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4개
-
교류및전자회로실험 실험5-1_다이오드 특성실험 결과보고서2025.01.201. 다이오드 특성 이번 실험에서는 다이오드의 전압-전류 특성을 실측을 통해 확인하였다. 다이오드가 정방향으로 연결되었을 때 일정 전압 이하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다가 그 전압을 넘어서면 급격히 전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역방향으로 연결되었을 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LED의 경우에도 비슷한 특성을 보이지만, 전압-전류 특성 곡선에서 특정 전압 이하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다가, 해당 전압을 넘어서면 급격히 전류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2. 부하선 특성 실험을 통해 다이오드 회로에서 부하선을 얻는 방법을 확인하였...2025.01.20
-
전자공학실험 6장 공통 이미터 증폭기 A+ 예비보고서2025.01.131. BJT 소신호 등가회로 BJT 소신호 등가회로는 트랜지스터의 선형적인 증폭을 얻기 위해 소신호 AC 전압을 입력 전압으로 하는 등가 회로 모델이다. 컬렉터 전류 i_c는 g_m에 비례하며, 소신호 출력 전압 v_o의 크기는 r_o에 비례한다. 따라서 r_o는 컬렉터 전류에 반비례한다. 2. 공통 이미터 증폭기의 동작 원리 공통 이미터 증폭기에서 입력 v_I는 베이스-이미터 전압 v_BE이고, 출력 v_0는 컬렉터-이미터 전압 v_CE이다. 베이스-이미터 사이의 소신호 입력 전압에 비례하는 전류가 컬렉터에 흐르고, 이 전류가 출...2025.01.13
-
[예비보고서]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Push-Pull Amplifier 설계2025.05.101. Classic Push-Pull Amplifier 특성 Push-Pull 증폭기는 NPN, PNP 2개의 BJT로 구성되어 Dead zone이라는 구간이 발생한다. 입력전압 -Vbe 인 경우 두 BJT 모두 꺼진 상태로 동작하여 출력전압은 입력 전압에 상관없이 0이 되기 때문이다. 2. Feedback loop와 OP-amp를 이용한 Push-Pull Amplifier 특성 Push-Pull amplifier 출력단자를 OP-Amp (-)입력단자로 feedback시킨 것만으로 입출력 관계 전달특성곡선의 dead zone이 제거...2025.05.10
-
전자회로실험 과탑 A+ 결과 보고서 (실험 22 연산 증폭기 특성)2025.01.291. 연산 증폭기 특성 연산 증폭기(op-amp)는 두 입력 단자 간의 전압 차이를 증폭하여 출력으로 전달하는 고이득 전압 증폭기이다. 이 연산 증폭기는 다양한 회로 구성에 따라 반전 증폭기, 비반전 증폭기, 차동 증폭기 등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각 회로는 저항 및 피드백 요소를 추가하여 원하는 특성에 맞게 출력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2. 공통 모드 전압 범위 연산 증폭기의 입력 공통 모드 전압 범위를 측정하여 표 22-1에 기록하였다. 입력의 공통 모드 전압을 변화시키면서, 연산 증폭기의 DC 전류가 일정하게 흐르고 출력의 ...2025.01.29
-
트랜지스터 회로 실험 결과 보고서2025.01.031. 트랜지스터의 증폭작용 트랜지스터의 가장 핵심적인 기능은 전류 증폭기로서의 기능이다.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적절한 회로를 구성하면 베이스 전류가 입력전류이고 컬렉터 전류를 출력 전류로 할 때 I_C = betaI_B(beta는 전류 증폭률)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트랜지스터 회로의 전류 증폭률을 계산함으로써 회로의 동작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2. 이미터 공통(common emitter)회로 이미터 공통 회로에서 I_B와 I_C는 각각 I_B' = (V_RB) / (V_B) = (V_BB - V_B) / (V_R)와 I_C = ...2025.01.03
-
[아주대] 물리학실험- 저항의 연결2025.05.011. 저항의 색 코드와 디지털멀티미터 사용법 실험을 통해 저항의 색 코드와 디지털멀티미터의 사용법을 익힐 수 있었다. 저항은 네 줄로 저항값을 표현하는데, 왼쪽부터 A~D라 한다. A는 1째 자리에 올 유효숫자, B는 2째 자리에 올 유효숫자, C는 앞의 두 자리숫자 뒤에 붙일 0의 수이고, 마지막으로 D는 허용 오차를 의미한다. 흑(0), 갈(1), 적(2), 주황(3), 황(4), 녹(5), 청(6), 자(7), 회(8), 백(9)을 통해 색 코드의 표시저항을 읽을 수 있다. 2. Kirchhoff 법칙과 전기 전항의 직렬 및 ...2025.05.01
-
실험 04_BJT 기본 특성 예비 보고서2025.04.271. BJT의 기본 동작 원리 BJT는 N형과 P형 반도체를 샌드위치 모양으로 접합한 구조로, 이미터, 베이스, 컬렉터라는 3개의 단자로 구성된다. 베이스 단자의 전류가 컬렉터 단자의 전류나 이미터 단자의 전류에서 증폭되는 특성을 가지므로, 증폭기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실험에서는 BJT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를 살펴보고, 전류-전압 특성 및 동작 영역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다. 2. BJT의 동작 영역 BJT는 모형과 n형 반도체 3개를 결합하여 만든 소자로서, 그 구성에 따라서 npn형과 pnp형으로 나뉜다. npn형 BJT의 동...2025.04.27
-
MOSFET 바이어스 회로 실험 결과 보고서2025.01.021. MOSFET 바이어스 회로 이 실험 보고서는 MOSFET 바이어스 회로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실험을 통해 게이트 바이어스 회로와 리미팅 회로의 전류 측정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PSpice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험 결과 간의 차이에 대해 고찰하였습니다. 실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요인들, 예를 들어 브레드보드, 도선, MOSFET, 저항 등의 내부 저항 특성으로 인한 차이가 실험 결과와 시뮬레이션 결과의 차이를 발생시킨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1. MOSFET 바이어스 회로 MOSFET(Metal-Oxide-S...2025.01.02
-
마이크로프로세스 ) 타이머/카운터 3을 9비트 분해능의 Fast PWM 모드로 설정하고, 내부 클럭을 64분주시켜 Duty 비가 65%인 구형파를 만들어서 OC3A 핀으로 정상 출력하고자 한다. 필요한 레지스터 값을 설정하시오.2025.01.281. 마이크로프로세서 타이머/카운터 3 설정 마이크로프로세서Ⅰ타이머/카운터 3을 9비트 분해능의 Fast PWM 모드로 설정하고, 내부 클럭을 64분주시켜 Duty 비가 65%인 구형파를 만들어서 OC3A 핀으로 정상 출력하고자 한다. 필요한 레지스터 값을 설정하시오. 2. 9비트 Fast PWM 모드 설정 타이머/카운터 3를 9비트 분해능의 Fast PWM 모드로 설정하고, 내부 클럭을 64로 분주하여 65% 듀티 사이클의 구형파를 OC3A 핀으로 출력하기 위한 레지스터 값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3. 출력 비교 모드 설...2025.01.28
-
중앙대학교 정류회로 및 정전압 전원회로 결과 보고서2025.01.291. 평활 회로 평활 회로는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사용한 저주파 필터로 구성되어 교류 전압 성분을 제거한다. 인덕터는 교류의 흐름은 차단하고 직류는 그대로 통과시키며, 커패시터는 교류의 흐름은 통과하고 직류는 차단시킨다. 인덕터를 사용하면 평활 성능이 뛰어나 더 안정적인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지만 가격이 저항보다 비싸다. 저항으로 교체할 경우 회로의 단순화와 비용 절감의 장점이 있지만, 전압 강하와 리플의 증가로 인해 출력의 질이 떨어진다. 2. 정전압 전원 회로 정전압 안정화 회로에서 부하가 변동하여 부하 전류가 갑자기 증가하게 ...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