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4개
-
한국어 말하기 교육 시 TTT교수법과 PPP교수법의 비교2025.05.081. PPP 교수법 PPP 교수법은 제시-연습-생성의 3단계로 진행되는 상향식 접근 방식으로, 문법이나 어휘와 같은 언어의 형태적 요소를 중요한 의사소통 도구로 하여 교사가 먼저 바른 언어 사례를 제시하고, 반복 연습을 통해 바른 언어 자료를 자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모형입니다. 이 방식은 초급 학습자나 다수의 학습자에게 적합하며 수업 평가도 확실하지만, 기계적인 연습을 주요 교수법으로 수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어렵고 전체적인 의사소통 연결을 힘들게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2. TTT 교수법 T...2025.05.08
-
한국어 교육_한국어 교원을 위한 한국어교육학2025.04.281. 한국어교육의 개념과 범위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외국인이나 재외동포들에게 한국어를 외국어로서, 혹은 제2언어로 가르치는 것. 한국어교육의 내용영역에는 한국어 지식, 한국 문화 지식, 한국어 사용내용 등이 포함된다. 한국어교육은 국어교육과 달리 덩어리 표현의 의미, 결합 가능한 어휘, 이형태 규칙 등을 설명해야 한다. 2. 한국어교육의 목표 한국어교육의 목표는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법적 능력, 사회언어학적 능력, 담화 능력, 전략적 능력 등을 기르도록 한다. 또한 한국인과의 의사소통과 한국...2025.04.28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듣기 교육에 대한 변천 양상2025.04.261. 듣기 교육 과정 및 모형 듣기 교육의 변천 양상을 논하기 전에 반드시 중요한 것을 한번 먼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그것은 듣기 교육에 있어서 이해 처리 하는 모형 두 가지이다. 하나는 상향식 과정과 다른 하나는 하향식 과정인데, 왜 이 두 가지의 모형이 듣기 교육 변천의 교수법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겠다. 2. 듣기 이해 과정 사실 듣기는 처음부터 말하기의 영역에 밀려 관심을 받지 못하다가 TPR 즉 전신 반응 교수법과 자연적 교수법의 연구가 있고나서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둘다 4가지 기능 중에 듣기를 강조했고 둘다...2025.04.26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 수업 설계2025.05.101. 읽기 자료 선별 기준 학습자의 관심과 수준을 고려한 친근한 주제의 과제 선정, 학습자가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내용 선정, 학습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그림과 짧은 인물 소개 글로 구성된 읽기 자료 준비, 이전에 배운 어휘와 표현을 활용할 수 있는 과제 선정 등 2. 읽기 수업 전략 읽기 전 단계에서 하향식 모형의 스키마 활용, 침묵식 교수법과 의사소통 교수법을 통해 학습자들이 이전에 배운 어휘와 표현을 활성화하고 부족한 스키마를 채우는 활동 진행. 읽기 본 단계에서 읽고 요약하기 전략 사용. 읽기 후 단계에서 침묵식 교수법,...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