는 목표 유전자의 Ct 값에서 내부 대조군 유전자의 Ct 값을 뺀 값으로, 목표 유전자의 상대적인 발현 수준을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시료 간 RNA 양의 차이를 보정할 수 있습니다. 한편 △△Ct는 실험군의 △Ct에서 대조군의 △Ct를 뺀 값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간 목표 유전자의 상대적인 발현 차이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Ct 값을 2^(-△△Ct)로 변환하면 실험군의 목표 유전자 발현 수준을 대조군 대비 배수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Ct와 △△Ct는 qRT-PCR 데이터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지표로, 실험 설계와 데이터 해석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유전자 발현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9. Nano dropNano drop은 극소량의 시료로도 빠르고 정확하게 핵산(DNA, RNA) 농도와 순도를 측정할 수 있는 분광광도계 장비입니다. Nano drop은 시료 소모량이 적고 측정 시간이 빠르며, 정확도와 재현성이 높아 유전자 발현 분석,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등 다양한 분자생물학 실험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Nano drop은 시료의 260nm 흡광도를 측정하여 핵산 농도를 계산하고, 260/280nm 흡광도 비율을 통해 단백질 오염 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험에 적합한 고순도의 핵산 시료를 선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Nano drop은 소량의 시료로 측정하므로 균일성이 중요하며, 시료 오염이나 기포 발생 등에 주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Nano drop 측정 결과는 다른 방법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분자생물학실험]Quantitative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qRT-PCR) 3페이지
Quantitative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qRT-PCR)1. 실험 목적가. 추출된 RNA로 합성한 cDNA를 이용하여 RT-PCR을 진행하고, 특정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을 비교하여 sample을 평가한다.2. 실험 이론 및 원리가. Housekeeping gene의 이용housekeeping gene이란 세포에서 높은 수준으로 항상 발현되어 유지되는, 세포 생명활동에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유전자의 총칭이다. 외부 자극에 의해 발현이 크게 변하지 않는 특성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액틴...2021.11.18· 3페이지 -
유전발생생물학실험_RT-reaction, qRT-PCR.hwp 6페이지
Ⅰ. 서론Reverse transcription이란 RNA를 주형으로 해서 cDNA로서 RNA의 염기순서를 전사하는 반응이다. 이는 레트로바이러스를 생육하기 위해서는 DNA합성이 무조건 필요하다는 연구를 시작으로, 역전사효소를 발견하며 증명되었다. Reverse transcription은 central dogma에서 RNA에서 DNA로 가는것도 있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 중요하다. 여기에는 Random hexamer, dNTPs, RNase inhibitor, Reverse transcriptase가 필요한데, Reverse tran...2024.04.03· 6페이지 -
[충남대] 유전발생생물학실험 - RT-reaction & qPCR 6페이지
< 유전·발생생물학실험 보고서 : RT-reaction & qPCR >Ⅰ. 서론DNA의 유전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은 DNA → RNA → 단백질 순서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유전정보의 중심원리 즉 Central Dogma라고 한다. DNA의 정보가 RNA로 전달되는 과정을 전사(transcription), RNA에서 단백질이 합성되는 과정을 번역(translation)이라고 한다. DNA가 자신을 복제(replication)함으로써 유전정보는 증식되어 나간다. 전사 결과 만들어진 mRNA는 가공 과정을 거친다. 가공 과정은 인트론을 제...2023.12.08· 6페이지 -
RT-PCR의 원리와 과정 및 활용사례 6페이지
‘RT-PCR’: Reverse Transcription PCR, Real-time PCRRT-PCR이란 줄임말로서, Reverse Transcription – Polymerase Chain Reaction과 Real –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의 두 가지가 있다. 전자는 ‘역전사 중합 효소 연쇄 반응’이라 하며, 후자는 ‘실시간 중합 효소 연쇄 반응’이라 한다. 먼저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이란 특정한 DNA 연속부분을 증폭하는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의미한다. PCR은 지...2020.12.14· 6페이지 -
[식품분석학실험]DNA extraction & qRT-PCR 10페이지
DNA extraction & qRT-PCR1. 실험 목적가. 경상도 지방 김치에서 균주를 분리하여 DNA를 추출하고, qRT PCR을 통하여 Lactobacillus와 같이 프로바이오틱스의 특성을 보이는 균주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본다.2. 실험 이론 및 원리가. DNA extraction1) Bead beating박테리아의 세포로부터 DNA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세포를 깨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때, bead를 이용하는 과정을 bead beating이라고 한다. 이 방법은 Tim Hopkins가 1970년대 후반에 고안한 방법으...2020.03.15· 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