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24개
-
방통대 농학과 시설원예학 중간과제물 자료2025.01.251. 수경재배 수경재배(water culture, hydroponics)는 시설 재배의 한 형태로서 토양 없이 생육에 요구되는 무기양분을 적정농도로 골고루 용해시킨 양액(養液)과 배지(培地)로 작물을 재배하는 것을 말한다. 수경재배의 중요한 특징을 장단점으로 나누어 정리하면 자원을 절약하고 환경을 보전할 수 있으며 고품질의 무농약 청정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초기 투자자본이 많이 필요하고 양액관리 등의 전문적 지식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2. 양액과 배지 수경재배에서 토양을 대신하는 것은 양액과 배지이다. 양액(...2025.01.25
-
일반미생물학 실습 보고서 (aseptic technique, optimal growth temp)2025.05.101. Aseptic technique 실험을 통해 액체배지와 고체배지에서 균주 B. subtilis, E. coli, S. aureus의 성장 특성을 관찰하였다. 액체배지에서는 균의 생장 형태인 pellicle, turbidity, sediment를 확인하였고, 고체배지에서는 균의 colony 색깔, 크기, 형태 등을 관찰하였다. 실험 과정에서 균 접종 시 루프 멸균이 완벽하지 않아 오염이 발생한 것으로 보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루프 멸균을 더욱 철저히 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2. Optimal growth temperatu...2025.05.10
-
[식품미생물학실험 레포트] 손톱의 Staphylococcus aureus 배양2025.05.131. Staphylococcus aureus 이번 실험의 목적은 손톱에 있는 균들 중 Staphylococcus aureus를 선택배지에서 정량적으로 counting 하는 것이다. Staphylococcus aureus는 그람 양성균으로 황색 포도상구균이라고 불리며, 사람의 코, 목, 피부, 손톱 등에서 발견된다. 이 균은 산소가 있는 곳에서 잘 자라며, 낮은 수분활성도와 일정 농도의 소금, 설탕 등의 환경에서 잘 자란다. 또한 단백질을 분해하여 사용하고, 열에 강한 독소를 생성할 수 있어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2025.05.13
-
Hybridoma cell and antibody purification2025.04.271. 단일클론항체 단일클론항체는 하나의 에피톱에 특이성을 갖는 항체로, 항원을 동물에 주입하고 B세포를 추출하여 골수종 세포와 융합하여 hybridoma cell을 제조하여 얻을 수 있다. 단일클론항체는 높은 표적 선택성 때문에 다양한 임상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2. HAT 배지 HAT 배지는 핵산 합성을 위한 salvage pathway의 전구체인 hypoxanthine과 thymidine을 포함하며, aminopterin 성분은 de novo pathway를 억제한다. 따라서 HAT 배지에서 세포를 배양하면 salvage p...2025.04.27
-
[식품미생물학실험 레포트] PCA 제조와 손의 균 배양2025.05.131. PCA 제조 이번 실험의 목적은 직접 plate count agar을 제조해보고, petri dish에 손의 소독 전과 후의 세균을 배양하는 것이다. PCA를 물과 영양분을 섞어 삼각 플라스크에 담은 뒤, magnetic bar와 함께 가열해준다. 잠시 식힌 배지를 autoclave에서 멸균한 뒤 petri dish에 담아 굳힌다. 이 petri dish를 반으로 나누어 한 쪽에는 소독하지 않은 손을, 다른 쪽에는 소독한 손을 이용하여 균을 묻힌 뒤 배양한다. 2. 손의 균 배양 실험 결과에 큰 오차의 원인이 존재했다. 손의 ...2025.05.13
-
미생물의 배양과 관찰 결과 보고서2025.01.121. 미생물 배양 실험을 통해 미생물을 배지에 배양하고 관찰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spreading 한 배지에서는 전반적으로 많은 미생물이 관찰되었고, streaking 한 배지에서는 도말 순서에 따라 미생물의 양이 점차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colony는 흰색, 주황색, 노랑색의 원형을 띄고 있었다. 손가락을 찍은 R2A 배지에서도 다양한 미생물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미생물 관찰 실험을 통해 미생물의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spreading 한 배지에서는 한 가지 미생물로 보였지만, streaking...2025.01.12
-
미생물 동정 1 - Gram staining & MacConkey test - 결과레포트2025.01.241. 그람 염색 그람 염색은 세균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적인 미생물학적 기법입니다. 이 기법을 통해 세균을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람 양성균은 보라색으로 염색되고, 그람 음성균은 분홍색으로 염색됩니다. 이 정보는 세균의 세포벽 구조와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MacConkey 배지 MacConkey 배지는 그람 음성 세균을 선택적으로 배양하는 데 사용되는 배지입니다. 이 배지에서 락토스를 발효할 수 있는 그람 음성균은 분홍색 또는 붉은색 집락을 형성하며, 락토스를 발효할 수 없는 ...2025.01.24
-
[생물공정실험] 4주차 Bacterial Identification(Durham bubble test & Gram staining) 예비보고서2025.04.261. 박테리아 식별 박테리아 식별을 위해 현미경 관찰, 의학적 방법, 생화학적 방법, 혈청학적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크기, 모양, 세포 외부 특성, 내성, 대사 특성, 차별적 염색, 혈청학적 방법 등을 통해 박테리아를 구분할 수 있다. 2. 그람 염색법 그람 염색법은 세포벽 성분의 차이에 따라 박테리아를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으로 구분하는 기본적인 방법이다.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 요오드 용액 처리, 탈색, 사프라닌 대조 염색의 3단계로 진행된다. 3. Durham bubble test Durham bubble test...2025.04.26
-
방송통신대학교(방통대) 정보통신망 2023년 중간 과제물 만점 리포트2025.01.241. 디지털 배지 디지털 배지는 기존의 물리적인 증명서와 달리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하고, 유효성 검증이 간단하며, 분실 위험이 없고, 추가 정보 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디지털 배지는 블록체인 기술과 결합하여 변조가 어렵고 발급 기관이 사라져도 검증이 가능하며, 머신러닝 기술과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교육 과정을 추천해줄 수 있다. 디지털 배지의 도입을 위해서는 표준화와 신뢰할 수 있는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2. 개인정보 보호 기존의 물리적인 증명서는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포함하고 있어 증명서를 제출...2025.01.24
-
세포 배양법2025.05.141. 세포 배양법 세포 배양은 생물체에서 분리해낸 세포를 체내 환경이 아닌 액체 배지, 고체 배지와 같은 외부 환경에서 키우는 것으로, 의과학과 생물학에서 자주 활용되는 기술이다. 세포 배양은 목적한 세포를 증식시키거나, 관찰하기 때문에 세포에 따라 온도, pH 등과 같은 적절한 생장 환경을 설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배지에는 세포가 생명활동을 유지하기 위한 amino acid, glucose와 같은 영양분이 첨가되며, 때로는 목적한 세포를 제외하고 모두 제거하기 위해 항생물질을 첨가하기도 한다. 2. LB 배지 LB는 Lysoge...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