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5개
-
아동간호학실습 case study_저칼슘혈증2025.01.231. 미숙아의 정의 미숙아(조산아, premature infant)는 임신 기간 37주 미만, 최종 월경일로부터 37주 미만인 아기를 말한다. 부당중량아(LGA, large for gestational age)는 재태기간에 비해 체중이 큰 아동으로, 출생 체중이 자궁 내 성장곡선상 90%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2. 미숙아의 원인 미숙아의 원인은 태아 측 요인, 태반/자궁 이상, 산모 측 요인, 기타 요인 등이 있다. 태아 측 요인으로는 태아 곤란증, 다태 임신, 태아 적아구증, 비면역성 태아수종, 자궁내 성장 지연 등이 있고, 태...2025.01.23
-
여성건강간호학 제왕절개 case study2025.05.081. 제왕절개(cesarean section, C/S) 제왕절개는 산모의 복부를 절개한 후 자궁을 절개하고 태아를 분만하는 수술로 자궁 외 임신이나 자궁파열 후 태아를 개복하여 꺼내는 수술은 포함되지 않는다. 비정상적인 산모나 질 분만을 시행할 때 태아 상태가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시행할 수 있다. 최근에는 수술 기술의 발달과 무균 조작법, 의료기술과 장비, 항생제 등의 발달로 제왕절개를 했을 때의 부작용과 그 위험성이 현저하게 감소하고 있다. 2. 아두골반 불균형(cephalopelvic disproportion, CPD) 아...2025.05.08
-
여성, 모성 임신성 고혈압과 관련된 비효과적 조직관류 간호과정2025.04.261.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 20주 이후 혈압이 140/90 mmHg 이상이고 단백뇨가 없는 상태를 말한다. 원인으로는 임부 나이, 만성 고혈압, 과소체중/비만, 영양결핍, 당뇨, 신장질환 등이 있다. 병태생리는 혈관수축, 혈관경련, 혈관손상이 특징이며, 증상으로는 혈압 상승, 체중증가, 단백뇨, 두통, 상복부 통증, 시력장애 등이 나타난다. 진단은 혈압 상승과 단백뇨 유무로 하며, 간호중재로는 체위 변경, 식이 관리, 검사 모니터링, 약물 투여 등이 필요하다. 2. 분만 간호 과정 분만 간호 과정은 분만실 입원 시점,...2025.04.26
-
임신성 당뇨병 환자 사례 / 고위험 산모 케이스2025.05.141. 임신성 당뇨병 임신 중에는 산모 본인과 태아의 에너지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산모의 대사요구량이 변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로 인해 산모의 호르몬 대사에 이상이 생겨 당뇨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임신성 당뇨병은 산모의 2-5∼5%의 빈도로 나타나며 내과적인 당뇨와 달리 임신으로 인한 생리적 변화에 의해 임신 중에 발생하는 당뇨병입니다.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 동안 처음 발생되는 탄수화물 대사장애로 임신 동안에 발생하며, 당뇨병의 치료를 위해 인슐린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수 있고 분만 후에는 정상으로 돌아...2025.05.14
-
제왕절개 분만: 정의, 적응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2025.11.121. 제왕절개(Cesarean Section) 제왕절개는 질을 통한 자연 분만이 불가능하거나 더 안전하다고 판단될 때 자궁을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하는 외과적 수술 방법이다. 질식 분만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태아곤란증(산소 결핍으로 인한 태아의 신체적 스트레스 상태)이 있을 때 의사의 판단에 따라 시행될 수 있다. 즉시 중재가 필요한 응급 상황에서 태아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분만 방법이다. 2. 산모측 제왕절개 적응증 산모측 원인으로는 과거 난산으로 인한 연조직 손상, 이전 제왕절개 경험으로 인한 자궁파열 위험 증가, 심한 ...2025.11.12
-
미숙아의 특징과 관리2025.01.141. 미숙아의 정의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재태 기간 37주 미만 또는 출생시의 체중이 2500g 이하이며, 최종 월경일로부터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미숙아(preterm infant) 또는 조산아라고 한다. 반면 재태 기간과 상관 없이 출생 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출생 체중이 2,500g 미만인 경우는 저체중 출생아(LBW, low birth weight), 출생 체중이 1,500g 미만인 경우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VLBW, very low birth weight), 그리고 출생 체중이 1,000g 미만은 경우는 초...2025.01.14
-
A+ 모성간호학 case study (Preeclampsia, 임신중고혈압)2025.01.131. 임신 중 고혈압 (Preeclampsia) 임신 중 고혈압은 임신 20주 이후에 혈압 상승, 단백뇨,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원인으로는 임부의 나이가 20세 이하인 초임부, 만성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여성, 낮은 사회경제적 수준, 35세 이상의 여성 등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고혈압, 갑작스런 체중 증가, 단백뇨 등이 있으며, 중증 자간전증의 경우 신체 다른 기관에서도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료는 분만이 가장 원칙적이며, 경련 예방 및 혈압 조절을 위한 약물 치료도 함께 이루어집니다. 1. 임신 ...2025.01.13
-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교육론2025.01.231. 한국인의 인사법 이 교재에서는 한국에서 나이에 따라 인사하는 방법이 다르며, 같은 나이이거나 어린 나이일 경우 인사법과 어른에게 하는 인사법을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아침, 저녁으로 어른께 하는 인사법과 설날처럼 특별한 날에 어른께 절을 하는 풍습도 제시하였습니다. 이는 유교사상이 깊이 뿌리 박혀 있는 한국의 사상 문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2. 긴급 전화번호 이 교재에서는 긴급 상황에 필요한 전화번호인 112(경찰서), 119(소방서)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또한 다문화 가족을 위한 교재이므로 결혼이민자 학습자가 실제적으로 한국 ...2025.01.23
-
고위험 신생아의 분류와 미숙아 및 저출생 체중아의 특성2025.01.031. 고위험 신생아의 분류 고위험 신생아는 크기와 제태기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크기에 따른 분류로는 LDW(출생 체중 2500g 미만), SGA(10백분위수 미만), AGA(제태기간에 적절한 체중), LGA(90백분위수 이상)가 있습니다. 제태기간에 따른 분류로는 Preterm(37주 이전 출생), Full term(37-42주 출생), Post term(42주 이후 출생)이 있습니다. 2. 미숙아 및 저출생 체중아의 원인 및 특성 미숙아 및 저출생 체중아는 출생 시 체중에 관계없이 임신 37주 이전에 출생한 신생아를 ...2025.01.03
-
A+++!!!! 여성건강간호학 전치태반 case study. placenta previa 간호진단5개 간호중재2개2025.05.051. 전치태반 전치태반은 임신 후반기 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분만 전, 후에 심각한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전치태반은 위치에 따라 minor 등급 ①②, major 등급 ③④ 총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전치태반은 유착태반, 감입태반, 침투태반 등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고, 전치태반의 7%에서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유착태반이 동반될 수 있다. 전치태반으로 인한 출혈은 모성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태아의 경우 조산으로 인한 사망의 위험이 크다. 외에도 자궁내 저산소증, 선천성 기형, 자궁내 성장지연, 저체중 등이 발생할 ...2025.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