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23개
-
중심정맥관 종류 및 관리방법 (central venous catheter, CVC, C-line)2025.05.071. 중심정맥관 (central venous catheter, CVC, C-line) 중심정맥관은 카테터 종류에 따라 short term non-tunneled catheter, PICC, Long term tunneled catheter, Implantable port 등으로 나뉩니다. 삽입부위는 subclavian vein, antecubital vein에서 basilic vein 또는 cephalic vein으로 upper anterior chest로 나옵니다. 중심정맥관 사용 기간은 40-60일, 6개월 전후, 6개월-수년 ...2025.05.07
-
경막하출혈 case study - 천공배액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천공배액술, 유치도뇨관, 말초정맥관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침상생활, 기저귀의 습기와 관련된 욕창의 위험2025.05.101. 천공배액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대상자는 2일 이내에 두통에 대한 NRS 점수가 1점 이하로 측정될 것이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이 줄었다고 말할 것이다. 활력징후를 1시간마다 사정하고, NRS 척도로 4시간마다 통증을 사정한다. 진통제로 트리돌을 투여하고, 대상자가 심호흡법을 하도록 한다. 극심한 통증 발생 시 의료진에게 즉시 알릴 것을 교육한다. 2. 천공배액술, 유치도뇨관, 말초정맥관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체온이 36.0~37.5℃ 이내에 속할 것이다.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CRP 정량이 0~0.3...2025.05.10
-
아동간호학 간호과정 -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두려움, 중심정맥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진정치료와 관련된 낙상위험성2025.05.091.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두려움 환아는 주사에 대한 두려움을 보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두려움의 대상을 사정하고 천천히 접근하는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였다. 라포 형성, 좋아하는 인형이나 만화 제공, 직접 처치 해보기 등의 방법으로 환아의 두려움을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2. 중심정맥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환아에게 중심정맥관(chemoport)이 삽입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을 관리하기 위해 삽입부위 사정, 주기적 활징징후 측정, 항생제 투여, 무균술 준수, 손위생 실시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였다. 3. 진정치료와...2025.05.09
-
[성인간호학 A+] Gi bleeding(상부위장관 출혈, 하부위장관 출혈), SB tube, Lc, Esophageal varix (식도정맥류) 발표자료2025.04.301. Gi bleeding Gi bleeding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상부 위장관 출혈의 원인으로 위 및 십이지장 궤양, 식도 하부의 열상, 위/식도 정맥류, 위 혈관의 동정맥 기형 등이 있으며, 하부 위장관 출혈의 원인으로는 대장의 혈관 이형성증, 대장 게실, 장티푸스, 장 결핵, 궤양성 대장염, 대장암, 대장 용종, 치질 등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토혈, 흑색변, 혈변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 내시경검사, L-tube irrigation, 직장수지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치료로는 수액 공급, ...2025.04.30
-
대학병원 출신 간호사가 작성한 정맥주입요법(Intravenous infusion)2025.05.031. 정맥주입요법의 일반적 관리 정맥주입요법의 일반적 관리에는 정맥 주입 전 사정, 정맥주입기구 선정, 정맥관 삽입부위 소독, 정맥주입기구의 개방성 유지, 정맥주입기구의 교환과 제거 등이 포함됩니다. 정맥주입요법과 관련된 환자의 요구는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사정이 필요합니다. 2. 말초 정맥관 관리 말초정맥관 관리에는 삽입부위 선정, 삽입부위 소독, 고정, 교환과 제거 등이 포함됩니다. 감염과 정맥염 예방을 위해 96시간마다 말초정맥관을 교환하며, 관련 문제나 통증 시 즉시 제거합니다. 3. 중심 정맥관 관리 중...2025.05.03
-
성인간호학 병원감염 중심정맥2025.05.111. 중심정맥관 중심정맥관이란 말초 정맥을 통해 중심정맥까지 삽입되는 관을 말한다. 몸 속 깊숙이 자리하고 있는 중심정맥에 직접적으로 주사를 놓거나 채혈을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중심정맥까지 연결된 관을 통해서 약물을 투여하는 것이다. 자주 사용되는 중심정맥관의 종류로는 히크만 카테터, 매립형 케모포트, 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PICC) 등이 있다. 2. 중심정맥관 관리 중심정맥관은 관리가 잘못되면 삽입부위에 감염이 일어나거나 관이 막혀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중심정맥관의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2025.05.11
-
[성인간호학] 중환자실 case study - 위장관출혈(GI bleeding) - 간암, 간성혼수, 식도정맥류 - 간호진단 2개, 중재 각 10개 이상, 이론적 근거 포함2025.01.221. 위장관출혈 위장관출혈은 위장관 내부에서 출혈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환자의 경우 간암과 간성혼수, 식도정맥류 등의 기저 질환으로 인해 위장관출혈이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간호사는 이러한 환자의 병태생리와 증상, 검사 및 치료 방법 등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간호 진단과 중재를 적절히 수립하여 환자 관리를 해야 합니다. 2. 간암 간암은 간 세포의 악성 종양으로, 이 환자의 경우 10년 전부터 간암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간암 환자는 간경화, 간성혼수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위장관출혈...2025.01.22
-
혈관내 카테터 관련 감염관리2025.01.221. 중심정맥관 관리 중심정맥관 삽입 시 손위생, 최대멸균차단(MBP) 준수, 클로르헥시딘 사용, 적절한 삽입부위 선택 및 매일 사정이 필요합니다. 중심정맥관 삽입 시 감염 예방을 위해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2. 말초정맥관 관리 말초정맥관 삽입 및 관리 시 손위생, 피부소독, 삽입부위 감염증상 확인, 체액 노출 시 보호구 착용 등의 지침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말초정맥관 교환, 드레싱 교환, 수액세트 교환 주기 등 관리 방법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3. 혈관 카테터 관리 지침 말초정맥관, 중심정맥관, 말초동맥...2025.01.22
-
말초삽입 중심카테터, PICC, 감염전담교육자료2025.01.291. PICC (말초삽입 중심정맥 카테터) PICC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는 상완정맥 등 팔 정맥에서 시작하여 상대정맥 또는 우심방 입구에 카테터의 끝이 위치하는 중심정맥관입니다. 중심정맥관에 비해 카테터가 가늘어 기흉 등 합병증의 가능성이 낮으며, 6개월 사용할 수 있어 입원치료 환자에게 주로 시행됩니다. 2. PICC 시술 PICC 시술은 상완의 정맥을 통해 심장 가까이 중심정맥까지 관을 넣어주는 시술입니다. 감염, 혈전, 부종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조기에 제거해야 합니다...2025.01.29
-
PICC2025.01.021. PICC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PICC는 말초에서 삽입되는 중심정맥관으로, 항암제, TPN, 수혈 및 정기적 채혈을 위해 사용됩니다. PICC 시술의 목적은 반복적인 정맥 천자로 인한 환자의 통증과 스트레스를 줄이고, 고삼투액의 주입이나 수포성 항암제 투여 시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PICC는 최소 2주에서 최대 1년까지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혈관이 약하거나 작은 어린이, 노인 환자에게 적합합니다. PICC 시술 전후 간호 준비물품과 주의사항, 관리 방법 등이 자세히...2025.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