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동 작업치료
본 내용은
"
운동 작업치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13
문서 내 토픽
-
1. 작업치료 평가 및 사정작업치료 평가는 크게 Top-down approach와 Bottom-up approach로 나뉩니다. Top-down approach는 환자의 작업 및 역할에서 출발하여 현재 대상자의 직업능력과 기능상실에 중점을 두는 반면, Bottom-up approach는 구성요소 평가로부터 수행정도를 가늠하여 주요 문제를 특정한 작업수행 요소에서 찾습니다. 또한 평가 방식에 따라 Performance based assessment, Interviewer assessment, Self-administered assessment로 구분됩니다.
-
2. 작업치료 평가 영역작업치료 평가 영역은 SOAP Note의 Objectives에 해당하며, 이학적 검사, 감각검사, 지각/인지검사, 일상생활활동검사, 발달검사 등이 포함됩니다.
-
3. 관절가동범위 평가관절가동범위 평가는 관절이 움직일 수 있는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 수동 관절가동범위(PROM)와 능동 관절가동범위(AROM)를 측정합니다. 관절가동범위 제한의 원인은 화상, 외상 후 흉터, 골절, 근육섬유화, 탈골, 통증, 부종, 근육강직 등입니다.
-
4. 근력 평가근력 평가는 저항에 대한 근육의 힘을 측정하는 것으로, 일상생활동작을 관찰하거나 도수 근력 검사(Manual Muscle Test)를 통해 평가합니다. 근력 평가는 기능장애를 진단하고 치료의 기초선과 접근방법을 결정하는 데 활용됩니다.
-
5. 근긴장도 평가근긴장도는 근육의 부드러운 수축상태를 의미하며, 비정상적인 근긴장도는 이완, 저긴장, 과긴장, 경직, 강직 등으로 분류됩니다. 근긴장도 측정은 관절의 움직임을 quick stretch 시켜 느껴지는 감각을 통해 평가합니다.
-
6. 협응력 평가협응력은 정확하고 잘 조절된 동작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의미하며, 소뇌 및 추체외로 장애에 따른 협응력 저하를 평가합니다. 소뇌 이상의 경우 움직임의 범위, 양, 힘, 리듬감, 오류 발생률 등을 평가하고, 추체외로 장애의 경우 불수의적 움직임 등을 평가합니다.
-
7. 장악력 평가장악력은 손의 쥐는 힘을 의미하며, 악력계를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또한 집기력(pinch)도 pinch 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
8. 감각 평가감각 평가에는 가벼운 촉각, 압각, 온도감각, 통각, 후각, 미각, 고유수용성 감각, 운동감각, 2점 구별감각, 서화감각, 입체지각 등이 포함됩니다. 감각 장애는 일상생활동작 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1. 작업치료 평가 및 사정작업치료 평가 및 사정은 작업치료사가 환자의 기능적 수준을 파악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개인화된 치료 목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평가 과정에서는 환자의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기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표준화된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현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효과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
2. 작업치료 평가 영역작업치료 평가 영역은 매우 다양하며, 환자의 개별적인 필요와 상황에 따라 적절한 평가 영역을 선택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신체적 기능(관절가동범위, 근력, 근긴장도, 협응력, 장악력, 감각 등), 인지적 기능(주의력, 기억력, 문제해결력 등), 정서적 기능(우울, 불안 등), 사회적 기능(대인관계, 일상생활 수행능력 등) 등이 평가 대상이 됩니다. 이러한 다양한 영역의 평가를 통해 환자의 전반적인 기능 수준을 파악하고, 개인화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치료 과정에서 지속적인 평가와 모니터링을 통해 치료 효과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치료 계획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
3. 관절가동범위 평가관절가동범위 평가는 작업치료 평가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관절가동범위는 관절의 움직임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를 통해 관절의 기능 수준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관절가동범위 평가는 관절의 능동적 움직임과 수동적 움직임을 모두 측정하며, 각 관절의 정상 범위와 비교하여 환자의 기능 수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관절 기능 저하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치료 과정에서 관절가동범위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치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4. 근력 평가근력 평가는 작업치료 평가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근력은 일상생활 수행, 작업 수행, 이동 등 다양한 기능적 활동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근력 평가를 통해 환자의 근력 수준을 파악하고, 근력 저하의 원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근력 강화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치료 과정에서 근력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치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근력 평가는 도수근력검사, 근력계 등의 표준화된 도구를 사용하여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5. 근긴장도 평가근긴장도 평가는 근육의 긴장 상태를 측정하는 것으로, 작업치료 평가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근긴장도 평가를 통해 근육의 경직 정도, 경련 여부, 근육 약화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근육 기능 저하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근긴장도 평가는 도수 검사, 근긴장도 측정기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치료 과정에서 근긴장도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치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6. 협응력 평가협응력 평가는 작업치료 평가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협응력은 신체 각 부위의 움직임을 조절하고 통합하는 능력으로, 일상생활 수행, 작업 수행, 이동 등 다양한 기능적 활동에 필수적입니다. 협응력 평가를 통해 환자의 협응력 수준을 파악하고, 협응력 저하의 원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협응력 향상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협응력 평가는 표준화된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치료 과정에서 협응력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치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7. 장악력 평가장악력 평가는 작업치료 평가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장악력은 물건을 잡고 조절하는 능력으로, 일상생활 수행, 작업 수행, 이동 등 다양한 기능적 활동에 필수적입니다. 장악력 평가를 통해 환자의 장악력 수준을 파악하고, 장악력 저하의 원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장악력 향상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장악력 평가는 표준화된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치료 과정에서 장악력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치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8. 감각 평가감각 평가는 작업치료 평가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감각 기능은 일상생활 수행, 작업 수행, 이동 등 다양한 기능적 활동에 필수적입니다. 감각 평가를 통해 환자의 감각 기능 수준을 파악하고, 감각 기능 저하의 원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감각 기능 향상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감각 평가는 표준화된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치료 과정에서 감각 기능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치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운동치료사의 역할1. 작업치료사의 역할 작업치료사는 신체적ㆍ정신적 기능장애를 회복시키기 위한 작업요법적 치료를 수행한다. 주요 업무 분야로는 감각ㆍ지각ㆍ활동 훈련, 삼킴장애 재활치료, 인지 재활치료, 일상생활 훈련, 운전 재활훈련, 직업 재활훈련, 작업수행능력 분석ㆍ평가, 작업요법적 치료에 필요한 기기의 사용ㆍ관리, 팔보조기 제작 및 훈련 등이 있다. 2. 물리치료사의 역...2025.01.09 · 의학/약학
-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운동치료사의 역할, 업무분야, 실제, 차이점, 간호실무와 다른 점1. 작업치료사 작업치료사는 신체적, 정신적 기능 장애를 원활하게 회복시키기 위하여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물체나 기구를 활용한 감각·활동훈련·작업적 일상생활 훈련, 인지재활치료, 삼킴장애 재활치료, 상지보조기 제작훈련, 작업수행분석 및 평가 업무, 그 밖의 작업요법적 훈련·치료업무를 수행한다. 일상생활활동 평가 및 훈련, 관절운동범위, 근력, 지구력, 협응...2025.01.29 · 의학/약학
-
노인간호학 재활프로그램 NDT, MATT, OT 특징1. NDT(neurodevelopmental treatment) 중추신경계발달재활치료로,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척수손상, 파킨슨병 등의 중추신경계 손상장애 및 근골격계질환으로 근력이 약화되거나 이동·보행·일상생활에 제한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보바스 개념, 중추신경계 발달치료, 고유수용성 신경근촉진법 등을 실시한다. 2. MATT or gait...2025.01.15 · 의학/약학
-
노인간호 건강증진프로그램1. 재활치료 질병으로 인해 움직이고, 생활하기 힘든 환자들을 위하여 불편함 움직임은 최소화 하고, 기능을 극대화하여 사회적으로 최대한 독립적이고 인간적으로 생활하기 위한 재활치료 프로그램. 신체적 활동을 통해 운동성을 증진시켜 근육을 강화시키고, 운동 기능 및 신체 활동량을 증진시켜 원활한 일상생활 도움을 주는 것이 목적이다. 2. 작업치료 작업치료사가 ...2025.05.16 · 보건
-
장애영유아의 운동발달과 중재방법 구체적 활동 사례1. 장애영유아의 운동발달 현황 장애영유아의 운동발달은 전인적 성장에 중요한 요소이며, 일반 영유아에 비해 다양한 어려움을 겪는다. 통계에 따르면 국내 장애영유아의 약 60%가 운동발달 지연을 겪고 있으며, 그 중 40%는 심각한 수준에 이른다. 이러한 현상은 신체적, 지적, 감각적 장애를 가진 영유아들에게서 빈번하게 나타난다. 2. 운동발달 중재방법 장애...2025.01.24 · 보건
-
간호진단 좌측 상하지 근력저하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1. 간호사정(Assessment) 간호사정을 통해 대상자의 활력징후, 일상생활동작(ADL) 지수, 좌측 상하지 근력, 낙상 위험도 등을 확인하였다. 2. 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좌측 상하지 근력저하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로 간호진단을 내렸다. 3. 간호계획(Nursing plans) 간호진단에 따라 단기 및 장기 간호목표를 수립하고...2025.01.14 · 의학/약학
-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운동치료사 역할 3페이지
1.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운동치료사의 역할(1)작업치료사의 역할-신체적ㆍ정신적 기능장애를 회복시키기 위한 작업요법적 치료를 수행한다.(2)물리치료사의 역할-신체의 교정 및 재활을 위한 물리요법적 치료를 수행한다.(3)운동치료사의 역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장애를 가진 모든 연령대의 사람에게 일상생활동작, 일, 여가 활동 등 일상적인 생활을 수행할 수 있고, 기능 및 발달 수준을 유지, 발전시킬 수 있도록 의미 있고 목적 있는 활동을 통하여 치료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수행한다.2.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운동치료사의 업무분야...2024.01.26· 3페이지 -
재활간호학 작업치료 요약 2페이지
재활간호(작업치료)[작업치료의 정의]작업치료학은 신체적, 정신적 발달과정에서 어떠한 이유로 인해 기능이 저하된 사람에게 의미 있는 치료적 활동을 행함으로써, 개인이 최대한 독립적으로 일상생활을 수행하고 능동적으로 사회생활에 참여하여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치료 및 교육하는 보건의료의 한 전문 분야이다.[작업치료의 분야]작업치료학의 다양한 치료방법에는 신경발달치료, 감각통합치료, 운동 및 놀이 활동, 근골격계 질환 예방교육, 직업평가 및 훈련 등의 물리적인 치료가 있으며, 정신과적 치료, 보조공학을 이용한 인간공학적 상담, 보...2022.03.07· 2페이지 -
작업치료임상실습 CASESTUDY_SOAPnote 6페이지
SOAP note* Client Profile?name : 박**?age : 72?date of birth : 1900.00.00?sex : male?DX. : Spinal cord injury d/t OPLL C2/3/4/5/6 Central Cord Syndrome?On set : 2020.08.28Subjective information? Chief Complaint? Current Condition : 독립적인 보행에 어려움을 느끼고 양측 상지, 손 기능의 저하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독립적인 식사에 어려움을 호소? Client...2023.10.01· 6페이지 -
Activity Analysis (AA) 수행 - 비즈공예 10페이지
Activity Analysis< 작업치료분석과 적용 >Ⅰ. 활동명 : 비즈 공예A. 개요 ? 신축성이 있는 투명한 줄에 각양각색의 다양한 크기의 비즈들을취향에 맞게 엮은 후 묶는다.B. 주요단계① : 줄을 손목의 길이에 맞게 여유분을 남기고 자른다(10초)② : 자신의 취향에 맞게 비즈 구슬을 고른다(1~5분)③ : 완성품에 들어갈 비즈의 순서를 구상한다.(1~5분)④ : 준비된 줄에 여유분을 남기고 비즈를 끼운다. (20분)⑤ : 여유분을 묶어 뒤처리를 한다. (1분)C. 주의할 점 ? 날카로운 도구(가위에 베이지 않게 조심한다...2021.10.27· 10페이지 -
작업치료케이스 11페이지
문서정보실습생:부서: 작업치료최초평가일:Case ConferenceI. 평가(Evaluation)1. 작업 프로파일(occupational profile)1) 고객 정보(client information)OO님은 40세 여성으로 과거 조선소에서 직장을 다니셨다. 가족관계는 남편과 함께 생활하며, 반려묘 두 마리를 키우신다. 거주하시는 곳은 00에 있는 아파트 15층에 거주하신다. 취미는 일이 쉬는 날이면 지인을 만나서 모임을 가지시거나 카페를 가셨으며, 휴가 때는 여행을 가셨고 주로 집에서 반려묘를 돌보시는 것이다. 병원에서 주 보...2021.05.29· 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