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8개
-
한국어 문법 표현의 예와 교수 방법2025.01.111. -지 말다 '-지 말다'는 어떤 행위의 금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동사에 붙어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게 함을 나타낸다. 주로 명령문과 청유문에서 사용되며, 형용사와는 결합하지 않는다. 높임 표현으로 '-지 마세요, -지 마십시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어 주다'를 붙여 공손한 표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문장, 대화, 담화 단위의 연습이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활동을 통해 교수할 수 있다. 2. -지 못하다 '-지 못하다'는 능력이 없거나 어떤 상태에 이르지 못함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동사에 붙어 어떤 행위를 이...2025.01.11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실습 모의수업 PPT2025.05.101. 동사 + (으)ㄴ 문법 이번 수업에서는 동사 + (으)ㄴ 문법을 배웠습니다. 이 문법은 동사 뒤에 붙어서 그 뒤에 오는 명사를 수식하고, 그 사건이나 행위가 과거에 일어났음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베트남에서 온 친구', '콘서트 가서 찍은 사진' 등입니다. 문법 규칙으로는 받침 유무에 따라 '은/ㄴ'이 달라지고, ㄹ 받침, ㄷ 받침 등의 경우 특별한 변화가 있습니다. 학생들은 이 문법을 연습하고 활용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1. 동사 + (으)ㄴ 문법 동사 + (으)ㄴ 문법은 한국어 문법의 핵심적인 부분 중 하나입니다. 이...2025.05.10
-
단형 피동과 장형 피동의 의미차이2025.05.051. 피동법 한국어에서는 동작이나 행위를 누가 하느냐에 따라 능동문과 피동문으로 나누어 표현한다. 피동문에는 단형 피동, 장형 피동, 그리고 어휘 피동이 있으며, 본 과제에서는 단형 피동과 장형 피동에 대하여 살펴보고 각각의 의미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단형 피동 단형 피동은 피동 접사에 의한 피동법이며 파생적 피동이라고도 한다. 능동사의 어간에 피동 접미사인 '이, 히, 리, 기'를 붙여서 만든다. 하지만 모든 타동사에 피동 접사를 붙여서 피동사를 만들 수 없으며, 능동문에 대응되는 피동문이 없는 경우나 피동문에 대응...2025.05.05
-
단형피동과 장형피동의 의미 차이2025.11.131. 단형피동 단형피동은 피동접사(이/히/리/기)에 의한 파생적 피동법으로, 능동사의 어간에 피동접미사가 붙어 실현된다. 대체로 자발적이거나 우연히 발생한 사태를 표시하는 데 많이 사용되며, 모든 동사에 적용되지 않는다. 단형피동은 '저절로'와 같은 부사와 자연스럽게 사용되며, 날씨 변화나 자연현상 같은 인간 행위자가 관여하지 않은 자발적 사건을 표현할 때 적합하다. 2. 장형피동 장형피동은 '~아/어지다'와 같은 보조용언에 의한 통사적 피동법으로, 단형피동에 비해 형태적으로 길다. 단형피동과 달리 큰 제약 없이 거의 모든 동사에 ...2025.11.13
-
공공시설 이용하기: 초급 한국어 어휘교육 교안2025.11.131. 교통수단 어휘 초급 학습자를 위한 교통수단 관련 어휘 교육으로 비행기, 버스, 지하철, 택시 등 주요 교통수단을 소개합니다. 학습자들은 각 교통수단의 명칭을 익히고 실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반복 연습합니다. PPT 사진 자료를 활용하여 시각적으로 교통수단을 제시하고, 교사의 모델링을 통해 정확한 발음과 표현을 학습합니다. 2. 동작 동사 '타다'와 '내리다' '타다'와 '내리다'는 교통수단 이용 시 필수적인 동작 동사입니다. '타다'는 교통수단에 탑승하는 행위를, '내리다'는 하차하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학습자들은 이 ...2025.11.13
-
관형사, 부사'와 '관형어, 부사어' 의 차이 설명2025.01.191. 관형사와 부사 관형사는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 앞에서 그 체언만을 꾸미는 반면, 부사는 용언(동사, 형용사) 앞 또는 문장 앞에서 뒤에 이어지는 용언 및 문장을 꾸민다. 관형사는 형태가 변하지 않지만 부사는 조사와 결합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2. 관형어와 부사어 관형어는 체언(명사, 대명사)을 꾸며주는 문장 성분이고, 부사어는 용언(동사, 형용사)을 꾸며주거나 다른 부사어, 문장 전체를 꾸며주는 문장 성분이다. 관형어는 체언 앞에 위치하며 필수적이지 않은 부속 성분이지만, 부사어는 생략되면 어색한 문장이 된다. 1....2025.01.19
-
한국어교안작성 경희한국어 초급2025.01.161. 동작동사 (으)려고 하다 이 교안에서는 동작동사 '(으)려고 하다'를 사용하여 어떤 행동의 의도와 계획을 말할 수 있도록 학습합니다. 문법 형태와 용법을 연습하고, 다양한 문장으로 표현하는 연습을 합니다. 1. 동작동사 (으)려고 하다 동작동사 '(으)려고 하다'는 한국어에서 매우 중요한 문법 구조입니다. 이 구조는 동작이나 행위를 하고자 하는 의도나 계획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밥을 먹으려고 한다'는 문장은 '밥을 먹고자 하는 의도'를 표현합니다. 이 구조는 미래 시제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되며, 화자의 의지나 계획을 강...2025.01.16
-
동사의 종류2025.01.061. 완전자동사 완전자동사는 주어 동사만으로 완전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문장입니다. 예를 들어 'She looks down the bench.'와 같이 주어와 동사만으로 문장이 완성됩니다. 이 유형의 동사에는 look, appear, listen, talk, smile, cry, fight, work, walk, rise, fly, matter 등이 있습니다. 2. 불완전자동사 불완전자동사는 주어와 동사만으로는 완전한 의미를 전달할 수 없어 보어가 필요한 문장입니다. 예를 들어 'He is tall.'과 같이 주어와 동사 뒤에 ...2025.01.06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론-관형사, 부사와 관형어, 부사어의 차이를 설명하시오2025.05.011. 관형사와 부사의 차이 관형사는 주로 명사 앞에 놓여서 이를 꾸며주는 말이며, 부사는 동사나 형용사 등의 문장을 꾸며주는 말이다. 관형사는 성상관형사, 지시관형사, 수관형사로 나뉘며, 부사는 성분 부사와 문장 부사로 나뉜다. 부사의 범위가 관형사보다 더 넓다. 2. 관형어와 부사어의 차이 관형어와 부사어는 문장 성분에 따라 나뉘었을 때 주어, 서술어 등의 주 성분 외에 주성분을 자세하게 꾸며주는 부속성분에 속한다. 관형어는 명사, 대명사, 동사, 형용사 등을 꾸며주며, 부사어는 부사뿐만 아니라 부사격 조사가 붙은 말, 형용사 어...2025.05.01
-
[한국방송통신대] 프랑스어 읽기와 쓰기 A2 (2022년 2학기 출석수업과제물)2025.01.261. 가족 생활 이 문제집에서는 가족 관련 단어와 문장을 연습하는 문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가족 구성원, 가족 모임, 명절 등 가족 생활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2. 인사말 이 문제집에서는 이메일에서 상대방의 신분에 따라 적절한 인사말을 사용하는 방법을 연습하는 문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친구, 선생님, 부부 등 다양한 상황에서의 인사말을 익힐 수 있습니다. 3. 동사 사용 이 문제집에서는 '가다'와 '오다'라는 동사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연습하는 문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문장 상황에 맞는 동사 선택과 활용...2025.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