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3개
-
한국문학통사 4권 요약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문학,조동일 / 대학과제용)2025.01.171. 민중종교운동과 문학 1860년대 이후 서구 열강과 일본의 침략으로 인해 사회가 불안해지자 동학, 증산교, 대종교 등의 신흥 민중종교가 나타났다. 이들 민중종교는 사회운동에 참여하며 때로는 이를 주도하기도 했다. 최제우가 창건한 동학은 국문을 사용하여 신분을 가리지 않고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말로 가사를 지었고, 1894년 전봉준을 중심으로 일어난 동학란에서는 국문으로 된 격문이 등장하는 등 어문생활사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이후 유교와 불교에 의거하여 세상을 구하고자 한 증산교와 대종교 등이 등장했다. 2. 구비문학의 활기와...2025.01.17
-
1970년대 시문학2025.05.101. 1970년대 시문학의 특징 1970년대에 들어서서도 1960년대의 순수-참여 문학 논쟁의 연장선상에서 시의 현실 참여 문제가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 이는 특히 시적 대상과 시적 인식의 범주를 확정하는 문제, 그리고 시적 형상화의 방법과 연관된 것으로, 참여파의 시인이나 순수파의 시인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리하여 순수와 참여의 이분법적 인식이 어느 정도 극복되고 시와 현실의 간격이 상당히 좁혀지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1970년대는 시가 상상력의 소산임에 틀림이 없지만, 시의 토대가 되는 경험 세계와 일상적인 삶의 세계...2025.05.10
-
현대시론 정리 및 요약2025.01.101. 리듬의 개념과 종류 언어는 소리와 의미가 일체를 이룬 것이다. 시는 소리의 연속이요 소리의 구조이며, 시인은 음악적 효과를 창조하기 위해 소리를 모형화한다. 소리의 모형화가 리듬이다. 리듬은 운율, 곧 운(rhyme)과 율(meter)을 지칭하는 개념이며, 기표의 '반복성'이다. 리듬은 소리의 반복을 비롯하여 음절수, 음절의 지속, 서조, 강세 등 여러 상이한 토대에서 이뤄진다. 리듬의 종류에는 운, 율격, 음보율이 있다. 2. 분행과 시의 형태 리듬은 시의 행을 떠나서 존재할 수 없다. 러시아 형식주의자들은 리듬을 '낯설게 ...2025.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