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0개
-
루카스 LUCAS 심폐소생술 흉부압박기계 사용 메뉴얼2025.01.121. LUCAS 흉부압박시스템 LUCAS(The Lund University Cardiopulmonary Assist System) 흉부압박시스템은 자발적인 호흡과 맥박이 없고 의식이 없는 것으로 정의되는 급성 순환정지가 있는 성인환자에게 외부심장압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로 효과적인 수동심폐소생술이 불가능할 때 수동 심폐소생술의 보조장치로 사용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 장비는 심폐소생술 중 가슴압박을 강하고 빠르게 중단없이 시행하여 뇌와 심장에 지속적으로 혈류를 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LUCAS 사용 방법 LUCAS...2025.01.12
-
심장 응급 상황 사례 보고서2025.01.031. 부정맥 부정맥은 심장박동이 불규칙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부정맥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심장 내 전기적 신호의 전달 경로나 그 주위 심장 부위에 이상이 생겨 발생한다. 부정맥의 증상으로는 두근거림, 맥이 빨리짐, 어지러움, 실신, 피로감, 가슴통증, 흉부 불쾌감, 호흡곤란 등이 있다. 부정맥의 진단을 위해서는 심전도 검사, 24시간 심전도 검사, 전기생리학적 검사 등이 필요하다. 부정맥의 치료방법에는 항부정맥제, 인공심박조율기, 전기적 심율동전환, 도자절제술, 수술요법 등이 있다. 1. 부정맥 부정맥은 심장의 정상적인 리듬...2025.01.03
-
ST분절 상승 심근경색 케이스 스터디 STEMI케이스, 응급실 케이스2025.01.141. 급성 심근경색증 급성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혀 심근조직이 비가역적으로 손상되어 경색이나 괴사가 발생한 상태를 말한다. 주요 증상은 흉골 하부로 가슴 깊숙이 쥐어짜거나 조이는 양상의 허혈성 통증이며, 통증이 목이나 턱, 어깨, 좌측팔의 안쪽 또는 등으로 퍼지는 방사통을 동반하기도 한다. 진단은 신체검진, 심전도, 혈액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재관류요법(혈전용해술,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과 약물요법(항혈소판제, 항응고제, 베타차단제 등)이 주요하다. 합병증으로는 부정맥, 심인성 쇼크, 심실 기능부전, 혈전색전...2025.01.14
-
급성 심근경색 AMI 케이스2025.01.131. 급성 심근경색증 급성 심근경색증은 심장의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갑자기 막혀서 심근에 괴사가 일어나는 질환이다. 급성 심근경색증은 선진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병원입원의 원인 질환이면서 가장 흔한 사망 원인 중의 하나이다. 급성 심근경색증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동맥경화증이며, 가장 흔한 발생 원리는 관상동맥의 동맥 경화반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히면서 심근의 괴사가 일어나는 것이다. 2. 증상 가장 흔히 느낄 수 있는 증상은 가슴 통...2025.01.13
-
태아 부정맥(정의, SVT, AF, CAVB)2025.01.031. 태아 심장 부정맥 태아 심장 부정맥은 전체 임신의 1%에서 발생하며, 태아 심장박동수의 서맥이나 빈맥이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입니다. 이소성 조기수축, 상실성빈맥, 방실차단 등의 부정맥이 있으며, 임상적으로 중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지속적인 상실성빈맥으로 이어지는 기외수축도 관찰될 수 있습니다. 치료는 항부정맥제인 Digoxin, Flecainide, Sotalol, Amiodarone 등을 사용하지만, 모체와 태아에 미칠 수 있는 부작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2. 상실성 빈맥(SVT) 상실성 빈맥(SVT)은 기외수축으로...2025.01.03
-
부정맥 문헌고찰2025.05.011. 부정맥의 정의 부정맥이란 심장이 정상적으로 뛰지 않는 것을 말하며 종류가 매우 많습니다. 부정맥이 생기면 곧바로 심장 박동이나 맥박이 불규칙해지거나, 분당 60회 미만으로 느려지거나(서맥증), 분당 100회 이상으로 빨라지는 이상이 발생 합니다(빈맥증). 2. 부정맥의 원인 부정맥은 심장의 전기적 신호의 발생과 전달에 이상이 생기면서 발생하는데, 유발 요인으로는 심장의 선천적인 이상, 담배, 술, 카페인, 다른 심장 질환, 갑상선 질환, 비만, 수면무호흡증, 고령, 유전적 부정맥 등이 있습니다. 3. 부정맥의 증상 부정맥이 발...2025.05.01
-
NSTEMI 케이스 스터디2025.01.121. 관상동맥질환 관상동맥질환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죽상경화증을 포함하는 혈관장애로 인해 내강이 좁아짐으로써 심근이 필요로 하는 충분한 양의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여 발생되는 관상동맥성심장질환이다. 죽상경화증으로 인한 관상동맥질환의 유발에는 혈관내피세포의 손상과 혈액내 지질의 변형, 지질의 침착이 주된 기전으로 작용한다. 2. NSTEMI NSTEMI(Non-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는 관상동맥의 부분 폐색 등으로 발생하는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으로, 심근의 허혈상태에 따라 임상적...2025.01.12
-
스포츠상해 과제2025.05.141. CPR의 정의 CPR은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의 약자로 우리나라 말로는 심폐소생술이라고 말하며 갑자기 심폐정지를 일으킨 경우 시행하는 응급처치를 말한다. 최근에는 심폐뇌소생(CPCR)이라는 개념도 이용되고 있다. 2. 자동 제세동기의 개념 자동심장 충격기라고도 말하며 심실세동 또는 심실빈맥으로 심정지가 되어 있는 환자에게 전기적 충격을 주게되어 심장의 정상 심박수를 가져오게 해주는 도구를 말한다. 의학 지식이 부족한 일반인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3. 심정지의 정의 심장이 효율적으로...2025.05.14
-
응급약물 및 심폐소생술 CPR 관련 PPT 컨퍼런스 자료2025.01.121. 약물 투여 경로에 따른 효과 약물의 투여 경로에 따라 생체 내에서의 효과가 달라진다. 경구 투여는 문맥순환을 거치므로 효능이 제한되지만, 설하 투여는 모세혈관으로 직접 전달되어 간대사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직장 투여는 간대사 제거율을 최소화하고, 정맥 투여는 신속한 최대 농도 도달이 가능하다. 근육 및 피하 투여는 서서히 용해되어 지속성 효과가 있으며, 흡입 투여는 기도점막을 통해 신속한 흡수가 가능하다. 2. 심폐소생술 중 약물 투여 경로 심폐소생술 중에는 혈액순환이 주로 심장과 뇌에 국한되므로 정맥 투여가 가장 이상적이다...2025.01.12
-
A+ STEMI_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CASE STUDY 간호과정3개2025.05.111. 심근경색증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연동) 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 심장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에 비가역적으로 괴사를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심근경색증은 ST분절 상승 심근경색과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심장발작이라고도 합니다. 급성 심근경색은 심근 손상의 크기와 정도에 따라 심장의 펌프 능력에 영향을 주어 심인성 쇼크와 사망에 이르기 때문에 신속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2.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보통 성인...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