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819개
-
검안경 검사방법2025.05.021. 직상(direct) 검안경 검사 직상 검안경 검사는 고배율로 시신경유두와 황반부, 혈관의 이상을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검사 방법입니다. 검사 방법은 암실에서 대상자와 검진자가 마주 앉아 오른쪽 눈을 검진할 때는 검안경을 오른쪽에 쥐고, 다이얼을 '0'에 맞춘 후 30cm 떨어져서 대상자의 동공에 빛을 비춥니다. 두 번째 손가락으로 diopter dial을 조절하고, 대상자는 검진자의 어깨 넘어 위쪽으로 시선을 고정합니다. 동공에 적반사가 나타나면 눈 가까이 접근하여 안저를 검사합니다. 2. 도상(indirect) 검안경 검...2025.05.02
-
편측무시 자료조사 및 중재2025.01.121. 편측무시 증후군 편측무시 증후군이란 뇌의 반구 손상으로 인해 반대쪽 무의식적인 정보 처리가 손상되어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이 증후군은 보통 대뇌 피질 내에서 일어나는 문제, 감각 정보를 처리하는 부분에서 이상이 생기면 증상이 나타납니다. 뇌졸중은 편측무시 증후군의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이며, 뇌의 감각 정보를 처리하는 부분에서 이상이 생긴 경우에도 편측무시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족력이나 유전적인 요인도 편측무시 증후군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편측무시 증후군의 증상 편측무시 증후군의 주요 증상은 ...2025.01.12
-
상지, 하지, 몸통 근육별 신경 분포표2025.05.061. 상지 근육의 신경 분포 상지 근육의 신경 분포를 살펴보면, 어깨 관절 운동에 관여하는 근육들의 신경 분포는 다음과 같습니다. 어깨 관절 외전 시 세라텀 앞쪽 근육은 흉부 신경(C5,6,7)에 의해 지배되며, 어깨 관절 거상 시 상부 승모근은 부신경(척수 부분 C11)에 의해, 어깨 관절 내전 시 중부 승모근과 능형근은 부신경(척수 부분 C11)에 의해 지배됩니다. 어깨 관절 내전 및 하방 회전 시 하부 승모근과 능형근은 부신경(척수 부분 C11)에 의해 지배됩니다. 어깨 관절 굴곡 시 삼각근 전부 섬유는 액와신경(C5,6)에 ...2025.05.06
-
뇌신경기능검사(신경계파트)2025.05.071. 뇌신경 기능 검사 뇌신경(12쌍)의 기능과 검사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각 뇌신경의 기능과 검사 방법을 자세히 기술하고 있으며, 정상과 비정상 소견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습니다. 2. 후각신경(제1뇌신경) 검사 후각신경의 기능과 검사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냄새 감지 능력, 일측성 및 양측성 후각 상실 등의 소견에 대해 기술하고 있습니다. 3. 시신경(제2뇌신경) 검사 시신경의 기능과 검사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시력 검사, 안저 검사, 시야 검사 등의 방법을 기술하고 있으며, 관련 병변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습...2025.05.07
-
작업치료 뇌신경2025.05.011. 후각신경 후각신경(Olfactory nerve)은 감각신경으로 기능은 후각이며, 후각기능검사를 통해 양쪽 콧구멍으로 각각 냄새를 맡을 수 있는지 검사할 수 있다. 2. 시신경 시신경(Optic nerve)은 감각신경으로 기능은 시각이며, 시력검사, 시야검사, 안저검사 등을 통해 평가할 수 있다. 3. 눈돌림신경 눈돌림신경(Oculomotor nerve)은 운동신경으로 기능은 안구운동, 위눈꺼풀 올림, 동공수축, 고유감각이며, 대광반사와 외안근운동 검사를 통해 평가할 수 있다. 4. 도르래신경 도르래신경(Trochlear ner...2025.05.01
-
신경계 건강사정(신경계 기본검진, 뇌신경, 소뇌기능, 감각기능, 반사기능 사정, 수행결과O)2025.04.281. 신경계 신체검진 신경계의 신체검진 방법을 익히고 수행한다. 비정상적인 소견이나 증상을 질환과 관련하여 파악하고 적절한 용어를 사용하여 기록한다. 2. 뇌신경 사정 제1뇌신경(후신경), 제2뇌신경(시신경), 제3/4/6신경(동안신경, 활차신경, 외전신경), 제5신경(삼차신경), 제7신경(안면신경), 제8신경(청신경), 제9/10신경(설인신경, 미주신경), 제11신경(척수부신경), 제12신경(설하신경)의 기능을 사정한다. 3. 소뇌기능 사정 롬베르그 검사, 빠른 교대운동, 손가락 조정력 검사, 하지 조정력 검사 등을 통해 소뇌 기...2025.04.28
-
2022 약리 총정리 REPORT2025.04.301. 부교감신경 작용제 부교감신경 작용제인 bethanechol(Urecholine)과 마이토닌정은 소변 정체(방광을 완전히 비우지 못함)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들은 콜린 수용체를 직접 자극하여 부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킵니다. 하지만 부교감신경 작용으로 인해 타액 분비 증가, 발한, 복부 경련, 저혈압 등의 유해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요로 또는 장 폐색이 의심되는 환자나 천식 환자에게는 사용하면 안됩니다. 2. 항콜린성 약물 항콜린성 약물인 atropine(Atro-pen, Atropain, Atropisol)은 항콜린에스테라아...2025.04.30
-
간호학과 신경계, 신체사정 용어정리 및 요점정리2025.05.121. 제1뇌신경 - 후신경(감각신경) 냄새를 맡는다. 2. 제2뇌신경 - 시신경(감각신경) 시각을 담당한다. 3. 제3뇌신경 - 동안신경(혼합신경) 운동; 대부분의 EOM(extraocular muscle, 외안근)운동 안검 상승 부교감적; 동공수축, 수정체 형태 만듦 4. 제4뇌신경 - 활차신경(운동신경) 안구를 아래와 안쪽으로 운동 5. 제5뇌신경 - 삼차신경(혼합신경) 운동; 저작운동 감각; 안면과 두피, 각막, 구강과 비강의 점막에서의 감각 6. 제6뇌신경 - 외전신경(운동신경) 안구의 측면운동 7. 제7뇌신경 - 안면신경(...2025.05.12
-
물질관련장애 정리 보고서2025.05.021. 신경화학적 요인 물질관련장애의 신경화학적 요인으로는 아편, 도파민, GABA, 세로토닌, 노르에피테프린, 아세틸콜린 등이 있다. 이러한 물질들이 신경전달물질 생산을 자극하여 뇌의 활동을 억제하거나 보상체계와 관련된다. 알코올은 간에서 대사되어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로 변환되었다가 다시 비독성 물질로 분해되어 배출된다. 아시아인들은 선천적으로 ALDH 효소가 부족하여 알코올 중독의 빈도가 낮다. 2. 심리학적 원인 물질관련장애의 심리학적 원인으로는 정신역동적 요인과 성격적 요인이 있다. 프로이트의 이론에 따르면 구강기 의존욕구...2025.05.02
-
신경손상의 분류2025.05.081. 신경차단(neurapraxia) 신경차단은 신경타박상이나 압박, 가벼운 견인 등으로 인하여 축삭의 차단이 없는 상태에서 일시적 전도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wallerian 변성은 나타나지 않으며, 운동마비가 주로 나타나고 감각마비는 상대적으로 약하다. 신경전도가 국소적으로 차단된 경우 원인 제거 시 회복이 빠르다. 2. 축삭절단(axonotmesis) 축삭절단은 신경내막 결합조직이나 schwann 세포의 손상없이 신경세포 축삭이 차단된 상태를 말한다. 이 경우 손상부위에서 완전한 축삭전도 장애가 발생하며 wal...2025.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