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773개
-
[CASE STUDY] A+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수술부위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2025.05.161. 수술부위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 대상자분은 3/23에 유방암 수술을 한 뒤 4/7, 4/9일 극심한 통증으로 ER을 통해 내원하여 4/11에 재수술을 하니 main wound 바로 아래쪽에 Rt. IH subcutaneous fat 주변으로 active bleeding 확인하여 suture 진행하였다. 그런데 수술 이후에도 Hb 수치가 계속 떨어지고 우측 겨드랑이-latissimus dorsi 라인 따라 멍들어 있는 양상이 확인되어 출혈의 위험을 첫 번째 간호진단으로 잡았다. 2.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대상자분은 입원한 ...2025.05.16
-
(A+ 자료)신경성 식욕부진증 거식증 CASE 간호진단, 간호계획 (드라마'내일' 등장인물)2025.01.161. 신경성 식욕부진증 선정 대상자 신예나는 고등학교 시절부터 체중 증가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극단적인 칼로리 제한과 자기유발구토 행동을 보이며 마른 몸을 유지해왔다. 이는 DSM-5 진단 기준에 따른 폭식/제거형 신경성 식욕부진증에 해당된다. 간호진단으로는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자살행동의 위험, 체중 증가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한 영양 불균형 등이 도출되었다. 간호중재로는 자살 위험 사정 및 안전 관리, 영양 상태 개선, 인지행동치료 등이 포함되었다. 1.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매우 심각한 정신 건강 문제입니다. ...2025.01.16
-
정신간호학실습 치료적 의사소통 기록지 [신경성 식욕부진, 강박장애, 경계성 성격장애, 공황장애]2025.05.011. 신경성 식욕부진 진단명: 신경성 식욕부진 대상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병실에 혼자 있는 상황] 대상자의 말을 적극적으로 경청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대상자의 관점, 사고, 의견, 감정을 이끌어낼 수 있었음. 대상자의 감정을 공감하고 표현했으며, 이것이 대상자에게 인식되고 수용됨. 2. 강박장애 진단명: 강박장애 대상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면담실 책상을 소독제로 닦고 있는 상황] 대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돕고 친밀감을 줄 수 있었음. 대상자가 생각, 행동, 느낌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2025.05.01
-
간호과정3가지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분비물 정체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2025.05.051.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사정 주관적 자료: "몸에 힘이 없고 추워요.", "식은 땀을 많이 흘리는데.." by 보호자 객관적 자료: 진단명 : 천식, 폐렴, 체온 :39도, SpO2 :94%, 환아의 땀으로 인해 옷이 다 젖음.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한다. 2. 고열로 인한 탈수방지를 위해 수분섭취를 격려하도록 교육한다. 3. 면 종류의 얇고 건조된 옷을 입히도록 한다. 4. 냉습포나 스펀지 목욕을 통해 시원한 환경을 적용한다. 5.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6.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을 유...2025.05.05
-
신경성 식욕부진증-거식증 case study(진단 2개, 중재 2개)2025.04.291. 방어기전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들이 사용하는 방어기전인 격리, 부정, 취소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격리는 고통스러운 경험과 관련된 감정을 차단하는 것이고, 부정은 의식적으로 감당할 수 없는 생각을 회피하거나 부인하는 것이며, 취소는 불편했던 경험을 지워버리기 위한 행동을 하는 것입니다. 2. 간호 진단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의 간호 진단으로 '잘못된 식습관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신체 요구량보다 적음'과 '낮은 자존감과 관련된 비효율적 대응'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른 간호 목표와 중재 방안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2025.04.29
-
색채가 식욕에 미치는 영향, 뇌파와 관련하여2025.05.151. 색의 파장과 진동수 색은 빛이 눈을 통해 들어와 눈을 자극하여 뇌의 시각 중추에 전달하고 심리적 과정을 거쳐 인지하게 된다. 색은 전자파의 극히 일부이며, 전자파에는 라디오나 무선으로 이용되는 전파, 인간이 소리를 내서 발생하는 음파 등이 있으며 각각 파장의 영역이 다를 뿐 본질은 같다. 색은 약 380nm에서 780mm의 가시광선 파장이 인간의 눈에는 색으로 보인다. 이런 색채의 과학적인 해명은 17세기 뉴턴의 실험에 의해 시작되었다. 2. 색 인식 색을 통해 어떠한 이미지나 연상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색의 연상은 ...2025.05.15
-
정신간호학/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신경성 식욕부진증/불면장애/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우울장애/각 파트별 대상자에 대한 이해 및 간호과정 및 진단2025.05.131.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대표적인 섭식장애의 하나로, 살을 빼려는 지속적인 행동, 체중 감소, 음식과 체중과 연관된 부적절한 집착, 음식을 다루는 기이한 행동, 살이 찌는 것에 대한 강한 두려움 그리고 무월경 등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신경성 식욕부진증 대상자의 사정, 간호진단, 간호중재 및 평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2. 불면장애 불면장애는 잘 수 있는 적절한 시간과 기회가 주어지는데도 불구하고 수면의 시작과 지속, 공고화, 그리고 질에 반복되는 문제가 있어 그 결과 주간 기능의 장애를 유...2025.05.13
-
[정신간호학] 섭식장애[섭식장애 유형, 신경성 식욕부진증(DSM-5 진단기준, 행동특성, 원인), 신경성 폭식증(DSM-5 진단기준, 행동특성, 원인), 이식증, 반추장애, 회피성/제한성 음식섭취장애] [개념, 정리, 자료조사]2025.05.121. 섭식장애 유형 섭식장애에는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폭식증, 폭식장애, 이식증, 반추장애, 회피성/제한성 음식섭취장애 등이 있다. 각 장애의 특징과 진단기준, 행동특성, 원인 등을 설명하고 있다. 2.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DSM-5 진단기준에 따라 체중 감소, 체중 증가에 대한 두려움, 체중과 체형에 대한 왜곡된 인식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장애이다. 객관적 징후로는 저혈압, 서맥, 무월경 등이 있으며, 주관적 징후로는 살찌는 것에 대한 두려움, 우울증 등이 있다. 원인은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으로, 신경회로 이...2025.05.12
-
성인간호 케이스 척추관 협착증 -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통증으로 인한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2025.01.121. 척추관 협착증 척추관은 두개골 하부로부터 경추, 흉추, 요추, 천추로 연결되어 있어, 척수관 내에 척수, 그 하부에는 척수에 연결되는 신경근 다발인 마미가 존재하는 곳으로, 앞에는 추체, 추간판, 뒤에는 추궁판으로 둘러싸여 있다. 척추관 협착증은 요추부의 척추관이 좁아진 상태로,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져 신경을 압박할 수 있다. 척추관 협착증은 중심부 척추관, 외측함요부, 추간공 등 여러 형태의 협착으로 정의되며, 국소적, 분절적, 전반적일 수 있다. 협착의 원인은 골조질이나 연부 조직에 의해 일어난다. 척추관협착증은 추...2025.01.12
-
정신간호_섭식장애-원격시뮬레이션실습(드림널스)_A+자료2025.04.281. 신경성 식욕부진 신경성 식욕부진은 체중 감량이나 심한 스트레스 이후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으며, 식사, 음식 관련 행동(무리한 체중 감량, 혼자 숨어서 식사, 탄수화물과 지방 섭취 거부, 음식을 숨기거나 식사할 때 음식을 잘게 썰어 조각을 세면서 먹는 등 의식적인 행동), 지나친 운동, 구토 유도, 하제 사용 등 체중 감소를 위한 무리한 행동이 나타난다. 신체적인 합병증으로는 체중저하, 무월경, 노란 피부, 솜털, 사지의 냉감, 말초부종, 근육 약화, 골밀도감소, 변비, 탈수, 저혈압, 서맥, 빈혈, T3/T4 수치 저하, 저칼...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