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78개
-
운영체제의 메모리 관리2025.01.171. 메모리 메모리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이다. 물리적 메모리와 가상 메모리로 구분되며, 주소 지정 방식으로 페이징 기법과 세그먼테이션 기법이 있다. 물리적 메모리는 RAM으로 구성되고, 가상 메모리는 하드 디스크를 이용해 RAM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2. 운영체제의 메모리 관리 운영체제는 메모리 상태 점검, 프로세스 할당 결정, 메모리 할당과 회수 방법 결정 등의 기능을 통해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물리적 메모리 관리는 연속 할당 방식(고정 분할, 가변 분할)과 분산 할당 방식(페이징, ...2025.01.17
-
컴퓨터구조_컴퓨터 내부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사이클의 4가지 단계에 대해서 비교 설명하시오.2025.01.291. 명령어 인출 단계 (Fetch) 명령어 사이클의 첫 번째 단계는 명령어 인출(fetch) 단계이다. 이 단계는 CPU가 메모리에서 실행할 명령어를 불러오는 과정이다. 현대 컴퓨터에서 CPU는 프로그램 카운터(PC)를 통해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위치를 추적한다. 프로그램 카운터는 메모리 주소를 가리키며, 이를 바탕으로 명령어를 메모리에서 인출하여 명령어 레지스터(IR)에 저장한다. 이때 CPU는 주소 버스를 통해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지정하고, 데이터 버스를 통해 해당 명령어를 인출하여 명령어 레지스터로 전달한다. 2...2025.01.29
-
운영체제 - 기억장치의 개념과 기억장치의 스케줄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2025.01.151. 기억장치의 개념 기억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접근하는 데 사용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이다. 기억장치는 주로 주기억장치(메인 메모리)와 보조기억장치(보조 저장장치)로 구분된다. 주기억장치는 컴퓨터가 실행 중인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보조기억장치는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장기적으로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기억장치는 데이터 접근 속도와 용량에 따라 계층적으로 구성된다. 2. 기억장치의 스케줄링 기억장치 스케줄링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메모리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의미한...2025.01.15
-
C언어 1 - 재귀함수와 포인터의 개념 및 활용2025.01.151. 재귀함수 재귀함수는 함수가 자기 자신을 호출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기법입니다. 이 기법은 큰 문제를 작은 문제로 나누어 해결할 수 있게 해주며, 특히 반복적이고 계층적인 구조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합니다. 재귀함수를 사용할 때는 기본 조건(base case)과 재귀 조건(recursive case)을 명확히 정의해야 합니다. 재귀함수의 대표적인 사용 사례로는 팩토리얼 계산, 피보나치 수열 계산, 트리 탐색 등이 있습니다. 2. 포인터 포인터는 다른 변수의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로, 간접적으로 변수에 접근하고 조작할 수 ...2025.01.15
-
컴퓨터구조 출석수업 만점2025.01.251. 직접주소 직접주소는 명령어의 주소필드에 직접 오퍼랜드의 주소를 저장시키는 방식이다. LDA ADRS ; AC←M[ADRS] 즉 ADRS=700이고M[700]=900이므로 유효주소는 700, AC에 적재되는 값은 900이다. 2. 간접주소 간접주소는 명령어의 주소필드에 유효주소가 저장 되어있는 기억장치 주소를 기억시키는 방식이다. LDA[ADRS] ; AC←M[M[ADRS]] 즉 M[700]=900으로 M[900]이 되고 M[900]=950 이므로 유효주소는 900, AC에 적재되는 값은 950이다. 3. 인덱스주소 인덱스주소는...2025.01.25
-
CPU의 데이터 처리 속도 향상 방안2025.05.131. CPU의 기능 CPU는 컴퓨터가 수행하는 모든 연산 및 작동의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CPU에서는 프로그램 상에 포함된 명령어를 끌어와 해석하고, 명령어대로 연산을 수행하여 연산이 완료된 결과는 메모리상에 기록한다. 2. CPU의 데이터 처리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PU의 데이터 처리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CPU의 클럭 속도, 코어의 수, 캐시 메모리, 아키텍처, 메모리의 속도 등이 있다. 3. CPU 자체의 성능 향상 CPU 자체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는 CPU의 클럭 수를 증가시키거나 하나의 CPU 내...2025.05.13
-
c언어로 쉽게 풀어쓴 자료구조 개정 3판 3장 연습문제 (해설 포함)2025.05.141. 2차원 배열의 메모리 크기 2차원 배열이 메모리에서 차지하는 크기는 행의 개수와 열의 개수, 그리고 각 요소의 크기를 곱하여 계산할 수 있다. 문제에서 제시된 10행 20열의 int형 2차원 배열은 10 x 20 x 4 = 800바이트의 크기를 차지한다. 2. 배열의 시작 주소 배열의 시작 주소는 배열의 첫 번째 요소가 저장되는 공간의 주소이다. 문제에서 배열의 첫 번째 요소가 1000번지에 저장된다고 했으므로, 10번째 요소는 1000 + (4 x 10) = 1040번지에 저장된다. 3. 배열의 크기 비교 배열의 크기는 각 ...2025.05.14
-
운영체제 ) 가상 메모리 관리 기법의 기본 동작 원리와 페이징 기법과 세그먼트 기법, 그리고 구역성(Locality)이 페이징 기법에서 가지는 중요한 의미에 대해서 조사하시오.2025.05.131. 가상 메모리 관리 기법의 기본 동작 원리 컴퓨터는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메인 메모리(주기억장치)에 탑재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 장치의 물리적인 메모리 용량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고, 또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프로그램 전체를 동시에 실행하는 경우도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컴퓨터 공학자들은 좀 더 효율적인 컴퓨터 사용을 위해 당장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일부분만 메인 메모리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마다 나머지 부분을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 장치에서 불러오는 메모리 관리 기법을 떠올렸고, 이를 가상 메모리 관리 기법이라고 ...2025.05.13
-
방통대 방송대 컴퓨터구조 출석수업과제물 A+2025.01.261. 프로그램 카운터(PC) 프로그램 카운터(PC)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위치를 가리키는 역할을 하며, 명령어가 실행되면 다음 명령어의 위치로 이동하게 됩니다. 주어진 프로그램에서 PC는 550이라는 위치에 있으며, 이 위치가 프로그램의 시작 주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주소 지정 방식 명령어의 내용은 'AC에 적재하라'이며, 이진수로 변환되어 저장되어 있습니다. 주소 지정 방식도 문제에서 나온대로 '직접주소', '즉치주소' 등이 이진수로 저장되어 있습니다. 주소 지정 방식에는 직접 주소 지정, 즉치 주소 지정, 간접 주소...2025.01.26
-
중앙대학교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9주차2025.01.021. fnd.c 파일의 fnd_hexadecimal 배열 완성 fnd.c 파일의 static unsigned short fnd_hexadecimal[16] 배열을 완성하였습니다. 이 배열은 16진수 숫자를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값들을 저장하고 있습니다. 2. 선택 모드에서의 장치 선택 '선택 모드'에서 d를 입력하면 Dot Matrix, c를 입력하면 CLCD가 선택됩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dc, cd, dcd, ccddcd 조합으로 Dot Matrix와 CLCD가 모두 선택됩니다. 3. keypad 값 읽기를 위한...2025.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