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43개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듣기와 말하기 연계 교육2025.11.131. 듣기의 개념과 특성 듣기는 음성 언어를 매개로 하여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이해하는 과정입니다. 청자가 음성적으로 입력되는 정보를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선택하고 재구성하는 행위입니다. 듣기의 특성으로는 화자의 강세, 리듬, 억양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음운론적·형태론적·통사론적·화용론적으로 축약된 형태가 많고, 일회성을 지니고 있으며, 화자의 어조나 표정, 동작 등 언어 외적 요소가 이해에 영향을 줍니다. 2. 듣기와 말하기의 연계 교육 듣기와 말하기는 음성 언어를 매개로 하며 구어적 특성을 공유합니다. 의사소통의 70% 이상...2025.11.13
-
한국어 대화에서 나타나는 화행적 특징2025.04.281. 화행의 개념 화행이란 언어를 발화하는 행위로 보는 관점이다. 의문문은 질문의 행위를 하는 것이고 진술문은 정보 전달 행위를 하며 명령문은 명령을 하는 행위를 한다는 것이다. 즉 말로써 하는 행동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의 언어사용을 행위로 바라본다는 것은 언어사용에 있어 특정한 의도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 한국어 대화에서 나타나는 화행적 특징 - 대화함축적 특징이 나타나는 간접화행 한국어 대화에서는 간접화행이 많이 나타난다. 상황에 따른 문장 유형을 알면 간접화행을 잘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밥 주...2025.04.28
-
한국어의 유형적 특징2025.01.041. 풍부한 교착적 · 통합적 어형 구조 한국어는 교착어-통합어의 선상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한국어에는 다양한 격 표식의 조사와 서술어에 많은 굴절 어미가 첨가되어 통사, 담화 기능을 수행하는 등 형태론과 통사론이 불가분의 관계에 있고 통사 현상이 어형 속에 광범하게 녹아 있다. 2. 주어-술어 구조와 주제-해설 구조 공존 한국어에는 주어-술어 관계와 더불어 주제-해설 구조가 공존한다. 이는 큰 주제에서 작은 주제로 되풀이 일어나는 계층적 구조로, 영어 등 다른 언어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한국어의 유형적 특징이다. 3. 대우법의 ...2025.01.04
-
전자기적특성평가_히스테리시스 결과보고서2025.01.091. 히스테리시스 히스테리시스는 어떤 물리량이 현재의 물리 조건에만 의존하지 않고 과거의 이력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현상이다. 이 현상은 강자성체의 자기이력현상과 탄성체의 탄성이력현상에서 잘 나타난다. 자기이력곡선은 가해 준 자기장에 대한 자화도를 그린 것으로 자기이력 현상이 강할수록 폐곡선 내부의 면적이 커지고 자기이력 현상이 없는 물체에 대해서는 하나의 곡선으로 나타난다. 2. 자화 물체가 자성을 지니는 현상이다. 자기장 안의 물체가 자화되는 양상에 따라 강자성체, 상자성체, 반자성체, 페리자성체로 나뉜다. 자화의 세기는 일반적...2025.01.09
-
한국어와 다른 언어의 문장 유형의 차이점과 공통점2025.05.051. 의문문의 개념 의문문이란 화자가 어떤 사실에 대한 정보가 필요할 때 그에 대한 필요한 정보를 요청, 요구하는 발화 행위이다. 한국어 사전에서의 의문문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면 화자가 청자에게 질문을 하여 그 해답을 요구하는 문장, 의문형 어미로 문장을 끝맺는 것이다. 2. 의문문의 실현형식 의문문의 실현형식에는 '의문 첨사', '술어의 의미', '어순', '의문 조동사', '억양', '의문문 부가사', '의문사', '이접 구조' 등 8가지가 있다. 언어유형론적으로 이러한 요소들이 의문문을 실현시키는 데 사용된다. 3. 한국어 의...2025.05.05
-
의사소통장애학생교육-A+수업참여과제22025.01.151. 말연쇄과정 말연쇄과정은 화자와 청자의 상호작용 과정으로 볼 수 있다. 화자의 대뇌관계, 심리 언어단계를 거치고 화자의 생리단계를 거치면서 호흡, 발성, 공명, 조음이 이루어져 말소리가 나오게 된다. 그 후 청자의 음향 단계, 생리단계, 대뇌단계를 거치면서 화자의 말을 이해하게 된다. 2. 자음과 모음 산출 원리 자음과 모음 산출에는 소리 에너지의 형성과정과 공명과정이 있다. 모음은 성대에서 나온 소리가 말소리길의 길이와 모양에 따라 증폭되거나 감폭되어 산출된다. 자음은 말소리길의 막힘 또는 좁힘으로 인해 공기가 갑자기 입 밖으...2025.01.15
-
(A+)[한국어음운론] 어문 규정에 제시된 10개의 단모음을 모음의 분류 기준에 따라 IPA를 밝혀 제시하십시오.2025.05.151. 한국어 단모음 체계 한국어 어문 규정에 따르면 한국어의 단모음은 10개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 10개의 단모음을 혀의 높낮이, 혀의 전후 위치, 입술 모양에 따라 분류하고 각 모음의 국제음성기호(IPA)를 제시하였습니다. 2. 모어 화자의 실제 발음 실제 언어생활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들은 일부 단모음을 제대로 변별하지 못하거나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ㅔ/와 /ㅐ/, /ㅟ/와 /ㅚ/, /ㅓ/와 /ㅓ:/ 등의 발음이 그렇습니다. 3. 한국어 발음 교육 한국어 교사는 표준 발음법과 실제 발음의 차이를 고려하여...2025.05.15
-
한국어의 4가지 문장형과 종결어미 특징2025.01.191. 한국어 문장형 한국어는 문장 유형에 따라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등 4가지 문장형으로 구분된다. 각 문장형에는 고유한 종결어미가 사용되며, 이를 통해 문장의 의미와 뉘앙스가 달라진다. 평서문에는 '-아요/어요', '-네', '-습니다/-ㅂ니다' 등의 종결어미가, 의문문에는 '-아/어(요)', '-소(오)', '-지(요)' 등의 종결어미가 사용된다. 명령문에는 '-어/아/여라', '-지', '-라' 등의 종결어미가, 청유문에는 '-기오', '-세', '-자' 등의 종결어미가 사용된다. 이처럼 한국어 문장형과 종결어미의...2025.01.19
-
음향공학_음향공학 수업에서 다루는 다양한 주제와 관련한 자유로운 조사과제를 수행합니다.2025.05.121. 음성인식 음성을 인식한다는 것은 언어의 의사소통의 교류의 가장 기초적인 개념이다. 이제는 이러한 음성인식 기능이 단순히 타자를 쳐서 언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닌 인간의 음성을 듣고 문자형식의 전달이 가능한 정도로 변화하였다. 음성인식은 하나의 단어만 발성한 것을 인식하는 고립단어인식, 여러 단어를 중간에 짧은 유지구간을 넣어 발성한 인식의 연결단어인식, 여러 단어를 연속적으로 발음한 것을 인식하는 연속음성인식, 연속적으로 발성한 음성에서 주어진 핵심어 추출의 핵심어 인식으로 구분된다. 또한 인식은 훈련을 한 사람의 음성만 인식하...2025.05.12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 교육에서 듣기와 다른 영역의 결합2025.05.081. 듣기의 특성 청자는 의사소통과정에서 음성적으로 입력된 정보를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선택하고 재구성한다. '듣기'는 음성 언어(소리)를 매개로 청자가 화자로부터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이해하고 처리하는 과정으로 다른 기능으로의 전이가 빠르고 미치는 영향도 가장 크다. 특히 '말하기'와 상호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듣기'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듣기'가 '말하기'보다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2. 듣기와 말하기의 유사성 첫째, 음성 언어를 매개로 하는 '듣기'와 '말하기'는 시간적 흐름에 따라 진행되기 때문에...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