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7개
-
분만장에서 쓰이는 약물2025.01.121. Eruvin - methergin Eruvin - methergin은 1 앰플(1mL) 중 Methylergometrine maleate 0.2mg을 함유하고 있으며, 다음의 경우 출혈의 방지 및 치료에 사용됩니다: 태반 만출 후, 분만 후, 제왕절개술 후, 유산 후 출혈, 자궁퇴축부전. 보통 말레인산메칠에르고메트린으로서 1회 0.1-0.2mg을 정맥주사 또는 1회 0.2mg을 피하 또는 근육 주사합니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임부 및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 분만 중인 여성, 자간...2025.01.12
-
장폐색 케이스스터디 (자료꼼꼼함, A++++자료, 간호진단2개, 퇴원교육포함)2025.01.121. 장폐색의 정의 장폐색은 장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서 음식물, 소화액, 가스 등의 장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유문에서 직장까지 어느 부위에서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 소장에서 발생하고 약 15%만이 대장에서 발생한다. 기계적인 원인으로 인해 장이 막히는 경우는 기계적 장폐색(mechanical obstruction)라고 하고, 장의 운동이 중지되어 기능적으로 폐쇄되는 경우에는 마비성 장폐색(paralytic lleus)라고 한다. 2. 장폐색의 원인과 위험요인 장폐색은 장관의 염증,...2025.01.12
-
건강사정 실습 총정리2025.04.281. 위장관계장애 위장관계는 입, 구인두, 식도, 복강으로 구성되며, 복강은 공동기관(내용물에 의해 형태가 만들어짐)과 고형기관(원래 형태를 유지)으로 구성됩니다. 4분면(우상사분역, 우하사분역, 좌상사분역, 좌하사분역)으로 나뉘며, 복벽 청진과 촉진 시 중요한 부위입니다. 소화는 음식이 구강에서 시작하여 위, 십이지장, 췌장, 담즙 등을 거쳐 대장으로 이동하는 과정입니다. 2. 심혈관계장애 심장은 속이 빈 근육성 기관으로, 좌심방-좌심실-대동맥, 우심방-우심실-폐동맥의 순환 경로를 가지고 있습니다. 심장판막(방실판막, 반월판막)은...2025.04.28
-
부성 호흡기내과 검사, 드레싱 총 정리2025.01.091. 중심정맥삽관술 중심정맥삽관술(int), 침습적 시술 전 점검표(나)를 포함하여 중심정맥 삽관술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삽관 전 준비, 시술 중 주의사항, 삽관 후 관리 등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습니다. 2. 경피적 간담도 배액술 PTBD(percutaneous transhepatic billiary drainage, 경피적 간담도 배액술)와 PTGBD(percutaneous transhepatic gallbladder drainage, 경피적 간담낭 배액술)에 대한 내용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 시술은 담도 ...2025.01.09
-
A+ 성인간호학 장폐색 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3, 간호과정2)2025.01.151. 장폐색(ileus, intestinal Obstruction) 장폐색이란 장관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장의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병으로, 특히 소장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음식물, 소화액, 가스 등의 장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을 말한다. 장폐색은 유문에서 직장까지 어느 부위에서나 부분적 또는 완전하게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 장폐색은 소장에서 발생하고 약 15% 정도가 대장에서 발생한다. 2. 병태생리 및 원인 장폐색은 기계적 장폐색과 기능적 장폐색으로 분류한다. 기계적 장폐색은 어떤 원인에 의해 장...2025.01.15
-
장애유형 및 증상2025.04.271. 지체장애 지체장애는 신체를 구성하는 골격, 관절, 근육, 신경 등이 질병, 외상 등으로 인해 운동 상의 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지체장애에는 선천적 원인과 후천적 원인이 있으며, 운동기능장애, 관절장애, 변형, 절단장애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장애정도 판정 시 상지, 하지, 척추 등의 기준을 적용하며, 지체장애는 원인 질환 또는 부상 등의 발생 후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치료한 후 등록할 수 있다. 2. 뇌병변장애 뇌병변장애는 중추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복합적인 장애로, 뇌성마비와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등이 주요 원인이...2025.04.27
-
간호 약리학 3장 요약2025.01.151. 약물의 분류 약물의 분류 2부터 10주차비catecholamine류-Phenylephrine, Albuterol, amphetamine, ephedrine, pseudoephedrine->뇌에 작용 가능, CNS 흥분제(의존성 주의) / 메스암페타민이 제일 강함(히로뽕)에페드린이 슈도에페드린보다 효과가 강함 2. 약물의 작용 1) 호흡기계- 기관지 확장제 : 천식, COPD 치료- 베타2 수용체 흥분- 약물 : albuterol(salbutamol), salmeterol, terbutaline 선택적/E 비선택적- 부작용 : ...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