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48개
-
A+맞았던 자료입니다!!! 중앙대 여성건강간호학실습 nursing skill2025.01.101. 비자극 검사 [모성-신생아] (Nonstress Test [Maternal-Newborn]) 태아모니터 검사의 절차와 FHR 패턴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학습할 수 있던 기회였다. 반응적인 NST와 비반응적인 NST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다. 2. 레오폴드 수기(모성-신생아) 3학년 1학기때 배웠던 내용이라 부분부분 기억나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 까먹었고 새로웠다. 그렇기에 학습하면서 부족한 부분은 다른 사이트를 활용하여 학습했더니, 이제 조금 채워지는 느낌이다. 3. 아프가 점수: 모성-신생아 (Apgar Score: Ma...2025.01.10
-
모성실습 정상질식분만 케이스(2개의 간호진단/과정, 핵심개념정리)2025.05.021. 정상질식자연분만 - 태아 어깨의 횡경선을 골반 출구의 전후경선에 맞추기 위하여 회전하는 것을 external rotation 즉, 외회전이라고 한다. 원상회전 된 태아의 머리는 골반 밖에서 다시 한번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는 태아 어깨의 횡경선이 골반 출구를 빠져나오기 위함이다. - 분만 단계의 4단계: 1) 제1기 - 규칙적인 자궁수축에서 자궁경관의 완전개대 까지, 2) 제2기 - 자궁경관이 완전개대 된 이후부터 태아 만출까지, 3) 제3기 - 태반과 탈락막의 분리 및 기타 부속물의 배출 시기, 4) 제4기 - 회복기로 출...2025.05.02
-
자궁절제술 절차 및 해부학2025.01.041. 자궁절제술 자궁절제술에는 전자궁절제술(TAH), 질식 전자궁절제술(TVH), 부분자궁절제술, 근치자궁절제술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각 수술 방법에 따라 자궁과 난소의 제거 범위, 수술 후 생리적 변화, 장단점 등이 다릅니다. 전자궁절제술은 자궁 전체를 제거하는 방법이며, 질식 전자궁절제술은 질을 통해 자궁 전체를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부분자궁절제술은 자궁경부를 남기고 자궁체부만 제거하는 방법이며, 근치자궁절제술은 자궁과 함께 난소, 난관, 자궁주위 림프절 등을 모두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2. 자궁 해부학 자궁은 여성 생식...2025.01.04
-
A+ 분만지연 CASE 모성 간호과정 간호진단6개 간호중재 3개2025.01.191. 분만지연과 관련된 모체-태아 손상의 위험성 분만 지연으로 인한 모체-태아 손상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아 심박동 모니터링, 초음파 검사, 내진 등을 통해 태아 상태와 분만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필요 시 신속한 제왕절개 수술을 시행하여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2. 자궁수축과 관련된 급성통증 분만 과정에서 발생하는 강한 자궁 수축으로 인한 급성 통증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통증 척도 사정, 비약물적 요법 적용, 정서적 지지 등을 통해 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자 한다. 3. 분만지연과 ...2025.01.19
-
[여성간호학] 고위험 분만 / 유도분만 [유도분만(병태생리, 금기증, 간호사정, 치료적 관리) 경부를 연화시키기 위한 방법(프로스타글란딘, 양막절개술, 라미나리아 심, 옥시토신)]2025.05.041. 유도분만 유도분만은 자연적인 수축이 있기 전에 인위적으로 자궁수축을 유도하여 분만하는 방법입니다. 임신지속이 모체나 태아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때, 만삭이 되어도 분만이 시작되지 않을 때 시행됩니다. 자궁수축이 증가하여 태아에게 질식과 같은 위험이 초래될 수 있습니다. 2. 병태생리 유도분만의 병태생리는 모체측 요인, 태아측 요인, 금기증으로 구분됩니다. 모체측 요인에는 자간전증, 자간증, 저긴장성 자궁수축 부전, 지연분만, 임신성 고혈압, 모성 당뇨병, Rh 동종면역 등이 있습니다. 태아측 요인에는 과숙아, 태아질식, ...2025.05.04
-
여성건강간호학 전치태반 치료, 간호관리, 간호진단2025.04.271. 전치태반 진단 전치태반 진단을 위해 태아 상태 검사, 임상검사, 질식 초음파 등의 검사를 실시한다. 태아 상태 검사로는 초음파 검사와 무자극 검사(NST), 생물학적 검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하며, 임상검사로는 혈액학적 검사를 통해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 응고 요인 변화를 평가한다. 질식 초음파를 통해 자궁경구에 태반이 15mm 이상 내구를 덮는 경우 전치태반으로 진단한다. 2. 전치태반 치료 전치태반 치료는 내과적 치료와 외과적 치료로 구분된다. 내과적 치료로는 패드 무게 측정을 통한 실혈량 파악, 자궁 수축 및 양수 유출 ...2025.04.27
-
TAH 전자궁절제술 케이스스터디 A+ /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 수술과 관련된 고체온 / 간호진단 4개 / 간호과정 2개 / 자궁절제술 문헌고찰2025.01.221.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수술 후 대상자의 통증을 사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NRS 척도를 이용하여 통증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처방에 따른 진통제 투여와 함께 이완요법 등의 비약물적 중재를 통해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통증이 있는 상태에서 복압을 증가시키는 행동을 하기 전 진통제를 투여하여 통증을 예방할 수 있다. 2. 수술과 관련된 고체온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고체온은 감염 위험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활력징후 모니터링, 불편감 사정, 수분 섭취 및 배출 확인, 해열제 투여...2025.01.22
-
[여성간호학 CASE A+]___C/SEC(제왕절개)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2개) 급성통증, 낙상위험성"2025.01.171. 제왕절개 제왕절개(Cesarean section)는 복부를 절개한 후 자궁을 절개하고 태아를 만출시키는 수술법으로, 마취시간을 제외한 수술시간은 대략 1시간 전후입니다. 주요 적응증으로는 아두골반 불균형, 과거 제왕절개 분만 경험, 심한 자간전증, 전치태반 또는 태반 조기박리, 태아 질식 또는 임박한 질식 등이 있습니다. 부작용으로는 과다출혈, 자궁 무력증, 방광과 장의 손상, 감염 등이 있습니다. 수술 전 간호에는 수술 준비, 교육, 직전 간호가 포함되며, 수술 후 간호에는 산모 사정, 병원 입원기간 간호 등이 포함됩니다. ...2025.01.17
-
제왕절개 여성간호 케이스2025.01.211. 제왕절개수술 제왕절개수술(cesarean section)은 질식분만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산모의 복부를 절개한 후 자궁을 절개하고 태아를 분만하는 외과적 수술법입니다. 제왕절개 분만율은 국내의 경우 최근 수년간 35~40% 수준이며, 태아 모니터 사용이 빈번해지고 초산연령의 증가, 반복 제왕절개, 둔위와 자연분만 시 질식분만을 피하려는 추세, 기계분만의 감소, 제왕절개를 원하는 산모의 수가 증가한 결과로 제왕절개분만의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제왕절개분만은 분만 경험을 가중시키고 아기와 새로운 부모역할에 적응하는데 부담이 ...2025.01.21
-
모성간호학 CASE STUDY 자궁근종2025.05.081. 자궁 벽 내 평활근종(intramural leiomyoma of uterus) 자궁 평활근에서 유래되는 양성종양으로 특별한 증상을 동반하지 않지만, 이상 출혈, 월경과다증, 월경 기간의 연장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자궁근종(uterine myoma), 자궁 섬유증(uterine fibriod)이라고도 한다. 자궁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 가장 흔하며, 35세 이상의 여성 중 약 20~40%가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다. 2. 자궁선근종(adenomyosis) 정상위치를 벗어나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자궁내막 조직에 의해서 자궁의 크기가...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