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부 근육의 종류와 기능
본 내용은
"
하지부 근육의 종류와 기능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16
문서 내 토픽
  • 1. 엉덩허리근 (장요근)
    엉덩허리근(장요근)은 허리뼈 가로돌기에서 기시하여 넓다리 뼈 작은돌기에 닿는다. 이 근육은 넓적다리를 굽히고 척추를 굽힐 수 있으며, 골반을 굽힐 수 있다. 엉덩허리근이 수축하면 자체의 힘은 강해지지만 척추앞근막을 통해 신체의 전체적인 균형이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엉덩허리근은 추간판에 부하를 증가시켜 추간판탈출증, 협착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뇌척수막의 운동성에도 제한을 줄 수 있다. 엉덩허리근이 편측으로 수축하면 골반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 2. 큰볼기근 (대둔근)
    큰볼기근은 가장 강한 엉덩이의 신전근이며 신체에서 가장 강한 근육이다. 다리와 골반, 척추를 뒤로 당기는 작용으로 하체를 고정시키며, 정지부가 장경인대로 연결되어 무릎을 안정되게 고정시켜 직립자세를 가능하게 한다. 큰볼기근의 경직은 골반의 후방경사를 일으켜 일자 허리를 형성하고 무릎을 구부리게 하여 척추와 어깨를 앞으로 전만시키는 구부정한 보행을 유발할 수 있다.
  • 3. 중간볼기근 (중둔근)
    중간볼기근은 골반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근육이다. 중간볼기근의 약화는 척추를 휘게 만들고 엉덩이를 좌우로 흔들며 걷게 만든다. 중간볼기근의 약화로 인해 'O'형 다리나 'X'형 다리가 발생할 수 있다.
  • 4. 이상근 (궁둥구멍근)
    이상근은 엉치뼈(천골) 2번에서 기시하여 대퇴골두 안쪽면에 닿는다. 이상근의 과도한 사용은 팔자걸음을 만들고 좌골신경통과 유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상근은 천골에 직접 붙지는 않지만 대퇴골 소전자에 부착되어 골반과 허리를 감싸고 있어 골반의 운동성 제한에 관여한다.
  • 5. 앞넙다리근육 (대퇴전부근육)
    넙다리곧은근(대퇴직근)은 고관절과 무릎관절을 지나는 두 개의 관절 근육으로, 고관절 굴곡과 무릎 신전 동작을 한다. 중간넓은근(중간광근)은 무릎을 강하게 신전하는 기능을 한다. 이 근육들의 단축은 무릎 관련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 6. 대퇴 후부의 근 (Hamstring)
    대퇴 후부근육은 골반의 후방경사를 일으켜 직립을 유지하고 보행을 작동한다. 대퇴 후부근육의 약화는 중력이 뒤로 치우쳐 발을 내딛는 동작을 어렵게 만든다. 반건양근, 반막양근, 대퇴이두근 등이 이 부위의 주요 근육이다.
  • 7. 넙다리모음근 (내전근)
    넙다리모음근은 치골에 부착되어 있어 골반저의 펌핑작용에 관여한다. 모음근의 운동성 제한은 가로막이 올라갈 때 치골이 제 위치로 올라가는 운동성에 장애를 줄 수 있다. 모음근 수축 시 허리가 뒤로 빠지게 되며 골반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엉덩허리근 (장요근)
    엉덩허리근(장요근)은 허리와 엉덩이를 연결하는 중요한 근육으로, 걷기, 달리기, 계단 오르내리기 등 다양한 일상 활동에 관여합니다. 이 근육의 약화나 불균형은 허리 통증, 엉덩이 통증, 보행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근육의 적절한 강화와 유연성 유지가 중요합니다. 근력 운동과 스트레칭을 통해 이 근육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2. 큰볼기근 (대둔근)
    큰볼기근(대둔근)은 엉덩이 부위의 가장 큰 근육으로, 걷기, 달리기, 계단 오르내리기 등 하체 동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의 약화는 엉덩이 통증, 허리 통증, 보행 장애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근육을 적절히 강화하고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력 운동과 스트레칭을 통해 이 근육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3. 중간볼기근 (중둔근)
    중간볼기근(중둔근)은 엉덩이 부위의 중요한 근육으로, 걷기, 달리기, 계단 오르내리기 등 하체 동작에 관여합니다. 이 근육의 약화는 엉덩이 통증, 허리 통증, 보행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근육을 적절히 강화하고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력 운동과 스트레칭을 통해 이 근육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4. 이상근 (궁둥구멍근)
    이상근(궁둥구멍근)은 엉덩이 부위의 작은 근육이지만, 엉덩이 안정성과 보행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의 약화는 엉덩이 통증, 허리 통증, 보행 장애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근육을 적절히 강화하고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력 운동과 스트레칭을 통해 이 근육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5. 앞넙다리근육 (대퇴전부근육)
    앞넙다리근육(대퇴전부근육)은 무릎 관절 신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의 약화는 무릎 통증, 보행 장애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근육을 적절히 강화하고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력 운동과 스트레칭을 통해 이 근육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6. 대퇴 후부의 근 (Hamstring)
    대퇴 후부의 근(Hamstring)은 무릎 관절 굴곡과 엉덩이 관절 신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의 약화는 무릎 통증, 허리 통증, 보행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근육을 적절히 강화하고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력 운동과 스트레칭을 통해 이 근육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7. 넙다리모음근 (내전근)
    넙다리모음근(내전근)은 엉덩이와 무릎 관절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의 약화는 엉덩이 통증, 무릎 통증, 보행 장애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근육을 적절히 강화하고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력 운동과 스트레칭을 통해 이 근육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