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2개
-
미생물 동정 3 - SIM test, Catalase test, 내염성 test - 예비레포트2025.01.241. SIM test SIM test는 미생물의 황화수소 생성, 인돌 생성, 운동성 등을 확인하는 실험입니다. 황화수소 생성은 배지에 황이 포함되어 있을 때 미생물이 이를 환원하여 황화수소를 생성하는 것을 확인합니다. 인돌 생성은 트립토판을 기질로 하여 미생물이 인돌을 생성하는지 확인합니다. 운동성은 반고체 배지에서 미생물의 운동성을 확인합니다. 2. Catalase test Catalase test는 미생물이 과산화수소를 분해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실험입니다. 과산화수소를 분해하면 산소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미생물의 ca...2025.01.24
-
[화공생물공학기초실험 A+예비레포트] 유산균 음료로부터 미생물 분리 평판 계수법2025.01.121. 유산균 분리 및 배양 이 실험에서는 유산균 음료에서 유산균을 분리하고 평판 계수법을 이용하여 유산균의 수를 측정하였습니다. 유산균은 젖산발효를 통해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로, 식품 및 의약품 제조에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실험에서는 BCP 배지와 MRS 배지를 사용하여 유산균을 선택적으로 배양하고 정량하였습니다. 또한 무균 조작법, 멸균 기법, 미생물 계수법 등의 기본적인 미생물학 실험 기술을 익힐 수 있었습니다. 2. 미생물 생장 곡선 미생물의 생장 곡선은 크게 4단계로 나뉩니다. 첫 번째는 유도기로, 새로운 배지에 접종...2025.01.12
-
미생물학 실습 평판계수법과 catalase test 레포트2025.01.031. 평판계수법 평판계수법 실험에서 학생들이 진행한 실험의 결과에 문제가 생겨서 결과확인이 미뤄졌다. 따라서 평판계수법 실험에 문제가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 원인을 생각해보면, 처음에 agar가 다 마르지 않은 배지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했다. 평판계수법을 통해 구한 E.coli 개수를 구하여 CFU/ml 단위를 기록하였다. 2. catalase test catalase test에서는 S.aureus와 E.coli를 도말한 슬라이드 글라스 둘 다 거품이 생성된 조가 있는 반면에 S.aureus만 거품이 생성된 조가 있었다. ...2025.01.03
-
[유전학] 세포배양 방법 및 과정 분석2025.05.031. 세포 배양 세포 배양은 일반적인 자연환경과는 다른 통제된 조건에서 세포가 성장하는 과정을 총칭한다. 세포가 살아있는 조직에서 분리가 된다면 생존할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신중하게 제어된 조건을 유지해줄 필요가 있다. 이 조건은 세포의 유형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아미노산, 탄수화물, 비타민, 무기질 등의 필수 영양소와 호르몬, 항생제 등이 필요하고 이를 적절하게 공급하기 위한 배지가 있는 적절한 용기로 구성 되어야한다. 2. 세포 배양 방법 세포 배양을 하기 위해서는 배양할 세포를 얻어와야 하는데 그 방법에는 크게 두가지...2025.05.03
-
2022년 1학기 서울대 생물학실험 모듈 3 실험보고서2025.01.231. 형질전환 본 실험에서는 재조합된 플라스미드로 대장균을 형질전환하고, PCR과 전기 영동을 통해 형질전환의 결과를 DNA 수준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여러 종의 플라스미드를 대장균에 도입해 형질전환을 유도했으며, colony PCR을 통해 도입된 플라스미드를 대량으로 복제한 후 확인했다. 2. PCR PCR은 DNA 중합 효소와 프라이머를 이용해 DNA의 특정 부분을 대량으로, 인공 환경에서 복제하는 기술이다. PCR을 통해 실험에서 활용되는 DNA를 대량으로 복제해 사용할 수 있으므로 PCR 기술은 유전 공학에서 매우 중요하다...2025.01.23
-
그람염색법을 통한 세균의 관찰 추가 탐구보고서2025.01.291. 그람염색법 그람염색법은 세균을 관찰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항산성 세균과 비항산성 세균을 구분할 수 있다. 항산성 세균은 붉은색으로, 비항산성 세균은 청색으로 염색된다. 이 방법은 병원성이 낮은 균주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실험할 수 있으며, 결핵균과 같은 고위험 균주를 다룰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2. 미생물 배양법 미생물 배양법에는 고체 배양법, 액체 배양법, 기체 배양법이 있다. 고체 배양법은 미생물의 성장과 분리가 용이하고, 액체 배양법은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기체 배양법은 공기 중 미생물을 분리할 수 있다. 각 방법의 ...2025.01.29
-
식품미생물학 미생물의 역사와 발전2025.05.071. 미생물의 정의, 종류, 특징, 필요성 미생물은 인간에게 유익하게 이용되거나 해를 끼치면서 여러 환경 하에서 증식과 사멸을 반복하는 작은 생물입니다. 미생물에는 세균, 진균, 바이러스, 원생동물, 조류 등이 포함됩니다. 미생물은 현미경으로만 관찰이 가능하며 지구 상 어느 곳에서나 분포하는 한 미세한 단세포 생물입니다. 미생물은 기초생물학과 응용생물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미생물학의 세부 분류 미생물학은 순수미생물학, 응용미생물학, 병원미생물학으로 세부 분류됩니다. 순수미생물학은 세포학, 형태학, 생태학, 분류학,...2025.05.07
-
[A+ 레포트] 미생물학 관련 단어 정리 레포2025.05.021. aseptic technique 무균술은 잠재적인 병원균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으로서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의료기관의 다양한 수술이나 시술 등에 적용되는 개념이다. 무균술은 흔히 내과적 무균술과 외과적 무균술로 분류된다. 내과적 무균술은 미생물의 전파예방과 오염 최소화라는 개념이 적용되는 방법이므로 격리의 표준주의의 개념을 상당부분 포함한다. 외과적 무균술은 병원균 및 아포를 포함한 모든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멸균술(sterile technique)이라고도 하며, 수술이나 수술 시에 적용한다. 2. disin...2025.05.02
-
서울대 생물학실험 A+ 실험 보고서 32025.05.101. DNA 클로닝과 형질전환 DNA 클로닝은 원하는 DNA 조각을 복제하여 여러 개의 DNA 복사본을 얻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를 위해 DNA 조각은 벡터라고 불리는 DNA 분자와 재조합되는 과정을 거치며, DNA 조각은 클로닝하고자 하는 유전자나 특정한 염기 서열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일련의 과정 후 복제된 클론은 세포에 삽입되며, 복제 및 유전자 발현에 이용됩니다. 이렇듯 외부 DNA가 도입되며 세포의 유전 형질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를 형질 전환이라 일컫는데, 일반적으로 형질 전환에는 plasmid 벡터가 사용됩니다. 2. ...2025.05.10
-
[아주대] 생물학 실험1 - 발효2025.05.011. 세포의 에너지 발생 과정 이번 실험을 통해 세포의 에너지 발생 과정 중 하나의 발효 기작의 생화학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실험에서는 알코올 발효 과정에서 CO2 발생을 관찰하고 유산균에 의한 젖산발효 실험을 진행하였다. 알코올 발효 과정에서는 효모가 탄수화물로부터 에탄올과 탄산가스를 생산하여 배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유산균 발효에서는 젖산 생성으로 인한 pH 변화와 우유의 응고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발효의 생화학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2. 알코올 발효 알코올 발효 과정에서 효모는 탄수화물을 ...202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