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249개
-
12뇌신경 보고서2025.01.091. 후각신경 (제1뇌신경) 후각신경은 감각신경으로 냄새를 맡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사정 방법은 코를 한쪽씩 막고 익숙하고 자극적이지 않은 향기를 이용하여 냄새 맡는 기능을 평가합니다. 비정상적 결과로는 무후각증이 있으며, 이는 상부호흡기감염, 담배 또는 코카인 사용, 사골동 영역이나 사상판의 골절, 전두엽 병변, 후각영역의 종양, 파킨슨병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시신경 (제2뇌신경) 시신경은 감각신경으로 시력, 시야, 대광반사 기능을 담당합니다. 사정 방법은 시력검사, 시야검사, 안구에 빛을 비추는 것 등입니다. 비정...2025.01.09
-
하지부 근육의 종류와 기능2025.05.091. 엉덩허리근 (장요근) 엉덩허리근(장요근)은 허리뼈 가로돌기에서 기시하여 넓다리 뼈 작은돌기에 닿는다. 이 근육은 넓적다리를 굽히고 척추를 굽힐 수 있으며, 골반을 굽힐 수 있다. 엉덩허리근이 수축하면 자체의 힘은 강해지지만 척추앞근막을 통해 신체의 전체적인 균형이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엉덩허리근은 추간판에 부하를 증가시켜 추간판탈출증, 협착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뇌척수막의 운동성에도 제한을 줄 수 있다. 엉덩허리근이 편측으로 수축하면 골반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2. 큰볼기근 (대둔근) 큰볼기근은 가장 강한 엉덩이의 신전...2025.05.09
-
A+ 성인간호학실습 심근증 간호사례연구 case study2025.05.021. 심근증 심근병증(심근증)은 심장의 근육 자체에 일차적으로 생기는 질환을 말한다. 고혈압이나 선천성 판막 질환, 관상동맥 질환, 심낭염 등에 의해 생기는 이차적인 심근의 이상을 제외한다. 심근병증은 원인 질환을 판별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임상 양상에 따라 확장성 심근증, 비후성 심근증, 제한성 심근증 3가지로 분류한다. 확장성 심근증은 심실의 확장과 수축 기능에 장애가 생겨 펌프 기능이 감소하여 심부전과 부정맥 등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비후성 심근증은 심장의 비후(두꺼워짐)를 일으키는 고혈압, 판막 질환 등의 뚜렷한 원인 없...2025.05.02
-
성인간호학_중증근무력증 케이스2025.01.221. 중증근무력증 중증근무력증은 신경의 자극이 근육으로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여 근육이 쉽게 피로해지는 질환입니다. 신경과 근육이 접합하는 곳에서 신경전도를 전달하는 후시냅스막의 형태변화와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를 흡수하는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가 감소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중증근무력증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항체가 자신의 세포도 공격하는 신경계 질환입니다. 2. 중증근무력증 증상 중증근무력증의 주요 증상으로는 휴식 시 개선되는 진행성 근육쇠약, 피로, 안구마비, 안면표정/저작/후두근 마비로 인한 언어장애, 복시, 심한 안검하수, ...2025.01.22
-
운동 작업치료2025.05.031. 작업치료 평가 및 사정 작업치료 평가는 크게 Top-down approach와 Bottom-up approach로 나뉩니다. Top-down approach는 환자의 작업 및 역할에서 출발하여 현재 대상자의 직업능력과 기능상실에 중점을 두는 반면, Bottom-up approach는 구성요소 평가로부터 수행정도를 가늠하여 주요 문제를 특정한 작업수행 요소에서 찾습니다. 또한 평가 방식에 따라 Performance based assessment, Interviewer assessment, Self-administered asse...2025.05.03
-
정서행동장애 하위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례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편견, 인식개선2025.01.221. 틱 장애 틱이란 학령기 전후의 아동에서부터 청소년에 이르기까지 흔히 관찰될 수 있는 증상이며, 갑작스럽고 빠르게 반복적으로 보이는 근육의 움직임이나 음성적인 소리를 말한다. 틱 장애는 만성근육 또는 음성 틱 장애, 뚜렛장애, 특정불능의 틱 장애의 네 가지로 분류된다. 틱 장애는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오해를 받기도 하지만, 인식 개선과 교육 및 사회적 지원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1. 틱 장애 틱 장애는 신경학적 장애로, 반복적이고 불수의적인 움직임이나 소리를 특징으로 합니다. 이는 개인의 일상생활과 사회적 기능에 큰 영...2025.01.22
-
신경 근육계 질환(파킨슨)과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간호과정A+)2025.01.221. 파킨슨병의 증상과 진행과정 파킨슨병은 주로 손떨림, 근육 강직, 느린 움직임, 균형 문제와 같은 증상을 동반하며, 이로 인해 일상적인 활동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 병은 점진적으로 진행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 환자의 진행 속도는 다를 수 있습니다. 2. 파킨슨병의 치료 방법 파킨슨병은 완치할 수는 없지만, 약물 치료와 물리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일상 생활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도파민을 보충하는 약물이 주요 치료 방법 중 하나이며, 현재 경구 약물을 복용 중입니...2025.01.22
-
일상생활의 신경화학물질과 생활속의 신경화학물질 작동의 실천 방법2025.01.281. 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은 '아드레날린'과 같은 신경화학물질로 응급상황에서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자극에 반응할 수 있는 에너지를 만들어 낸다. 영화나 드라마 등을 보며 격한 감정을 느낄 때 아드레날린이 분비될 수 있으며, 스트레스를 받거나 우울한 상황에서 이를 통해 아드레날린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아드레날린 증가로 인해 근육에 피가 많이 흐르고 혈당값이 높아져 공복감을 잊는 경우도 있다. 2. 세로토닌 세로토닌은 중추신경계와 소화기관에 존재하는 신경화학물질로, 소화를 조절하고 기분, 수면, 식욕, 기억, 학습 등에 영향을 미친...2025.01.28
-
Case 보고서_2018_노인간호_하지무력감, 양하지통증2025.01.031. 말총증후군 말총증후군은 허리척추뼈아래 부위에 있는 여러 다발의 신경근이 압박을 받아 생기는 병으로 허리 통증, 양측 하지의 통증 및 감각이상, 근력저하, 회음 주변부위의 감각이상, 배변 및 배뇨기능 장애 등의 복합적인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원인으로는 척추의 골절, 종양성병변, 척추추간판탈출증(허리디스크), 척추관협착증, 수술 후 증후군, 강직성 척추염 등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요통, 편측 하지 통증 또는 양측 하지 통증, 하지 근력 약화, 하지 감각이상, 회음부와 항문 주변의 감각마비 등이 나타납니다. 치료는 감압 수...2025.01.03
-
A+ 과제) 아동 뇌성마비 케이스스터디2025.01.211. 뇌성마비의 병태생리 뇌성마비는 발달 과정 중인 미성숙한 뇌에 발생한 비진행성의 병변으로 인하여 영구적인 운동장애 및 자세 이상 혹은 활동의 제약을 보이는 임상 증후군이다. 무산소증은 뇌 손상의 가장 중요한 병리적 상태이며, 이로 인한 혈관폐색, 위축, 신경원의 소실과 층류의 변성 등이 나타난다. 뇌성마비의 유형에는 경직성, 운동 이상성, 운동 실조성, 혼합형 등이 있으며, 경직성이 가장 일반적이다. 2. 뇌성마비의 증상 및 진단 뇌성마비 아동은 발달지연, 운동장애 등의 증상을 보이며, 신경학적 검진과 병력이 진단의 일차적인 방...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