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6개
-
헝가리어 첫걸음 강의 자료_Part 1 (1~4강)2025.05.091. 헝가리와 헝가리어 소개 헝가리는 유럽에서도 가장 독특한 나라 중 하나이다. 중부유럽에 있는 내륙국가이며 수도는 부다페스트이다. 도시 중심에 두나우 강이 흘러 부다페스트를 도나우 강의 진주로 부르기도 한다. 헝가리 인구수는 약 996만명에 달하며 대부분 우랄족에 속하는 헝가리인이다. 공용어는 헝가리어이며 소수민족의 대부분도 헝가리어를 사용한다. 헝가리 국기의 색상은 힘(빨간색), 성실함(하얀색), 희망(초록색)을 상징한다. 2. 헝가리어 소개 헝가리어는 핀-우그르 어족에 속하며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첨가어에 속한다. 단어나 어간에...2025.05.09
-
세종한국어 수업지도안, 을,를2025.01.241. 한국어 문법 '을/를' 이 수업 지도안은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명사 뒤에 붙어서 그 명사가 문장의 목적어임을 나타내는 문법 '을/를'을 교육하는 내용입니다. 수업에서는 '을/를'의 사용 규칙을 설명하고, 다양한 어휘를 활용한 연습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이 '을/를'을 익히도록 합니다. 또한 짝 활동과 개별 활동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적용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1. 한국어 문법 '을/를' 한국어 문법에서 '을/를'은 매우 중요한 조사입니다. 이 조사는 목적격을 나타내며, 문장에서 목적어를 표시하는 역할을...2025.01.24
-
후기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특징 및 활용2025.01.151. 후기 중세국어의 특징 후기 중세국어는 조선 중기부터 후기까지 사용된 언어로, 중세국어와 현대 한국어 사이의 과도기적 성격을 띠고 있다. 주요 특징으로는 음운 체계의 변화, 어휘의 확장, 문법 구조의 정립 등이 있다. 음운 체계에서는 모음 조화 현상이 약화되었고, 자음 체계에서도 일부 변화가 있었다. 어휘적으로는 한자어의 사용이 증가하였고, 새로운 단어들이 많이 생겨났다. 문법적으로는 주격 조사와 목적격 조사의 사용이 확립되었으며, 어미 변화가 다양해졌다. 2. 후기 중세국어 활용의 특징 후기 중세국어는 다양한 문헌과 기록에서 ...2025.01.15
-
한국어의 일반적인 특성을 형태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 기술하고 그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다른 외국어와 비교 대조하여 설명2025.01.201. 한국어의 형태적 특성 한국어의 대표적인 형태적 특징은 첨가어이며, 교착어라고도 한다. 형태 구성이 달라붙어서 결합되는 양상을 띠므로 첨가, 교착이라는 표현을 쓰게 되었다. 어근에 파생접사가 달라붙어서 단어를 이루고, 체언에 격조사가 달라붙어서 주격, 목적격 등의 격을 나타내고, 보조사가 달라붙어서 의미를 추가적으로 나타낸다. 용언에는 어미가 붙는데 어미에는 선어말어미, 어말어미 등이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다. 선어말어미로 시제나 높임법 등의 문법 범주를 나타낸다. 한국어 문법 범주 중에서는 높임법이 가장 발달되어 있고 특징적이라...2025.01.20
-
카자흐어의 음운 체계, 어순과 문장 구조, 주요 어휘 소개2025.01.231. 카자흐어의 음운 체계 카자흐어는 총 42개의 음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11개의 모음과 31개의 자음을 포함하고 있다. 카자흐어의 음운 체계는 모음 조화와 자음의 두드러진 발음 변화를 특징으로 한다. 모음 체계에서 카자흐어는 독특한 모음 조화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자음 체계에서도 다양한 자음 음소를 포함하고 있다. 2. 카자흐어의 어순과 문장 구조 카자흐어는 주로 주어-목적어-동사(SOV) 어순을 따르며, 이는 한국어와 비슷한 구조이다. 그러나 카자흐어는 어순이 비교적 자유로운 편으로, 문맥에 따라 주어나 목적어의 위...2025.01.23
-
한국어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 및 조사하여 기술하시오.2025.04.301. 한국어의 음운상 특성 한국어는 19개의 자음과 21개의 모음(단모음 10개, 이중모음 11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음운 현상이 나타난다. 자음동화, 모음조화, 연음, 음절의 끝소리 규칙, 구개음화, ㄴ 첨가, 사이시옷 현상, 된소리되기, 거센소리되기, 활음조 현상, ㅣ 역행 동화 등이 대표적이다. 2. 한국어의 의미론적, 어휘론적 특징 한국어는 친족 호칭이 발달하고, 의상 착용에 대한 다양한 어휘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입다', '차다', '쓰다', '감다', '두르다', '신다', '걸치다', '메다', '매다',...2025.04.30
-
조사와 어미의 개념 및 단어 인정 여부에 대한 견해2025.01.131. 조사의 개념 조사는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 이나 부사, 어미 뒤에 결합하여 문법적인 관계를 나타내거나 뜻을 더해주는 품사로, 자립성을 가진 말과 쉽게 분리될 수 있어 학교 문법에서 단어로 취급된다. 조사는 격조사, 보조사, 접속조사로 분류되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2. 어미의 개념 어미는 동사, 형용사의 어간에 결합하여 여러 가지 문법적 의미를 나타내고 활용이 되며 기능을 표시해주는 부분이다. 어미는 자립하여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고 항상 어간 뒤에 붙어 나타나며, 문장에서 어간과 분리되거나 생략할 수 없다. 3. 단...2025.01.13
-
실제 언어 자료(한국어 교재 활용)를 통해 신정보와 구정보 표지(조사 '이가'와 '은는')를 찾아 분석하시오2025.05.151. 신정보와 구정보 신정보는 화자가 청자에게 새롭게 보태는 지식이며 청자의 의식 속에 존재하지 않는 지식이다. 구정보는 청자가 이미 알고 있으며 화자가 발화할 때 청자의 의식 속에 존재하는 지식이다. 화자는 청자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파악하여 그에 맞는 조사를 붙여 발화한다. 신정보에는 주격조사 '이/가'를 결합하고, 구정보에는 보조사 '은/는'을 결합해 발화한다. 2. 정보 표지로서의 조사 양상 신정보에는 '이/가'가 결합하고, 구정보에는 '은/는'이 결합한다. 의문사와 함께 '은/는'이 사용되지 않는 이유는 구정보와 의문사의 ...2025.05.15
-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조사 '이/가', '을/를' 교수학습 강의안 및 자료 개발2025.01.041. 과제 중심 교수법 과제 중심 교수법은 학습자들에게 과제를 제공하고, 그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목표 언어를 활용하도록 하여 실질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언어 교수법입니다. 이 방법은 의사소통 접근법과 제2언어 습득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과제가 언어 학습 및 교수의 핵심적인 단위가 됩니다. 2. 한국어 조사 '이/가', '을/를' 한국어 학습자들은 '이/가'와 '을/를'의 사용에 있어 지속적인 오류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이/가'를 '을/를'로, '을/를'을 '이/가'로 대치하거나 이들 조사를 누락하는 ...2025.01.04
-
기능적 특성에 따른 한국어 품사의 분류2025.01.191. 명사 명사는 조사를 취하고 관형어의 수식을 받으며 인물이나 사물의 명칭을 나타냅니다. 보통명사, 고유명사, 자립명사, 의존명사 등으로 분류됩니다. 2. 대명사 대명사는 명사, 수사와 함께 체언 기능을 하며 명사를 대체합니다. 인칭대명사와 지시대명사로 나뉩니다. 3. 수사 수사는 사람이나 사물의 수량 또는 차례를 나타내는 단어로 양수사와 서수사로 나뉩니다. 4. 관형사 관형사는 체언 앞에 놓여 그 내용을 자세하게 꾸며주는 단어를 말합니다. 성상 관형사, 지시 관형사, 수 관형사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5. 부사 부사는 문장...2025.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