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9개
-
정상 신생아(Newborn) 기저귀 발진(Diaper rash)2025.01.191. 정상 신생아의 특징 정상 신생아는 모체의 태 안에서 자동적으로 산소와 영양을 받고 있던 상태에서 자력으로 호흡이나 영양 섭취를 하게 되는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며, 이에 따라 초기의 체온 강하, 생리적 체중 감소, 피부 낙설, 신생아황달, 제대 탈락 등의 여러 현상이 일어난다. 감각 면에서는 영양 섭취를 위한 흡인반사는 잘 발달되어 있으나, 미각, 후각, 시각, 청각 등은 미숙한 상태이다. 또한 이 시기는 사망률 및 이환율이 높아 매우 취약한 시기이다. 2. 정상 신생아의 활력징후 정상 신생아의 활력징후는 호흡 30-60회/분,...2025.01.19
-
탈장봉합술 (Herniorrhaphy) 사례연구2025.05.141. 탈장의 정의와 유형 복벽을 통해 장의 일부가 돌출된 것을 복부탈장이라고 한다. 탈장의 형태는 다양하여 위치나 정도에 따라 간접 및 직접 서혜부(살굴)탈장, 대퇴(닙다리)탈장, 제대탈장(배꼽탈장), 절개탈장으로 구분한다. 2. 탈장의 원인 및 위험요인 탈장은 복벽의 약화와 복압의 증가로 발생한다. 복벽은 질병이나 노화로 약화되고, 복압은 임신, 비만, 기침, 재채기, 무거운 것을 들어올리는 행위, 변비배변 시 긴장 등에 의해 증가된다. 3. 탈장의 병태생리 간접 서혜부탈장은 복막이 낭을 만들어 그 안에 장 또는 대망이 들어가고,...2025.05.14
-
[A+]아동간호학실습 뇌성마비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2025.01.121. 뇌성마비 뇌성마비는 태아나 영아의 뇌에 발생하는 비진행성 장애에 의해 유발되는 영구적인 운동발달당애와 자세발달장애군이다. 운동장애는 뇌손상 부위와 관련되며, 강직형, 운동이상증, 운동실조증, 혼합형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뉜다. 뇌성마비 환자는 운동장애 외에도 시각장애, 청각소실, 언어장애, 발작, 지적장애, 구강운동장애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은 발달 지연, 근육긴장 증가 및 감소 등의 임상적 소견을 바탕으로 하며, 치료는 아동이 최대 수준의 독립성을 갖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춘다. 간호 중재로는 영양 공급, 피부...2025.01.12
-
신생아의 퇴원교육2025.01.151. 신생아 퇴원교육 아동간호사는 아동과 가족의 요구를 파악하고 권리와 선택 가능한 것을 알려주며 충분히 인지한 상태에서 치료할 수 있도록 가족과 아동의 이익을 옹호하고 보호한다. 건강과 질병의 모든 측면에 대해 교육과 상담을 제공하며 아동 및 가족과 의사소통 시 근거기반 실무를 바탕으로 최선의 치료를 지속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2. 신생아 목욕 목욕 시 38~40도의 따뜻한 물을 준비하고, 팔은 아이의 등을 지지하며 공을 안듯 안아준다. 거즈에 물을 적셔 눈, 코, 입, 순서로 가볍게 닦은 후 엄지와 검지로 양쪽 귀를 잘...2025.01.15
-
하동의 과일로 소아과 아이들에게 발견되는질병 예방하기2025.01.161. 슬로시티 슬로시티란 공해 없는 자연 속에서 전통문화와 자연을 잘 보호하면서 자유로운 옛 농경시대로 돌아가자는' 느림의 삶'을 추구하려는 국제운동으로, 1999년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슬로시티로는 전북 전주(한옥마을), 전남 완도군(청산도)·신안군(증도)·담양군(창평면), 경남 하동군(악양면)·김해시(봉하마을, 화포천습지생태공원), 충남 예산군(대흥면)·태안군(소원면)·서천군(한산면), 경기 남양주시(조안면), 경북 상주시(함창읍, 이안면, 공검면)·청송군(부동면, 파천면)·영양군(석보면), 충북 제천시(수산면...2025.01.16
-
[아동간호학 책 요약정리] 신생아의 기형(근골격계, 위장관계, 비뇨기계)2025.05.111. 발달성 고관절이형성증 발달성 고관절이형성증은 고관절의 구성요소인 비구, 대퇴골두, 주위 연조직 중 하나 이상에 발육부진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유전적, 기계적, 내분비적 소인이 있으며, 가족력, 산모의 자궁 크기, 양수과소증, 거대아 등이 위험요인이다. 임상증상으로는 깊은 피부주름과 짧은 다리, 고관절 외전제한, Galleazzi 징후, Ortolani 검사 양성, Barlow 검사 양성, Trendelenburg 징후 등이 있다. 치료는 생후 6개월 이전에는 파브릭보장구나 외전부목으로, 생후 6개월에서 18개월 사이에는 연부조...2025.05.11
-
[A+자료] 여성간호학 실습 제왕절개(C-sec) Case Study (간호진단4개)(간호과정3개)2025.01.161. 제왕절개(C-sec) 제왕절개분만(Cesarean section)이란 복부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 시키는 것으로 미국의 경우 1970년도에는 5.5%였던 것이 1990년도에는 전체 분만의 10~40%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국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에서도 2011년 조사 결과에 의하면 전체 분만의 41.5%를 차지하며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오늘날 수술 기술의 발달과 무균 조작법, 항생제의 발달로 제왕절개로 인한 모성 사망률이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지만 질 분만에 비하여 모아에게 미치는 위험률은 2배 이상이다. ...2025.01.16
-
신생아의 신체사정 방법2025.01.051. 신생아 신체사정 신생아의 신체사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첫째, 신생아가 엄마의 자궁 밖에 나와서 환경에 잘 적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둘째, 신생아가 다른 유전적인 혹은 신체적인 질환이 없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체사정은 아기가 태어나서 24시간 이내 혹은 입원한 경우라면 퇴원하기 전 24시간 이내 실시하도록 합니다. 머리부터 발끝까지(head to toe) 시행되며, 신체사정 전 손 소독을 하고 장갑을 착용합니다. 이때 체온유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2. 신체사정 방법 신체사정 준비물은 poly glove, surgic...2025.01.05
-
자궁근종 환자의 복강경하 질식 자궁절제술(자궁적출술) 환자교육 리플렛_간호 교육자료2025.05.131. 자궁근종 자궁을 이루고 있는 평활근(smooth muscle) 근육에 생기는 종양을 의미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생리통, 골반통, 요통, 생리과다, 부정출혈, 성관계시 통증 등이 있습니다. 임신을 원하지 않는 경우, 근종이 다발성인 경우, 자궁의 크기가 커져 있을 경우, 월경과다를 동반한 근종이 있을 경우, 방광 및 직장의 압박증상이 있을 경우 자궁절제술을 고려합니다. 2. 복강경하 질식 자궁절제술 배꼽 아래 피부를 절개하여 복강경을 삽입하는 수술 방법입니다. 수술 후 관리로는 외래 방문, 상처 관리, 목욕 및 샤워, 운동 및...2025.05.13
-
호흡 및 흉곽과 골반 담당하는 근막2024.12.311. 호흡 호흡은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가스교환 작용으로, 세포의 기능 향상, 말하기, 체액 흐름, 흉곽과 척추의 가동성 유지, 소화기능 향상, 건강한 피부 유지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내호흡은 세포 내 이산화탄소 배출, 외호흡은 폐에서의 가스교환 과정이다. 흡기 시 가로막 수축, 갈비뼈 상승으로 흉강이 확장되고, 호기 시 가로막 이완, 갈비뼈 하강으로 흉강이 축소된다. 2. 호흡근 호흡에 관여하는 근육에는 가로막, 갈비사이근, 복근 등이 있다. 가로막 수축, 갈비뼈 상승 등의 작용으로 흡기가 이루어지고, 가로막...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