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38개
-
코호트 격리 보고서 (감염병 관련 격리 보고서로 활용가능)2025.05.111. 코호트 격리 OOO센터와 병설 기관이던 OOO보호센터 이용자 중 ●●● 어르신께서 보호자에 의해 감염되어 코로나 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아 20xx년 12월 4일 보건소 및 시청 지도 하에 코호트 격리를 시행했습니다. 수급자 전원 코호트 격리하며 1인실을 사용했고, 종사자 또한 1인실을 사용하며 시설장 및 간호사는 전 기간 동안 코호트 격리했습니다. 종사자는 방호복을 착용하여 근무했고, 시설장 및 간호사가 매일 수급자 및 종사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상태를 확인하여 기록하고 보건소 및 시청으로 보고했습니다. 20xx년 12월 3일...2025.05.11
-
아동간호학 성장발달단계별 수두간호중재와 이론적근거2025.01.041. 수두 간호중재 수두는 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에 의한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급성 미열로 시작되고 신체 전반에 가려운 발진성 수포가 생깁니다. 잠복기간은 2~3주이며, 수포에서 나오는 액의 직접 접촉 및 공기를 통해 전파됩니다. 주요 간호중재로는 관찰, 신체/정신/관계 간호, 환경관리, 교육 및 상담이 있습니다. 관찰에는 피부통합성 장애, 소양증 정도, 체온 등을 포함하며, 신체/정신/관계 간호에는 대증요법, 전환요법, 피부간호 등이 포함됩니다. 교육 및 상담에서는 소양증 관리, 약물 정...2025.01.04
-
ICU 위암환자 병동술기 관찰일지2025.01.151. 중심 정맥관 삽입 및 드레싱 중심 정맥관 삽입 시 멸균 가운과 장갑을 착용하고, 삽입 부위를 소독하며, 카테터를 고정하고 드레싱을 한다. 드레싱 교환 시에도 멸균 장갑을 착용하고 클로로헥시딘과 포비돈으로 드레싱을 한다. 이를 통해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2. 의식사정 및 동공반사 반응(GCS & Pupil reflex) 대상자의 의식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눈 반응, 언어 반응, 운동 반응을 평가하고, 동공 반사를 관찰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신경학적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3. 욕창 예방 및 치료 간호 욕창 발생 위험이 ...2025.01.15
-
성인간호학실습 ER 응급실 사전학습 보고서2025.05.111. Emergency Cart Emergency Cart에는 다양한 약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약물의 적응증, 작용 및 부작용, 주의사항 등을 숙지해야 한다. 주요 약물로는 Norpin Inj., Epinephrine Inj., Atropine Sulfate Inj., Inopan Inj., Dopramin Inj., Sodium Bicarbonate 8.4% Inj., Lidocaine HCl 2% Inj., Cordarone Inj., Magnesium Sulfate Inj., Calcium Gluconate Inj., Ye...2025.05.11
-
병원감염관리, 병원감염의 종류와 관리방법2025.01.211. 감염관리의 기본원칙 감염관리의 기본원칙에는 표준주의, 개인보호장구 사용, 호흡기 에티켓, 환자 배치, 환자 치료기구 및 물품 관리, 환경관리, 린넨 관리, 요추천자시술, 의료인의 안전, 안전한 투약 행위 등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미생물의 전파를 감소시키고 의료관련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무균술 무균술은 손이나 표면, 기구 등에 의해 미생물이 강수성 있는 숙주에 전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내과적 무균술과 외과적 무균술로 구분됩니다. 이를 통해 감염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3. 감염성 질환 및 격...2025.01.21
-
수두 병태생리및 증상 치료 간호사정, 진단 및 평가2025.01.291. 수두 병태생리 수두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에 의해 발생하며, 공기 중 비말이나 피부 접촉을 통해 전염됩니다. 초기 감염은 피부와 점막에 발진을 일으키며, 바이러스가 신경절에 잠복하고 대상포진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면역 반응으로 수포가 형성되며, 가려움증과 발열이 동반됩니다. 2. 수두 증상 및 징후 수두의 초기 증상으로는 발열, 두통, 식욕 부진, 기침 등 감기 증상이 나타나며, 이후 홍반성 반점이 발생하여 12-24시간 내에 수포로 발전합니다. 수포는 몸의 대부분, 특히...2025.01.29
-
코로나19 시대 의료인의 역할2025.04.301. 코로나19 시대 간호사의 역할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간호사들은 중요한 역할과 책임을 가지고 있다. 간호사들은 계속해서 병원에서 환자 치료의 최전선에 있을 것이며, 지역사회의 평가와 모니터링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간호사는 모든 환자가 코로나19 감염 여부에 관계없이 개인화된 고품질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 또한 간호사는 위생용품 및 개인보호장비(PPE)의 효과적인 공급 및 사용을 유지하고 최신 지침에 따른 선별 정보, 격리 지침 및 분류 프로토콜을 제공해야 한다. 간호사는 임상 치료, 오염 제거, 격리,...2025.04.30
-
부산대 본원, 양산 필기 복원 (2020-2023)2025.05.151. 보호대 사용 시 간호중재 보호대 사용 시 간호중재로는 적절한 것이 억제대는 최대한 꽉 끼게 적용하지 않고, 섬망 환자는 즉시 보호대를 적용하지 않으며, 적용부위는 30분마다 감각 등을 사정하고, 환자의 안전을 위해 일정 시간 동안 적용해야 하며, 흥분한 환자는 퇴원 시까지 보호대를 적용하지 않는다. 2. 활동성 결핵환자의 격리지침 활동성 결핵환자의 격리지침으로는 병실에 들어가기 전 접촉 주의에 맞는 가운 등을 착용하고, 병실 문을 닫아두고 양압이 유지되는 1인실을 이용하며, 병실 들어갈 때 간호사는 N95마스크를 착용한다. 3...2025.05.15
-
기본간호학 감염관리 레포트2025.05.041. 병원 내 감염 관리 병원 내 감염은 입원 당시에는 없었던 감염이 입원 기간 중에 발생하는 감염으로, 의료 관련 감염이라고도 불린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감염 전파 경로에 따른 적절한 주의(precaution)가 필요하며, 최근에는 다각적 전략(bundle approach)이 권고되고 있다. 2. 다재내성균의 감염 관리 중환자실에 입원한 CRAB 보균자로 인해 다른 환자들에게 CRAB가 전파되었다. 이에 대해 적극적 감시 배양 검사, 환자의 코호트 격리, 손 위생 증진 등의 감염 관리 중재 전략을 시행하여 유행을 종식시켰다....2025.05.04
-
대한민국 정부수립 전, 후 간호 PPT, 한센병2025.05.131. 우리나라 간호의 역사 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간호의 역사를 살펴보고 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약 100명 정도의 한센병 환자를 수용 진료했던 기록이 있으며, 근대시대와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 정부 수립기, 한국전쟁 이후 성장기 등 시대별로 간호 역사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2. 재난 간호 재난 간호의 개념과 사회적 재난, 인적 재난, 자연 재난, 해외 재난, 특수 재난 등 다양한 재난 상황에 대한 간호 활동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3. 한센병 한센병의 정의와 특징, 우리나라에서의 역사적 관리 현황을 다루고 있...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