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1개
-
RNA 추출, cDNA 합성 및 qRT-PCR2025.01.181.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은 DNA의 상보적 가닥에 결합하는 2개의 프라이머를 동시에 사용하여 증폭을 원하는 DNA의 특정 영역만을 in vitro에서 복제, 증폭하는 기술이다. 3단계를 거쳐 DNA를 복제하는데, 변성, 결합, 신장 과정을 반복하여 DNA를 증폭시킨다. 2. RT-PCR (Reverse Transcriptase PCR) RT-PCR은 유전자에서 만들어진 RNA에서 역전사효소를 이용하여 cDNA를 생성한 후, cDNA를 주형 가닥으로 PCR을 수행하여, 유전자의 RNA 발현...2025.01.18
-
[A+ 리포트] - LB Agar Plate 제작 (분자생물학실험)2025.04.251. 분자생물학 실험 이 자료는 분자생물학 실험의 일환으로 LB agar plate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LB agar의 개념과 구성, Ampicillin이 포함된 LB agar plate 제작 방법, 제한효소를 통한 DNA 절단 과정, DNA 정제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2. 미생물 배양 이 자료는 미생물 배양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LB agar plate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LB agar MIX의 구성 성분과 각 성분의 역할, 고압증기멸균 과정, Ampicillin 첨가 등 ...2025.04.25
-
서울대학교 A+ 생물학 실험 PCR, DNA technology2025.01.281. DNA 기술 DNA 기술은 생명과학 및 생명공학의 핵심적인 도구로, 유전 물질의 분석, 변형 및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기술 중 특정 유전자를 vector라 불리는 plasmid에 삽입하고, 그 유전자의 복제본을 생산하는 기술인 DNA cloning, 전기영동을 통한 분석은 유전자 연구와 다양한 생물학적 응용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Plasmid DNA Plasmid DNA는 세균 내에서 독립적으로 복제할 수 있는 작은 원형 DNA 분자로, 염색체 DNA와는 별개로 존재한다. Plasmid는 외래 유전자를 운...2025.01.28
-
생물학실험) 염색체 관찰과 핵형분석 + 과제2025.01.121. 염색체 구조와 종류 염색체는 DNA와 히스톤 단백질로 이루어진 DNA-단백질 복합체로, 진핵생물의 경우 핵 안에 있다. 두 가닥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페어를 이루고 있는 이중나선 구조를 가진 DNA는 히스톤 단백질을 감아서 염주 모양의 뉴클레오솜을 구성하며, 히스톤 단백질은 DNA를 응축시키는 데 관여한다. 염색체는 유전자 구성이 동일한 염색분체 두 개로 구성되며, 동원체(centromere)에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염색체의 종류에는 상염색체와 성염색체가 있다. 2. 감수분열과정, 체세포 분열과의 차이 감수분열은 2회 연속으로 ...2025.01.12
-
Hartl 유전학 정리노트 04. 유전자 연관과 유전자 지도 작성2025.05.101. 유전자 연관 유전자 연관은 동일한 염색체에 있는 유전자들이 함께 유전되는 현상을 말한다. 연관된 대립유전자들은 감수분열 시 서로 같이 있으며, 재조합 빈도를 통해 유전자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재조합 빈도가 낮을수록 유전자 간 거리가 가깝다. 유전자 지도 작성에는 다형성 DNA 서열이 사용되며, 이를 통해 유전병 유발 유전자를 찾을 수 있다. 2. 유전자 지도 작성 유전자 지도 작성에는 재조합 빈도, 삼점교배, 다형성 DNA 서열 등이 활용된다. 재조합 빈도를 통해 유전자 간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삼점교배를 통해 ...2025.05.10
-
PCR 분자 마커에 의한 식물병원균 동정2025.01.141. 미생물 분류 미생물은 지권, 수권, 기권의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풍부한 현존량으로 환경의 항산성 유지와 물질 순환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식물병원체의 감염, 항생물질 생산, 자연 정화 및 식량자원 등 유용‧유해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미생물의 분류는 현미경과 배양적 특성 및 이화학적 특성에 의존하여 현재까지 분류체계가 지속되고 있다. 2. PCR 기술 PCR은 표적 핵산을 증폭하여 검출하는 검사법으로 1988년 Saiki에 의해 온천 지역과 같은 고온에서 생육하는 세균인 Thermus aquotus로부터 열에 안정한 ...2025.01.14
-
TECAN을 이용한 DNA quality check와 전기영동을 통한 대장균의 병원성 유형 확인2025.01.121. DNA 추출 및 정제 세포로부터 DNA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세포 내 DNA가 세포 밖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세포벽 및 세포막을 분해시켜야 한다. DNA 추출은 크게 세 단계로 이루어지며, sample의 세포막을 제거하는 단계인 Lysis, DNA 구조를 제외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인 Washing, 불순물이 필터링된 DNA 샘플만을 tube에서 용출해내는 단계인 Elution이 있다. 2. DNA quality check 추출한 DNA는 DNA quality check를 해주고, Nucleic acid quantific...2025.01.12
-
이화여대 생명과학실험 A+ 리포트(Realtime PCR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분석)2025.01.231. RNA sequencing RNA sequencing은 DNA로부터 전사되는 모든 RNA 전사체의 염기서열을 차세대 분석기술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기술이다. RNA sequencing을 위해서는 cDNA가 필요한데 cDNA를 준비하는 일반적 과정은 보통 RNA 추출>RNA 선택>cDNA 합성>라이브러리 제작으로 이루어진다. RNA 염기서열 분석 기술을 통해 alternative RNA splicing, 유전자의 발현량, 염기서열의 변이, gene fusio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등의...2025.01.23
-
확산형 위암의 게놈 프로파일 분석2025.05.121. 확산형 위암 확산형 위암의 유전체 프로파일 분석 결과를 보면, CDH1 유전자의 높은 빈도의 체세포 돌연변이가 관찰되었습니다. 이는 E-cadherin-칼슘 상호작용과 cadherin의 β-barrel 구조의 안정성과 관련이 있으며, CDH1 유전자와 칼슘 신호 전달 경로가 확산형 위암의 병인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2. 유전체 분석 전장 유전체 및 엑솜 시퀀싱 분석을 통해 확산형 위암에서 관찰되는 체세포 돌연변이와 복제 또는 결실 이벤트의 전장 유전체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구조적 변이 및 복제수 변이 분석을 통...2025.05.12
-
PlasmidDNA Purification & Sanger Sequencing 보고서2025.01.211. Bacterial transformation 박테리아 transformation은 특정 DNA 조각을 박테리아의 유전체 내로 삽입하여 새로운 유전형질이 발현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박테리아 plasmid는 restriction enzyme이 작용하는 multicloning site와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외부 유전 물질을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약 8kb의 긴 DNA 조각을 박테리아 plasmid에 삽입하여 복제할 수 있습니다. 2. Liquid LB culture 및 Colony inoculat...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