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실습 모의수업 PPT
본 내용은
"
외국어로서의_한국어_실습_모의수업_PPT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4
문서 내 토픽
-
1. 동사 + (으)ㄴ 문법이번 수업에서는 동사 + (으)ㄴ 문법을 배웠습니다. 이 문법은 동사 뒤에 붙어서 그 뒤에 오는 명사를 수식하고, 그 사건이나 행위가 과거에 일어났음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베트남에서 온 친구', '콘서트 가서 찍은 사진' 등입니다. 문법 규칙으로는 받침 유무에 따라 '은/ㄴ'이 달라지고, ㄹ 받침, ㄷ 받침 등의 경우 특별한 변화가 있습니다. 학생들은 이 문법을 연습하고 활용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
1. 동사 + (으)ㄴ 문법동사 + (으)ㄴ 문법은 한국어 문법의 핵심적인 부분 중 하나입니다. 이 문법은 동작이나 상태의 완료를 나타내며, 문장의 의미를 보다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먹었다'와 '먹는다'는 동작의 완료 여부를 구분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화자의 의도를 보다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문법은 문장의 시제를 나타내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과거, 현재, 미래 등의 시제를 구분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문장의 의미를 보다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사 + (으)ㄴ 문법은 한국어 학습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실습] 모의수업 실습 PPT 지도안 11페이지
도입(80쪽)지도여행 책-(으)ㄹ 수 있다/없다2023.07.05· 11페이지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실습 모의수업 PPT -지 말다(-지 마세요) 18페이지
11 과 . 수업시간에 자지 마세요오늘의 학습 목표 금지의 의미를 나타내는 표현을 배울 수 있다 . ‘- 지 말다 ’ 문법을 사용하여 말할 수 있다 . 여기에는 소제목에 따른 내용을 작성 여기에는 소제목에 따른 내용을 작성먹 ( 다 ) 하 ( 다 ) + [ - 지 말다 ][- 지 말다 ] 동사 + ‘- 지 말다 ’ 먹 다 하 다 + = 먹 지 말다 하 지 말다 - 지 말다 받침 O 받침 X‘- 지 말다 ’ ' 받침이 X 가 다 + - 지 말다 → 가지 말다 만지 다 + - 지 말다 → 만지지 말다 바꾸 다 + - 지 말다 → 바꾸지...2022.11.29· 18페이지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실습_중급_모의수업_발표자료 ppt 16페이지
세종한국어 8권(중급) 7장. 찬성과 반대 문법 학습“사람에 따라(서) 매운 걸 잘 안 먹는 사람도 있어요.”여러분, 매운 음식을 잘 먹나요?명사 뒤에 붙어, 앞에 오는 기준이 뒤에 오는 동작이나 상태를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서'를 생략해 '-에 따라'로 쓸 수 있다.-에 따라(서)의미[기준]사람 에 따라(서) 매운 걸 잘 안 먹는 사람도 있어요.[동작이나 상태]명사(N) 끝음절의 받침에 상관 없이 -에 따라 (서) 를 쓴다.형태명사(N)사람+ -에 따라(서)[ 사람 ] 에 따라(서)연령[ 연령 ] 에 따라(서)학년[ 학년 ] ...2023.01.24· 16페이지 -
한국어교육실습모의수업지도안-N에서 10페이지
해커스원격평생교육원 모의수업 지도안학기2021년과목명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실습이름급수초급 1A단원한국어를 공부해요수업시간교재명(출판사)서울대 한국어(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쪽수대상학습목표‘N에서’ 문법 표현의 의미를 이해하고 말할 수 있다.준비물판서 도구, PPT, 교재기타자료CD, CD PLAYER학습단계시간교수-학습 내용 및 활동시간자료 및 유의점도입5분(PPT 슬라이드 띄워놓는다)단원:서울대 한국어 1A 3과T : 안녕하세요?Ss : 안녕하세요?T : (학생들 이름과 얼굴을 확인하고 대답듣기)샤오밍 씨, 도반키 씨, 딘딘 씨, ...2022.04.04· 10페이지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실습] 과제7종 풀세트+모의수업용 ppt자료 1페이지
교재교재명: 세종한국어 3저자: 국립국어원출판사: 하우출판사출판년도: 2013년선택 단원 : 3단원 / 주제: 축하선택 문형 : -(으)니까선택 문형의 용법: 동사나 형용사 뒤에 붙어서 앞의 내용이 뒤의 내용의 이유가 됨을 나타냄*교재 선택의 이유교재를 선정함에 있어서 고민이 많았다. 좋은 교재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인지도가 높 고 검증된 대학기관의 통합형 교재들과 세종학당의 교재를 두루 살펴 보고 최종적으 로는 ‘세종한국어’를 선정하였다. 알려진 대로 세종학당은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정신 을 이어받아 전 세계를 무대로 ...2020.11.21· 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