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15개
-
A++++ 응급실 외상성 혈기흉 케이스2025.01.201. 중증외상 질병관리청의 2020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통계에 따르면 중증외상 환자의 수는 8435명으로 인구 10만명당 16.4명으로 적은 숫자는 아니다. 중증외상의 비율은 TA가 54.9%, 추락 및 미끄러짐이 37.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 늑골골절 TA의 경우, 넘어진 경우, 떨어진 경우 등 다양한 사고에서 우리는 늑골이 골절된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2008년 대한외상학회지 다발성 늑골골절의 외상성 혈기흉 발생에 대한 영향에서는 늑골 골절이 발생하면 대상자들의 70%에서 혈기흉이 발생한다는 자료만큼...2025.01.20
-
급성신부전 중환자의 간호2025.01.041. 급성신부전 급성신부전은 신기능이 갑작스럽게 상실되어 혈액 내 요소와 크레아티닌이 증가하는 질환입니다.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급성신부전 환자에게 필요한 간호를 제공하여 환자의 상태를 유지하고 회복을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중환자실 간호 급성신부전 환자는 중환자실에서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중환자실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전해질 이상, 호흡곤란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며,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는 간호가 이루어져야 합니...2025.01.04
-
늑골골절 환자의 응급실 간호과정2025.01.031. 늑골골절 늑골골절은 흉부외상의 10%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손상이다. 골절이 발생하면 흉부가 팽창하고 수축할 때마다 통증이 있고, 골편이 흉막이나 폐를 찔러 폐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다. 통증으로 인해 숨을 얕게 쉬고 기침을 하지 않아 분비물이 정체되어 무기폐나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늑골골절 환자는 입원치료나 외래에서 경과 관찰이 중요하다. 2. 응급실 간호 응급실 간호사는 늑골골절 환자를 대처할 때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신속하고 적절한 처치를 수행해야 한다. 통증 관리, 호흡 관리, 출혈 및 합병증 예방 등의 간호중재가 ...2025.01.03
-
반월판손상, 연골판 절제수술 case2025.05.091. 반월판 손상 반월판은 무릎 위아래 관절 사이에 있는 반달 모양의 연골로, 무릎의 안쪽과 바깥쪽에 하나씩 자리하고 있다. 반월판은 무릎이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무릎관절을 보호한다. 또한 관절의 윤활제역할을 하며, 무릎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반월판 손상은 반월판연골이 손상된 질환을 의미한다. 주요 원인은 외상과 퇴행성 변화이며,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퇴행성 관절염 등 심한 병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증상으로는 통증, 운동 제한, 관절 잠김, 관절 불안정증, 관절 탄발음, 부종 등이 있다. 진단은 병력 청취, 이학적 검...2025.05.09
-
응급실 실습 사전학습2025.01.181. 응급약물의 종류 심폐소생술 중 투여되는 주요 약물로는 에피네피린, 바소프레신, 아트로핀, 중탄산나트륨, 아미오다론, 리도카인 등이 있다. 이들 약물은 심박조율 회복, 제세동 역치 감소, 부정맥 재발 방지, 산증 치료 등의 작용을 한다. 약물 투여 시에는 환자의 심전도, 산-염기 상태, 체중 등을 고려해야 한다. 2. 응급실 주요 질환 응급실에서 흔히 접하는 주요 질환으로는 부정맥, 심근경색, 심부전 등이 있다. 부정맥은 동방결절, 심방, 방실결절, 심실 등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증상, 원인, 치료법이 각각 다르다...2025.01.18
-
중환자실 환자의 욕창 발생 시기에 따른 관련요인의 차이2025.05.031. 중환자실 환자의 욕창 특성 중환자실 입실 전 욕창 보유군과 입실 후 욕창 발생군의 욕창 특성을 비교한 결과, 욕창 단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욕창 보유군에서는 1단계 욕창이 가장 많았고, 욕창 발생군에서는 1단계 욕창이 가장 많았지만 보유군에 비해 비율이 더 높았다. 이를 통해 중환자실 입실 전부터 욕창이 있었던 환자와 입실 후 새로 발생한 환자 간 욕창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 중환자실 환자의 질병 및 치료 관련 요인 중환자실 입실 전 욕창 보유군과 입실 후 욕창 발생군 간 질병 및 치료 관련 요인을 비...2025.05.03
-
신경계 문헌고찰2025.01.081. 뇌신경 정의, 위치, 형태 및 구조 뇌신경은 중추신경계인 뇌로부터 나오는 말초신경으로, 총 12종류가 있습니다. 이들은 감각 기능과 운동 기능을 담당하며, 대부분 뇌줄기에 위치합니다. 뇌줄기는 뇌의 가장 아랫부분으로 숨뇌, 다리뇌, 중간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 GCS 검사 GCS(Glasgow Coma Scale)는 외상성 뇌손상 등 뇌의 손상이 발생했을 때 의식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객관화된 검사방법입니다. 주로 응급실이나 중환자실에서 시행되며, 눈, 언어, 운동의 3가지 영역에서 의식수준을 평가합니다. 15점이 정상이며...2025.01.08
-
[성인간호학실습 A+] 응급실 사전학습 보고서2025.05.101. Emergency cart 약물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약물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각 약물의 적응증, 용법, 부작용 등을 자세히 기술하고 있습니다. 2. Emergency kit 장비와 기구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장비와 기구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ambu bag, airway, laryngoscope, endotracheal tube 등 기도 관리에 필요한 장비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3. 응급환자 분류체계 응급환자를 중증도에 따라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 검은색으로 분류하는 triage 체계에 대해 설명...2025.05.10
-
Case 보고서_2018_중환자실_뇌경색증2025.01.031. 뇌경색증 뇌경색증은 뇌에 있는 혈관이 막혀 해당 부위의 뇌가 죽게 되는 질병이다. 이로 인해 혈관이 지배하던 부위의 뇌가 괴사함으로써 지속적인 증상이 남게 된다. 뇌경색의 원인으로는 동맥경화증, 동맥염 등으로 혈관벽에 혈전이 생겨 혈류장애를 가져오는 경우와 심장 등에서 혈전이 떨어져나가 뇌혈관을 갑자기 폐쇄하여 혈류장애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뇌졸중의 증상은 손상 받은 뇌의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며, 진단을 위해 뇌전산화단층촬영과 뇌 자기공명영상이 도움을 준다. 치료로는 혈전용해제, 항혈전제, 항응고제 ...2025.01.03
-
22년 청주성모 응급실 간경화 실습일지, 분담과제, 케이스, 윤리보고서, 사전학습2025.05.101. 간경화증 간경화증은 만성적인 상처와 염증에 의해 정상적인 간 조직이 딱딱한 '섬유화' 조직으로 변함으로써 정상 구조가 뒤틀리고 기능이 저하되는 질병이다. 간경변증은 간세포의 파괴와 재생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간의 정상적인 구조가 섬유화되고, 재생결절로 대치되며 혈관 구조가 크게 뒤틀려 나타나는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말한다. 간경변증의 원인으로는 만성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 과도한 음주, 비만, 간 독성 물질의 사용 등이 있다. 간경변증의 증상은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주요 합병증으로는 문맥성 고혈압, 빌리루...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