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약리학 3장 요약
문서 내 토픽
  • 1. 약물의 분류
    약물의 분류 2부터 10주차비catecholamine류-Phenylephrine, Albuterol, amphetamine, ephedrine, pseudoephedrine->뇌에 작용 가능, CNS 흥분제(의존성 주의) / 메스암페타민이 제일 강함(히로뽕)에페드린이 슈도에페드린보다 효과가 강함
  • 2. 약물의 작용
    1) 호흡기계- 기관지 확장제 : 천식, COPD 치료- 베타2 수용체 흥분- 약물 : albuterol(salbutamol), salmeterol, terbutaline 선택적/E 비선택적- 부작용 : CNS~초조, 불안, 떨림 / 심혈관계 : 두근거림, 부정맥 = E2) 국소 비강 충혈제- 알파1 수용체 활성화, 확장된 세동맥 수축, 비강 혈류 감소- 약물 : zoline 시리즈, pseudoephedrine, phenylephrine- 효과는 금방 나타남, 과다 사용시 반동성 비강 충혈 유발, 전신 흡수 시, 고혈압, 빈맥, 불면- 부교감신경의 무스카린성 신경은 동공 조임근에 있고 교감신경의 알파1 수용체는 동공산대근에 있음, 무스카린성 수용체가 흥분하면 조임근의 수축으로 동공이 줄어들고 알파1 수용체가 흥분하면 확대근의 수축으로 동공이 커진다 -> 두 개 다 수축
  • 3. 눈
    3) 눈1. 알파 1 수용체 흥분제- 혈관 수축, 동공 확대- 결막 충혈 해소, 눈 진단 검사- 약물 : E, naphazoline, phenylephrine2. 알파2 수용체 흥분제- 녹내장 치료제, apraclonidine, brimonidine (Alphagan)
  • 4. 심장혈관계
    4) 심장혈관계- 베타1 수용체 효능제 : 심장기능상실, 심정지, 쇼크치료 내인성 catecholamine류, dobutamine (선택적 베타 1 흥분제)- 알파1 수용체 흥분 -> 혈압 up : midodrine, phenylephrine (선택적 알파 1 흥분제)- 중추성 알파2 수용체 흥분 : 교감신경 억제 효과, 음성되먹임, clonidine (고혈압)
  • 5. 비뇨 생식기
    5) 비뇨 생식기1. 요실금 치료제-베타3 수용체 효능제 : mirabegron, 방광배뇨근 이완, 절박성 요실금 치료제-알파1 수용체 효능제 : pseudoephedrine, 방광 괄약근 수축, 복압성 요실금 치료제2. 자궁 수축 억제제-베타2 수용체 효능제 : ridodrine, 심혈관계 부작용으로 경구제 주사제 둘다 제한
  • 6. 중추신경계
    6) CNS- BBB 통과 -> 의존성으로 남용 가능, 각종 부작용 및 중독- 암페타민, methylphenidate = ADHD, 기면증- phentermine, phendimetrazine = 식욕억제제 각각 세달, 한달 미만 사용- Ephedrine : 천식, 기면증, 비만
  • 7. 알파 1 수용체 흥분약
    * 알파 1 수용체 흥분약 : 심혈관계 - 국소마취제+에피네프린 혼합제 = 혈관 수축 목적(용량 주의해서 사용)
  • 8. 알파 1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차단제
    1) 심혈관계 : 고혈압 치료, 크롬친화성세포종, NE/Epi. 주사 시 발생하는 혈관 외 유출(조직 허혈 및 괴사 유발)을 치료2) 비뇨기계 : 양성 전립샘 비대증 치료(세포의 과다증식으로 인함), 알파 1 수용체 흥분 X -> 평활근의 긴장감 감소3) 약물 : 선택적 - prazosin, doxazosin, alfuzosin, tamsulosin / 비선택적 알파1, 알파2 수용체 차단 : phentolamine 4) 유해작용 : 축동, 코막힘, 기립성 저혈압(최초 투약 현상), 뇌작용, 빈맥
  • 9. 베타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차단제
    1, 2, 3) 옛날꺼 보면 됩니다.4) 유해반응 : 위장장애, 서맥, 천식 악화편두통(박동성 두통) (참고)- 베타 차단제 : 예방적 치료제 중 하나- propranolol, timolol, atenolol, nadolol
  • 10. 부교감 신경의 흥분
    부교감 신경의 흥분 : 축동, 안압하강, 타액 분비 증가, 기관지 수축 및 분비 증가, 심박동수 감소, 위장관 분비와 연동 운동 증가, 소화 촉진, 방광근 수축, 배뇨 원활아세틸콜린이 시냅스로 나와 수용체랑 결합하고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 당함
  • 11. 콜린성 약물
    콜린성 흥분약 -> 1. 아세틸콜린과 함께 수용체에 결합해 아세틸콜린처럼 작용함(직접작용약) / 2. 아세틸콜린 분해효소를 방해 / 녹내장, 배뇨곤란, 중증근무력증(자가면역질환), 알츠하이머 / 항콜린성 약물의 중독 시 해독제로 사용 : physostigmine1. bethanechol, carbachol, pilocarpine2-1 가역적 억제제 : physostigmine, pyridostigmine, neostigmine, donepezil(뇌작용)2-2 비가역적 억제제(독약)=유기인산염 : 살충제, 농약, 독가스중증근무력제 : AchE 억제제, Pyridostigmine, neostigmine, edrophonium알츠하이머 : AchE 억제제, donepezil, galantamine, rivastigmine
  • 12. 항콜린성 약물
    콜린성 위기(콜린약물의 과량투여) : 모든 것이 과다활동 - SLUDGE 증후군 : 침분비, 눈물분비, 요, 배변, 위장관 경련, 구토 모두 증가- DUMBELLS : 설사, 배뇨, 축동, 서맥, 구토, 눈물, 축쳐짐, 침흘림- 처치법 : 즉각적 항콜린제(atropine), E : 심정지 예방항콜린제(= 콜린 억제약, 무스카린성 수용체 차단약, 부교감신경 억제약)아세틸콜린처럼 결합은 하지만 반응 전달 X, 아세틸콜린의 흥분성을 차단- Atropine, Scopolamine- 항콜린작용 : 모든 샘 분비 억제(구강건조, 변비), 심박동수 증가, 동공 확대(산동제, 눈물도 잘 안나옴), 오줌 잘 안나옴, 땀 안나옴, 체온 상승, 뇌의 진정작용(과할 시에 흥분-환각)- 수술 및 마취 전 처치, 삽관 및 내시경 검사, 부정맥(서맥) 치료, 동공 확장, 천식 치료, 위궤양 치료, 과민성 대장 증후군 치료, 요절박과 요실금을 동반하는 과민성 방광 치료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약물의 분류
    약물의 분류는 약물의 작용 기전, 화학 구조, 치료 목적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이를 통해 약물의 특성과 사용 목적을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약물 분류는 약물 사용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새로운 약물 개발 및 기존 약물의 개선에도 활용됩니다. 따라서 약물 분류에 대한 이해는 약물 치료 분야에서 필수적입니다.
  • 2. 약물의 작용
    약물의 작용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합니다. 약물은 생체 내에서 다양한 수용체, 효소, 이온 채널 등과 상호작용하며 생리학적 반응을 일으킵니다. 이러한 약물의 작용 기전을 이해하는 것은 약물 치료의 효과와 부작용을 예측하고 관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새로운 약물 개발을 위해서도 약물의 작용 기전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약물의 작용에 대한 이해는 약물 치료 분야에서 핵심적인 지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눈
    눈은 시각 기관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약물 치료 시 눈에 대한 약물의 작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녹내장 치료를 위한 약물, 안구 건조증 치료를 위한 약물, 백내장 예방을 위한 약물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눈의 생리학적 기능을 조절하여 치료 효과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약물 치료 시 눈에 대한 약물의 작용 기전을 이해하고 부작용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심장혈관계
    심장혈관계는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심장혈관계에 작용하는 약물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면서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고혈압, 협심증, 부정맥 등의 치료를 위한 약물들은 심장혈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약물들의 작용 기전, 부작용, 상호작용 등을 잘 이해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또한 심장혈관계 질환의 예방을 위한 약물 치료도 중요합니다. 따라서 심장혈관계에 대한 약물 치료는 매우 중요한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비뇨 생식기
    비뇨 생식기는 배설과 생식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이 부위에 작용하는 약물들은 요로감염, 전립선 비대증, 발기부전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비뇨 생식기의 생리학적 기능을 조절하여 치료 효과를 나타냅니다. 하지만 부작용 관리도 중요한데, 예를 들어 요실금, 성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뇨 생식기에 작용하는 약물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을 잘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6. 중추신경계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체의 모든 기능을 조절하는 핵심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들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진통제, 항우울제, 항불안제, 수면제 등이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치료 효과를 나타냅니다. 하지만 이러한 약물들은 중추신경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부작용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을 잘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7. 알파 1 수용체 흥분약
    알파 1 수용체 흥분약은 교감신경계의 알파 1 아드레날린성 수용체를 자극하여 작용합니다. 이를 통해 혈관 수축, 혈압 상승, 동공 확장 등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저혈압, 쇼크, 천식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하지만 과도한 혈압 상승, 심장 부정맥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알파 1 수용체 흥분약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을 잘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8. 알파 1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차단제
    알파 1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차단제는 교감신경계의 알파 1 수용체를 차단하여 작용합니다. 이를 통해 혈관 확장, 혈압 강하, 동공 축소 등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고혈압, 전립선 비대증, 레이노 현상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하지만 저혈압, 어지러움, 피로감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알파 1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차단제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을 잘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9. 베타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차단제
    베타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차단제는 교감신경계의 베타 수용체를 차단하여 작용합니다. 이를 통해 심박수 감소, 혈압 강하, 심근 수축력 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고혈압, 협심증, 부정맥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하지만 서맥, 저혈압, 기관지 수축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베타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차단제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을 잘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0. 부교감 신경의 흥분
    부교감 신경계는 안정 시 활성화되어 신체의 휴식과 회복을 담당합니다. 부교감 신경의 흥분은 심박수 감소, 혈압 강하, 소화 기능 증가 등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작용은 부교감 신경 흥분제를 통해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저혈압, 서맥, 소화기 장애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하지만 과도한 부교감 신경 흥분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부교감 신경 흥분제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을 잘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1. 콜린성 약물
    콜린성 약물은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자극하여 작용합니다. 이를 통해 부교감 신경계 활성화, 근육 수축, 분비 증가 등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중증근무력증, 녹내장, 장 마비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하지만 과도한 콜린성 자극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콜린성 약물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을 잘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2. 항콜린성 약물
    항콜린성 약물은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차단하여 작용합니다. 이를 통해 부교감 신경계 활성 억제, 근육 이완, 분비 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파킨슨병, 과활동성 방광, 구토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하지만 항콜린성 부작용, 예를 들어 구갈, 시야 흐림, 배뇨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항콜린성 약물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을 잘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호 약리학 3장 요약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18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