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약 정리 - 이뇨제, 혈압약, 고지혈증약, 심장약 등등 (간호학생, 신규간호사 추천)2025.01.231. 이뇨제 (Diuretics) 신장에서 소변(물, 전해질, 노폐물 포함)의 배설을 증가시키는 약물. 심장기능상실(심부전, hert failure, HF), 내분비장애(endocrine disturbance), 신장질환 및 간질환 : 체액과부하 혹은 부종(edema, 과다한 체액정체)을 유발. 고혈압 : 항고혈압약물, 이뇨제 병용 →고리이뇨제, thiazide계 이뇨제. 유해반응 : 전해질 및 수분장애, hypokalemia, hypotension, 피부발진, 간, 콩팥 장애, 고용량 장기 사용 시 이독성. 2. 고지질혈증약물 고...2025.01.23
-
산소부족에 따른 심장질환2025.05.011. 말초 산소포화도 정의 말초산소포화도란 산소와 결합된 헤모글로빈 포화도를 측정하는 비침습적 검사이다. 말초산소포화도 측정 목적은 동맥혈의 산소포화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면서 저산소증 증상이 나타나기 이전의 산소비포화 상태를 알기 위해서이다. 말초산소포화도 측정 방법은 적외선 불빛의 파장과 대상자의 손가락, 발가락, 코, 귓불 혹은 앞이마에 부착한 감지기를 이용하여 혈색소의 산소포화도를 확인한다. 2. 말초 산소포화도 측정 시 간호와 주의할 점 대상자에게 혈액순환을 잘 측정할 수 있도록 팔을 많이 움직이지 않도록 설명한다. 매니큐...2025.05.01
-
심근경색증 case study(심장기능저하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2025.01.141. 심장기능저하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대상자가 침상에 앉은 자세로 있어야만 숨을 쉴 수 있다고 호소하고 있으며 숨이 차서 다른 일을 하기 힘들다고 호소하고 있으므로 간호진단 1순위로 선정하였다. 활력징후 변화와 부정맥의 진전은 심맥관계 저산소증의 결과이며, 순환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핍뇨는 신장 관류의 감소를 의미한다. 디기탈리스와 이뇨제를 투여받는 환자의 소변량은 증가한다. 심장지수, 전부하와 후부하, 심근 수축력, 심근의 부하를 thoracic electrical biompedence(TEB)로 비침습적으로 측정할 수 있...2025.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