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21개
-
항체의 다양성의 기전에 대해 설명하시오2025.01.241. 면역계의 구성과 기능 면역계는 우리 몸을 병원균, 세포 이상, 비인간적 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체계이다. 여기에는 다양한 유형의 세포, 조직, 단백질 및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복잡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 외부 침입자에 대응한다. 면역계는 크게 자연 면역체계, 적응 면역체계, 조절체계로 구성되며, 감염 및 질병으로부터 보호, 자가 면역 및 면역 허용 유지, 면역 기억 형성 등의 핵심 기능을 수행한다. 2. 항체와 항원의 역할 항체는 면역 시스템이 외부 침입자를 식별하고 중화시키는 데 사용되는 단...2025.01.24
-
생명과학실험1 Immunoprecipitation (IP)2025.01.171. Immunoprecipitation (면역침강법, IP) 면역침강법은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원하는 단백질을 분리하고자 하는 실험이다. 단백질은 특정한 항체에만 결합하는 항체 특이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검출하고자 하는 target protein도 특정한 종류의 항체와만 결합하게 된다. 항원-항체 복합체가 바닥에 가라앉도록 하기 위해서 먼저 항체와 Bead를 붙이고, bead와 결합한 항체가 다시 단백질과 결합하여 단백질-항체-Bead 복합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 복합체가 원심분리를 통해 침강하게 되면서 원하는 단백질을 분리...2025.01.17
-
Protein electro-transfer and Western blot 실험보고서2025.01.161. Western blot Western blot은 찾고자 하는 protein의 antigen epitope와 반응하는 antibody를 이용하여 단백질 혼합물 중에서 원하는 단백질(antigen)을 찾아내는 방법이다. 전기 영동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gel 상에서 크기에 따라 분리한 후, membrane에 transfer한다. Membrane에 발광하는 probe가 붙어 있는 antibody를 붙여주는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찾고자 하는 특정 단백질을 검출한다. 2. Nitrocellulose membrane Nitrocell...2025.01.16
-
인슐린 과민반응 보고서2025.01.241. 아나필락시스의 병태생리 아나필락시스는 비만세포의 표면막과 말초혈관의 호염구에서 발견되는 항체와 이물질 항원의 결합에 의해 발생된다. 히스타민과 생물작용매개체의 분비는 혈소판, 호산구 및 호중구의 활동을 촉진한다. 히스타민, 프로스타글란딘 및 염증성 류코트리엔은 혈관투과성의 변화, 홍조, 두드러기, 혈관부종, 저혈압 및 아나필락시스를 특징짓는 기관지수축에서 연관되는 혈관활성매개체에 영향을 미친다. 그 결과 평활근연축, 기관지연축, 점막부종 및 염증이 생기고, 모세혈관투과성이 증가된다. 이러한 전신성 변화는 항원노출 후 몇 초에서...2025.01.24
-
Rh-Hr 표현형 검사와 고찰2025.01.131. Rh 표현형 검사 Rh 표현형 검사를 통해 Rh 표현형 D, C, E, c, e의 결과를 판독하고 같은 혈액형의 기준으로 Rh 표현형이 다른 학생들끼리 수혈하였을 경우 나타나는 항체생성여부에 대해 알 수 있다. 2. Rh 혈액형 종류 Rh 혈액형 종류는 C, c, D, E, e 등을 포함하여 47가지나 되지만, 일반적으로 Rh 양성 또는 음성이라고 말할 때는 Rh 혈액형 항원 중에서 가장 면역원성이 큰 D항원의 유무를 말한다. 3. Rh 표현형 판독 Anti-D 혈청으로 적혈구의 Rh(D) 항원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여 응집이 있...2025.01.13
-
(A+보장) 간호 생리학 면역 파트 총정리 PPT2025.04.281. 면역이란 면역이란 미생물, 이물질의 침입이나 손상에 반응하여 인체를 보호하고 방어하는 능력으로, 인체의 항상성 유지를 위한 각종 질병을 감시하고 방어하거나 이겨내는 활동이자 힘을 의미합니다. 2. 면역계 면역계는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작동하는 여러 단계의 방어기전과 이와 관련된 모든 조직을 통칭하며, 비특이적 면역과 특이적 면역으로 구분됩니다. 비특이적 면역은 1차 방어선인 피부, 눈물, 위산 등의 물리적, 화학적 장벽과 식세포 작용, 염증, 보체 등의 2차 방어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특이적 면역은 항원-항체 반응을 통해 ...2025.04.28
-
교차적합시험과 고찰2025.01.131. 교차 시험(Crossmatching) 교차 시험(Crossmatching)은 수혈 전 검사의 마지막 단계로, 수혈될 적혈구와 환자 혈청 간의 적합성을 확인하여 용혈성 수혈 부작용을 예방하는 것이 목적이다. 교차 시험에는 주교차 시험과 부교차 시험이 있으며, 실온 식염수법, 37°C 알부민법, 항글로불린(AHG) 법의 3단계 과정을 거친다. 각 단계는 온도에 따라 반응하는 항체의 원리를 이용한 검사법이다. 2. ABO & Rh 혈액형 검사 교차 시험을 진행하기 전에 먼저 ABO & Rh 혈액형 검사를 실시하여 혈액형 정보를 확인...2025.01.13
-
혈액형 판정 실험2025.01.021. ABO식 혈액형 ABO식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의 응집원(항원)과 혈장의 응집소(항체)에 따라 A형, B형, AB형, O형으로 구분됩니다. A형은 A 응집원과 β 응집소, B형은 B 응집원과 α 응집소, AB형은 A와 B 응집원, O형은 응집원이 없습니다. 이에 따라 혈액형이 다른 경우 수혈 시 항원-항체 반응으로 인한 응집이 일어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Rh식 혈액형 Rh식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의 Rh 응집원(항원)과 혈장의 Rh 응집소(항체)에 따라 Rh+와 Rh-로 구분됩니다. Rh-인 사람이 Rh+ 혈액에 ...2025.01.02
-
레닌저 생화학 정리노트 Ch05. 단백질의 기능2025.05.101. 단백질과 리간드의 가역적 결합 단백질에 부착되는 분자를 리간드라고 하며, 단백질에서 리간드가 부착되는 장소를 결합 부위라고 한다. 리간드는 단백질 구조를 결정하는 비공유 결합 상호작용을 통해 결합한다. 이러한 단백질-리간드 상호작용은 정량적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평형 연합 상수(Ka)와 평형 해리 상수(Kd)로 나타낼 수 있다. 리간드 결합의 정도는 Y=[L]/([L]+Kd)로 표현된다. 2. 글로빈 단백질 글로빈 단백질은 산소 결합 단백질 가족에 속한다. 대표적인 글로빈 단백질에는 미오글로빈, 헤모글로빈, 뉴로글로빈, 시토...2025.05.10
-
신장이식에서의 면역억제요법의 최신지견2025.04.271. 생물학적 제제를 이용한 면역억제요법 신이식 분야에서 급성거부반응의 예방과 단기간의 이식편 생존율의 향상은 뚜렷한 성장을 보였으나, 이러한 성공은 장기간의 이식편 생존율 향상으로 연결되지 못했다.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단기간의 성공적인 성적에 큰 역할을 했던 칼시뉴린 억제제는 후기 이식신 기능 소실과 일반인구에 비해 신이식 환자의 높은 사망률과 관계가 있다. 이에 따라 신독성 약제와 심혈관 부작용을 유발하는 약제를 포함시키지 않는 새로운 면역억제 요법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생물학적제제들 즉 단클론 항체, 다클론 항체, 면역글로불...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