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9개
-
공정제어 다단액위제어(Cascade 제어)2025.04.251. 공정제어 공정제어는 공정의 제어변수(CV)를 외란(D) 하에서 조작변수(MV)를 적절히 조작하여 주어진 설정점(SP)에 최대한 근접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정제어의 필요성은 공정 안정성 확보, 제품 규격 만족, 환경 규제치 만족, 운전 제약조건 만족, 실시간 공정 상태 파악, 공정 경제성 극대화 등이다. 대표적인 제어 전략으로는 되먹임제어(Feedback Control)와 앞먹임제어(Feedforward Control)가 있다. 2. Cascade 제어 Cascade 제어는 Primary controller의 출...2025.04.25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82025.01.171. RL 회로의 과도응답 설계 이 보고서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수업의 결과 보고서입니다. 주요 내용은 time constant가 10μs인 직렬 RL 회로를 설계하고, 이에 따른 Function generator 출력파형, 저항전압파형, 인덕터 전압파형을 측정 및 분석한 것입니다. 또한 주파수 10kHz의 서로 다른 출력 크기의 사각파를 입력하여 관찰한 파형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실험 결과와 예비보고서에서 작성한 파형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분석하였습니다. 1. RL 회로의 과도응답 설계 RL 회로의 과도응답 설계는 ...2025.01.17
-
[A+] 중앙대학교 전자회로 설계실습 예비보고서 10. Oscillator 설계2025.04.291. Oscillator 설계 이 보고서는 OP-amp를 이용한 Oscillator(신호 발생기)의 설계 및 측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positive feedback의 개념 이해, 피드백 회로의 parameter 변화에 따른 신호 파형 학습입니다. 설계 과정에서 OrCAD PSPICE를 사용하여 회로도를 작성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이론값과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또한 feedback factor(β)와 feedback 저항(R)의 영향을 분석하였습니다. 1. Oscillator 설계 Oscill...2025.04.29
-
4차 산업 컴퓨팅 기술 분야 - 가상현실2025.05.031. 가상현실 (VR) 기술 개요 가상현실은 컴퓨터 시스템이 생성한 3차원 가상 공간과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루는 기술을 말한다. HMD(Head Mounted Display)를 통해 가상환경에 대한 몰입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최근 오큘러스, 소니, HTC 등의 HMD 제품이 출시되면서 가상현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HMD 제품도 등장하여 가상현실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다. 2.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가상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상호작용이 가능해야 하므로,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 기...2025.05.03
-
[한양대 기계공학부] 동역학제어실험 실험4 동흡진기(Dynamic Absorber)를 이용한 진동 제어 실험 A+ 자료2025.04.261. 동흡진기(Dynamic Absorber) 동흡진기는 주진동계에 2차 진동계를 결합시켜 주진동계의 과도한 진동을 흡수하고 제어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이번 실험에서는 동흡진기의 원리와 설계 방법을 이해하고, 실제로 동흡진기를 적용하여 주진동계의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분석을 통해 동흡진기의 위치에 따른 진동 흡수 차이와 오차 발생 원인 등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2. 진동 제어 이번 실험에서는 동흡진기를 이용하여 주진동계의 공진 현상으로 인한 과도한 진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다루었습니다. 동흡진기는 주...2025.04.26
-
[예비보고서]중앙대학교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 위상 제어 루프(PLL)2025.05.101. 위상 제어 루프(PLL) 위상 제어루프(PLL)는 전압제어 발진기의 출력 위상을 입력 신호의 위상과 비교하여 입출력의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전압제어 발진기를 제어하는 피드백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LL의 경우 위상 검출기, 루프 필터, 가변 발진기 이 3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신 분야에서 폭 넓게 사용됩니다. 2. 위상 검출기 XOR를 이용한 위상 검출기의 경우 V1과 V2의 위상 차이가 변화에 따른 Vout전압의 평균값 특성은 이론부와 같이 주기적인 파형의 주기를 갖습니다. XOR를 이용한 위상 검출기는 대부분 ...2025.05.10
-
[고려대학교 전기회로] 13단원 정리본2025.05.031. Laplace 변환을 이용한 회로 분석 Laplace 변환을 이용하여 회로 분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저항, 인덕터, 캐패시터 등 회로 요소의 s-domain 표현을 통해 회로 방정식을 세우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회로의 자연 응답, 계단 응답, 과도 응답 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2. 회로의 전달 함수 회로의 전달 함수는 입력 신호의 Laplace 변환과 출력 신호의 Laplace 변환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전달 함수를 통해 회로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부분 분수 전개를 이용하여 시간 영역 응답을 ...2025.05.03
-
피드백 증폭기 설계 및 실습2025.11.121.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 입력이 전압이고 출력도 전압인 Shunt 구조의 피드백 증폭기 설계. PSpice를 이용하여 입력저항 1kΩ, 부하저항 1kΩ, 전원 12V 조건에서 입출력 transfer characteristic curve를 분석. 입력 전압의 2배가 출력전압으로 나오는 linear 특성을 확인. 입력저항과 부하저항 변경 시에도 동일한 특성 유지. 전원 전압이 충분하지 않을 때는 MOSFET의 특성으로 인해 출력이 전원 전압을 따라가는 현상 관찰. 2. 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 입력이 전...2025.11.12
-
A+메이슨 법칙에 설명하고 예를 들어 흐름선도를 이용한 예를 자세하게 설명하시오2025.05.111. 흐름도 이해 흐름도는 노드와 분기로 구성된 회로 또는 시스템의 시각적 표현입니다. 노드는 변수 또는 신호를 나타내고 분기는 이들 간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각 분기는 출력 신호에 대한 입력 신호의 효과를 정량화하는 전달 함수 또는 이득을 나타냅니다. 흐름도를 사용하면 복잡한 회로나 시스템을 단순화된 그래픽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메이슨의 법칙을 분석에 더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2. 메이슨의 게인 공식 메이슨의 법칙은 흐름도에서 이득과 루프의 개념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분기의 이득은 입력 신호와 관련하여 출력 신호가 ...2025.05.11
-
에너지변환실험 A+레포트_정전압회로, 사이리스터 특성2025.01.131. 정전압회로 정전압회로는 입력전압, 출력 부하전류, 온도에 무관하게 일정한 직류 출력전압을 제공하는 회로입니다. 정전압 IC 7805를 이용하여 기본회로를 구성하고, 입력전압을 증가시키면서 출력전압의 변화를 관찰하였습니다. 발진이 발생하는 경우 입력단과 출력단에 전해콘덴서를 연결하여 출력파형을 안정화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정전압 IC 응용회로를 구성하여 저항 R1과 R2의 값에 따른 출력전압 변화를 확인하였습니다. 2. 사이리스터 사이리스터는 pnpn 접합의 4층 구조 반도체 소자로, 게이트에 전류를 흘려주면 애노드와 캐소드 ...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