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부 근육의 종류와 기능
본 내용은
"
하지부 근육의 종류와 기능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16
문서 내 토픽
-
1. 엉덩허리근 (장요근)엉덩허리근(장요근)은 허리뼈 가로돌기에서 기시하여 넓다리 뼈 작은돌기에 닿는다. 이 근육은 넓적다리를 굽히고 척추를 굽힐 수 있으며, 골반을 굽힐 수 있다. 엉덩허리근이 수축하면 자체의 힘은 강해지지만 척추앞근막을 통해 신체의 전체적인 균형이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엉덩허리근은 추간판에 부하를 증가시켜 추간판탈출증, 협착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뇌척수막의 운동성에도 제한을 줄 수 있다. 엉덩허리근이 편측으로 수축하면 골반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
2. 큰볼기근 (대둔근)큰볼기근은 가장 강한 엉덩이의 신전근이며 신체에서 가장 강한 근육이다. 다리와 골반, 척추를 뒤로 당기는 작용으로 하체를 고정시키며, 정지부가 장경인대로 연결되어 무릎을 안정되게 고정시켜 직립자세를 가능하게 한다. 큰볼기근의 경직은 골반의 후방경사를 일으켜 일자 허리를 형성하고 무릎을 구부리게 하여 척추와 어깨를 앞으로 전만시키는 구부정한 보행을 유발할 수 있다.
-
3. 중간볼기근 (중둔근)중간볼기근은 골반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근육이다. 중간볼기근의 약화는 척추를 휘게 만들고 엉덩이를 좌우로 흔들며 걷게 만든다. 중간볼기근의 약화로 인해 'O'형 다리나 'X'형 다리가 발생할 수 있다.
-
4. 이상근 (궁둥구멍근)이상근은 엉치뼈(천골) 2번에서 기시하여 대퇴골두 안쪽면에 닿는다. 이상근의 과도한 사용은 팔자걸음을 만들고 좌골신경통과 유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상근은 천골에 직접 붙지는 않지만 대퇴골 소전자에 부착되어 골반과 허리를 감싸고 있어 골반의 운동성 제한에 관여한다.
-
5. 앞넙다리근육 (대퇴전부근육)넙다리곧은근(대퇴직근)은 고관절과 무릎관절을 지나는 두 개의 관절 근육으로, 고관절 굴곡과 무릎 신전 동작을 한다. 중간넓은근(중간광근)은 무릎을 강하게 신전하는 기능을 한다. 이 근육들의 단축은 무릎 관련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
6. 대퇴 후부의 근 (Hamstring)대퇴 후부근육은 골반의 후방경사를 일으켜 직립을 유지하고 보행을 작동한다. 대퇴 후부근육의 약화는 중력이 뒤로 치우쳐 발을 내딛는 동작을 어렵게 만든다. 반건양근, 반막양근, 대퇴이두근 등이 이 부위의 주요 근육이다.
-
7. 넙다리모음근 (내전근)넙다리모음근은 치골에 부착되어 있어 골반저의 펌핑작용에 관여한다. 모음근의 운동성 제한은 가로막이 올라갈 때 치골이 제 위치로 올라가는 운동성에 장애를 줄 수 있다. 모음근 수축 시 허리가 뒤로 빠지게 되며 골반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1. 엉덩허리근 (장요근)엉덩허리근(장요근)은 허리와 엉덩이를 연결하는 중요한 근육으로, 걷기, 달리기, 계단 오르내리기 등 다양한 일상 활동에 관여합니다. 이 근육의 약화나 불균형은 허리 통증, 엉덩이 통증, 보행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근육의 적절한 강화와 유연성 유지가 중요합니다. 근력 운동과 스트레칭을 통해 이 근육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2. 큰볼기근 (대둔근)큰볼기근(대둔근)은 엉덩이 부위의 가장 큰 근육으로, 걷기, 달리기, 계단 오르내리기 등 하체 동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의 약화는 엉덩이 통증, 허리 통증, 보행 장애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근육을 적절히 강화하고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력 운동과 스트레칭을 통해 이 근육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3. 중간볼기근 (중둔근)중간볼기근(중둔근)은 엉덩이 부위의 중요한 근육으로, 걷기, 달리기, 계단 오르내리기 등 하체 동작에 관여합니다. 이 근육의 약화는 엉덩이 통증, 허리 통증, 보행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근육을 적절히 강화하고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력 운동과 스트레칭을 통해 이 근육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4. 이상근 (궁둥구멍근)이상근(궁둥구멍근)은 엉덩이 부위의 작은 근육이지만, 엉덩이 안정성과 보행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의 약화는 엉덩이 통증, 허리 통증, 보행 장애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근육을 적절히 강화하고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력 운동과 스트레칭을 통해 이 근육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5. 앞넙다리근육 (대퇴전부근육)앞넙다리근육(대퇴전부근육)은 무릎 관절 신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의 약화는 무릎 통증, 보행 장애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근육을 적절히 강화하고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력 운동과 스트레칭을 통해 이 근육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6. 대퇴 후부의 근 (Hamstring)대퇴 후부의 근(Hamstring)은 무릎 관절 굴곡과 엉덩이 관절 신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의 약화는 무릎 통증, 허리 통증, 보행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근육을 적절히 강화하고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력 운동과 스트레칭을 통해 이 근육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7. 넙다리모음근 (내전근)넙다리모음근(내전근)은 엉덩이와 무릎 관절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의 약화는 엉덩이 통증, 무릎 통증, 보행 장애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근육을 적절히 강화하고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력 운동과 스트레칭을 통해 이 근육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전기치료기기1. 전기치료기기의 종류와 특성 전기치료기기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 자극대상, 신경지배특성, 치료목적이 다르다. EMS, NMES, FES, HVPC, IFC, RC, BFB EMG, TENS, PEMF, EF, LIDC(MENS) 등이 있으며, 저주파, 중주파, 고주파 전기자극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각 기기의 특성과 적용 목적을 자세히 설명하고 ...2025.04.26 · 의학/약학
-
요실금 자가학습1. 노화에 따른 요실금 관련 변화 나이가 들면서 신사구체의 네프론 수 감소, 혈관 변화로 신장 혈류량 감소, 항이뇨호르몬 민감도 감소, 방광 용적 감소 등으로 요실금이 발생할 수 있다. 2. 요실금의 정의 및 종류 요실금은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소변을 보게 되는 현상으로, 진성 요실금, 복압성 요실금, 절박 요실금, 일류성 요실금, 기능성 요실금, 복합...2025.01.09 · 의학/약학
-
기본간호학 핵심기본간호술 관련 선행지식 보고서1. 활력징후 측정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의 의미와 정상범위를 설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정리하였습니다. 2. 경구투약 경구투약의 기본 원칙과 대상자의 경구투약 가능 여부 사정 방법, 경구 투약 시 유의사항을 설명하였습니다. 3. 근육주사 근육주사의 기본 원칙, 근육주사 부위, 주의사항과 합병증을 정리하였습니다. 4. 피하주사 피하주사의 기...2025.05.15 · 의학/약학
-
인체 계통별 약물군의 약물의 작용기전, 종류와 작용(효능), 부작용투여 시 주의사항(A+ 보장)1. 자율신경계 약물 자율신경계 약물에는 아드레날린 작용제가 있습니다. 아드레날린 작용제는 교감신경을 흥분시켜 투쟁 또는 도피 반응의 증상들을 유도하며, 저혈압과 쇼크 치료제로 사용됩니다. 작용기전에 따라 직접, 간접, 혼합 작용제로 구분됩니다. 직접 작용제는 α, β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여 교감신경 흥분과 부신수질 호르몬 분비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며, ...2025.01.10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_골절_간호과정_CASE STUDY_fracture!!!1. 골절의 종류 골절의 종류에는 상처 상태에 따른 분류(개방골절, 폐쇄골절), 골절 형태에 따른 분류(완전골절, 불완전골절, 충돌골절, 분쇄골절 등), 골절선의 방향에 따른 분류(선상골절, 종적골절, 사선골절 등)가 있다. 골절의 증상으로는 변형, 부종, 점상출혈, 근육경련, 압통, 통증, 감각변화, 염발음, 쇼크 등이 있다. 2. 골절치료 골절 치료는 ...2025.01.28 · 의학/약학
-
심장의 구조와 순환1. 심장의 위치 심장은 종격동의 중앙과 횡경막의 위쪽에 존재하며, 심첨은 좌측 흉부 제5늑골과 좌측 쇄골 중간선과 수직으로 만나는 위치에 있어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 있다. 심장의 무게는 약 250~300g 정도이다. 2. 심장의 구조 심장은 심외막, 심근층, 심내막의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심장은 중격을 기준으로 좌우로 나뉘며, 심방과 심실, 4개의...2025.01.16 · 의학/약학
-
몸 근육의 명칭과 역할 요약 A+ 과제/근육학,근육의종류,구조 기능 등 12페이지
1. 근육의 형태 및 기능1) 근육의 특성의 분류횡문근 (골격근, 가로무늬근), 평활근(민무늬근), 심장근의 3가지로 나눌수 있다2) 근육의 형태별 기능골격근은 우리의 의지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수의근이라고 하며,내장근과 심장근은 의지에 관계없이 자율신경의 지배하에 있어서 볼수의근이라고 부른다.3) 근육의 분류수의근(지배운동신경)손, 발톱, 복배근, 혀, 인후 볼수의근(지배)신경골격근 평활근 자율신경횡문근 동안근, 성대, 항문 등심장근 : 심장근육평활근 : 심장 이외의 내장기관4) 근육조직의 종류(a) 골격근 : 혀 (b) 심장근...2022.08.05· 12페이지 -
관절수용기 및 근육수용기 36페이지
목 차 관절수용기 관절수용기의 종류와 특성 고유수용성감각 수용기의 기능 관절기능장애 근육수용기 근육 장애관절수용기와 관절기능장애 관절수용기 관절의 움직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들을 중추신경계로 전달관절수용기와 관절기능장애 고유수용성 감각 ( proprioception ) : 인체에 있는 기계적 수용기를 통해 얻은 관절의 위치와 움직임에 대한 정보 or 자신이 발휘하는 힘이나 긴장에 대해 인식하는 감각 관절 위치 감각 (joint position sense) 운동감각 (kinesthesia) 관절수용기의 종류와 특성 Newton ...2023.12.18· 36페이지 -
근디스트로피 병태생리 과제 3페이지
Muscular dystrophy1. 근디스트로피의 정의 근 (muscular) + 이영양증 (dystrophy) - dystrophy = Dys ( 이상 , 악화 ) + Trophe ( 영양상태 ) 근섬유의 비정상적인 성장 및 영양상태 유전학적으로 결정된 진행성의 근육질환 근 질환 중 발생빈도 가장 높은 질환 근섬유 괴사 (necrosis), 재생 (regeneration), 근섬유의 섬유화 (fibrosis), 지방조직 (fatty tissue) 으로의 대체 등 일련의 과정이 되는 특성을 갖음 .2. 근디스트로피의 병태생리 모든...2022.09.07· 3페이지 -
약리학 개별과제(약물 종류별 작용) 20페이지
약리학 보고서 과목명 약리학 담당교수 학년 / 분반 학 번 이 름 제출일 E-mail mobile 목차 Ⅰ. 자율신경계 약물 1. 아드레날린 작용제1 Ⅱ. 중추신경계 약물 1. 파킨슨병 치료제4 2. 알츠하이머병 치료제5 Ⅲ. 근골격계 약물 1. 통증 조절제 6 1) 아편 유사제6 Ⅳ. 혈액, 면역계 약물 1. 지혈, 응고, 관련 치료제8 2. 염증, 발열 치료제11 1)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8 Ⅴ. 감염과 암 치료 약물 1. 결핵 치료제12 Ⅵ. 심혈관계 약물 1. 고혈압 치료제14 Ⅶ. 참고문헌18 Ⅰ. 자율신경계 약물 1. ...2024.06.05· 20페이지 -
[A+보장]성인간호학실습 중증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13페이지 자료입니다. 13페이지
[A+보장]성인간호학실습중증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A+ 받은 13페이지 고퀄리티 자료입니다.목차Ⅰ. 문헌고찰1. 정의2. 증상3. 원인4. 진단5. 검사6. 치료7. 경과/합병증8. 생활가이드Ⅱ. Case Study1. 일반적 사항2. 가족사항 및 병력3. 과거력4. 신체사정Ⅲ. 간호과정Ⅳ. 참고문헌Ⅰ. 문헌고찰1. 정의신경근육접합부(neuromuscular junction)는 말초신경의 신경말단(nerve ending)과 근육섬유의 종판(end plate)으로 구성된 생리학적 구조이며, 말초신경에서 생성 및 전...2024.06.11· 1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