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6개
-
국어 교과서와 한국어 교재의 차이점2025.01.151. 학습대상 국어 교과서의 경우 모국어가 한국어인 사람들을 학습 대상으로 하는 국어과 교육과정을 근거로 공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이와 다르게 한국어 교재의 경우 한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이 주 대상으로 해외이주자, 유학생, 한국 취업 준비생, 한국문화에 흥미를 느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사람 등이 다양하게 있습니다. 2. 목적과 기능 국어 교과서의 경우 한국어 자체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한국어의 언어 사용 능력이나 사회적 소통 능력, 국어 문화 계승 및 발전 등 다양한 곳에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어 교재의 경우 학습...2025.01.15
-
면담기초기술 중 6가지를 선택하고 각각의 예시를 들으세요2025.05.131. 면담의 13가지 기초기술 면담의 기초기술에는 의사소통기술,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 기술, 질문 기술, 라포형성과 관계형성 기술, 공감 기술, 경청 기술, 명료화 기술, 요약 기술, 침묵활용, 바꿔말하기 기술, 초점유지 기술, 표현촉진 기술, 계약 기술 등이 있다. 이 기술들은 면담 과정에서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및 활용되어야 한다. 2. 6가지 면담 기초기술 예시 1) 의사소통기술: '어떤생각이 드시나요?' 와 같은 질문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대답을 유도하며 활발한 대화 참여를 이끌어 상담자와 클라이언트 간 의사소통을 원...2025.05.13
-
스페인어 모음과 자음에 대해서2025.04.281. 스페인어 모음 스페인어 모음은 a, e, i, o, u로 구성되며, a, e, o는 강모음, i, u는 약모음입니다. 강모음은 casa, mesa, pino, oso, cama, café, todo 등에서 사용되고, 약모음은 luna, tinta, mucho 등에서 사용됩니다. 이중모음은 두 개의 모음이 연속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이며, 삼중모음은 세 개의 모음이 사용되는 경우입니다. 2. 스페인어 자음 스페인어 자음에는 b, c, ch, d, f, g, h, j, l, ll, m, n, ñ, p, q, r, rr, s, t, v...2025.04.28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수 과목 설계 - 상황-맥락 교수요목(Situation contextual syllabus)의 설계2025.01.221. 상황-맥락 교수요목 상황-맥락 교수요목은 실생활에서 예상 가능한 상황들과 이와 관련된 학습항목을 선정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습니다. 학습자의 요구와 흥미에 따라 학습내용을 선정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동기부여가 강하며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문법과의 균형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상황-맥락 중심의 교수요목을 설계할 때는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상황이나 배경이 가장 중요하며, 상황의 순서에 따라 학습항목을 배열하게 됩니다. 2. 상황-맥락 교수요목의 설계 상황-맥락 교수요목을 설계할 때는 학습자가 일...2025.01.22
-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 평가 문항 분석 및 개선방안2024.12.311. 한국어 듣기 평가 유형 및 언어평가 요건 한국어 듣기 평가에서는 학습자의 숙달도와 수준에 따라 다양한 실제 생활의 듣기 담화 유형이 반영되어야 하며, 수험자의 숙달도 수준과 평가목표, 주제에 따라 평가 유형이 선정되어야 한다. 한국어 듣기 평가의 유형에는 '듣기 평가 자료에 따른 평가 유형', '반응 유형에 따른 듣기 평가 유형', '평가 범주에 따른 듣기 평가 유형' 등이 있다. 또한 언어평가의 요건인 타당도, 신뢰도, 실용도를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2. 한국어 듣기 평가 문항 분석 및 문제점 개선방안 한국어능력시험(TO...2024.12.31
-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의 세부적인 목표 제시 및 내용 설명2025.05.101. 다양한 길이의 발화 단위 사용 한국어는 문장을 완성하지 않고 일부 성분만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아, 학습자의 말하기 부담을 줄이고 모국어 화자와 같은 유창성을 갖게 하기 위해 다양한 길이의 발화 단위를 사용하게 한다. 2. 음소와 변이음의 정확한 발음 한국어의 평음, 격음, 경음 자음과 이중모음 등은 외국인 학습자에게 발음하기 어려운 요소이므로, 발음의 정확성을 요구하는 교육이 필수적이다. 3. 운소의 구분 사용 한국어에서 길이와 억양은 운소로 기능하므로, 특히 억양의 경우 긍정문, 부정문, 의문문 등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므로...2025.05.10
-
초급 학습자에 효과적인 문화교육의 방법2025.05.031. 문화교육의 중요성 최근 외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언어적 숙달도와 더불어 문화적 숙달도가 전제되어야 한다. 문화 교육은 언어 교육과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학습자의 수준과 목적에 따라 적절한 문화 항목과 교수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2.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육의 목표는 한국인의 행동 양식, 언어 사용, 관습 등의 문화적 내용을 이해하고 평가하며, 원어민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글의 창제, 어휘...2025.05.03
-
자기효능에 대해 학습했습니다2025.05.031. 자기효능감의 개념 자기 효능감이란 특정 상황이나 과제를 수행할 때 자신의 능력을 믿는 것을 말합니다. 알버트 반두라에 따르면 자기 효능감은 잠재적 상황을 관리하고자 하는데 필요한 행동에 대한 과정을 조직화하면서 실행하게 되는 능력에 대한 믿음을 의미합니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도전 과제를 숙달할 과제라고 생각하며 더 깊은 관심과 열정을 보이지만, 자기효능감이 낮은 사람은 도전 과제를 피하고 부정적인 결과에 집중하게 됩니다. 2. 자기효능감의 영향요인 자기효능감의 영향요인으로는 1) 숙달 경험, 2) 사회 모델링, 3) 심...2025.05.03
-
외국어로서 한국어의 의미론 - 실제 언어자료(한국어 교재 활용)를 통해 신정보와 구정보 표지를 찾아 분석하시오2025.01.151. 한국어 교육에서의 '이/가'와 '은/는'의 사용 한국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학생들은 '이/가'와 '은/는'이 모두 주격 조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어느 상황에서 어떤 조사를 사용해야 하는지 혼란을 겪게 된다. 이는 국내 교재에서 '이/가'와 '은/는'의 기준이나 예시를 명확히 제시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제 언어자료를 통해 '이/가'와 '은/는'이 신정보와 구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2. 신정보와 구정보의 개념 청자가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구정보, 화자가 청자에게 새롭게 전달하는 정보를...2025.01.15
-
초급 학습자에 효과적인 한국 문화 교육 방법2025.01.031. 문화 교육의 현실 최근 발간되는 문화 교육 교재는 실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기존 문화 교육 교재는 문화적 숙달을 배양시키기 위한 교재라기보다는 부수적인 역할을 맡는 경우가 많았다. 대부분의 문화 교육 교재가 전통 문화 소개에 치우쳐져 있어서 현대 문화를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최근 한류 열풍과 함께 문화 교육도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문화 교육을 독립적으로 설정해서 문화적 숙달에 초점을 맞추는 교육이 시행되고 있다. 2. 초급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문화적 능력과 학습 목표 초급 학습자들...2025.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