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학 CASE STUDY 자궁근종
본 내용은
"
모성간호학 CASE STUDY 자궁근종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07
문서 내 토픽
  • 1. 자궁 벽 내 평활근종(intramural leiomyoma of uterus)
    자궁 평활근에서 유래되는 양성종양으로 특별한 증상을 동반하지 않지만, 이상 출혈, 월경과다증, 월경 기간의 연장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자궁근종(uterine myoma), 자궁 섬유증(uterine fibriod)이라고도 한다. 자궁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 가장 흔하며, 35세 이상의 여성 중 약 20~40%가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다.
  • 2. 자궁선근종(adenomyosis)
    정상위치를 벗어나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자궁내막 조직에 의해서 자궁의 크기가 커지는 질환을 말한다. 자궁으로 비정상적으로 침투한 자궁내막 조직이 주위의 자궁근층의 성장을 촉진하여 마치 임신 시 자궁이 커지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 3. 전자궁절제술(Total hysterectomy)
    자궁과 자궁 경부 모두를 완전히 제거하는 수술이다. 복식자궁절제술, 질식자궁절제술, 복강경자궁절제술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수술 범위에 따라 자궁체, 기저부, 자궁경부를 완전히 제거하는 완전자궁절제술, 자궁경부는 살리고 자궁체만 제거하는 부분자궁절제술, 자궁경부암 등에서 자궁주위 조직을 함께 제거하는 광범위 자궁절제술 등이 있을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자궁 벽 내 평활근종(intramural leiomyoma of uterus)
    자궁 벽 내 평활근종은 자궁 근육층 내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입니다. 이 종양은 자궁 크기와 모양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월경 과다, 골반 통증, 불임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 치료, 자궁 동맥 색전술, 수술적 제거 등이 있습니다. 약물 치료는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며, 자궁 동맥 색전술과 수술적 제거는 증상 개선과 재발 방지에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의사와 상담을 통해 환자의 상태와 증상에 맞는 최적의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자궁선근종(adenomyosis)
    자궁선근종은 자궁 근육층 내에 자궁 내막 조직이 침윤하여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월경 과다, 월경통, 골반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자궁선근종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출산 경험, 자궁 내막증, 자궁 수술 등이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 치료, 자궁 동맥 색전술, 자궁 절제술 등이 있으며, 환자의 증상 정도와 향후 임신 계획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자궁선근종은 완치가 어려운 질환이지만,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 3. 전자궁절제술(Total hysterectomy)
    전자궁절제술은 자궁 전체를 제거하는 수술로, 자궁 질환 치료를 위한 가장 근본적인 방법입니다. 주요 적응증으로는 자궁 근종, 자궁선근증, 자궁 경부암, 자궁 내막암 등이 있습니다. 수술 방법에 따라 개복 수술, 질식 수술, 복강경 수술 등으로 나뉩니다. 전자궁절제술은 영구적인 불임을 초래하므로 향후 임신 계획이 없는 경우에 주로 선택됩니다. 또한 수술 후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갱년기 증상이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환자의 상황과 요구사항에 맞는 최선의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