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지, 하지, 몸통 근육별 신경 분포표
본 내용은
"
상지, 하지, 몸통 근육별 신경 분포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18
문서 내 토픽
-
1. 상지 근육의 신경 분포상지 근육의 신경 분포를 살펴보면, 어깨 관절 운동에 관여하는 근육들의 신경 분포는 다음과 같습니다. 어깨 관절 외전 시 세라텀 앞쪽 근육은 흉부 신경(C5,6,7)에 의해 지배되며, 어깨 관절 거상 시 상부 승모근은 부신경(척수 부분 C11)에 의해, 어깨 관절 내전 시 중부 승모근과 능형근은 부신경(척수 부분 C11)에 의해 지배됩니다. 어깨 관절 내전 및 하방 회전 시 하부 승모근과 능형근은 부신경(척수 부분 C11)에 의해 지배됩니다. 어깨 관절 굴곡 시 삼각근 전부 섬유는 액와신경(C5,6)에 의해, 어깨 관절 신전 시 광배근은 흉배신경(C6,7,8)에 의해 지배됩니다.
-
2. 하지 근육의 신경 분포하지 근육의 신경 분포를 살펴보면, 고관절 굴곡 시 장요근과 장골근은 대퇴신경(L2,3)에 의해 지배되며, 고관절 신전 시 큰볼기근은 하둔신경(L5;S1,2)에 의해 지배됩니다. 고관절 외전 시 중간볼기근은 상둔신경(L4,5;S1)에 의해, 고관절 내전 시 대퇴근은 폐쇄신경(후분지 L3,4)에 의해 지배됩니다. 무릎 관절 굴곡 시 대퇴이두근 장두는 좌골신경(하퇴 분지 S1,2,3)에 의해, 무릎 관절 신전 시 대퇴사두근은 대퇴신경(L2,3,4)에 의해 지배됩니다. 발목 관절 저측 굴곡 시 가자미근과 비복근은 후경골신경(S1,2)에 의해 지배됩니다.
-
3. 몸통 근육의 신경 분포몸통 근육의 신경 분포를 살펴보면, 경부 굴곡 시 흉쇄유돌근은 부신경(C11)과 경추 전근(C2,3)에 의해 지배되며, 경부 신전 시 상부 승모근은 부신경(C11)과 경추 전근(C3,4)에 의해 지배됩니다. 몸통 굴곡 시 복직근은 늑간신경(T7-12)에 의해, 몸통 회전 시 외복사근은 늑간신경(T8-12), 장요골신경(T12,L1), 서혜부신경(L1)에 의해 지배됩니다. 몸통 신전 시 척추기립근은 인접 척수신경의 후근 분지에 의해 지배됩니다.
-
1. 상지 근육의 신경 분포상지 근육의 신경 분포는 매우 복잡하고 세부적입니다. 상지는 다양한 움직임과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를 지원하기 위해 여러 신경이 관여하고 있습니다. 주요 신경으로는 요골신경, 정중신경, 척골신경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상지의 특정 근육군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경 분포의 이해는 상지 근육 손상이나 마비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상지 근육의 신경 분포에 대한 지식은 수술이나 재활 치료 시 근육과 신경의 관계를 고려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상지 근육의 신경 분포에 대한 이해는 의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하지 근육의 신경 분포하지 근육의 신경 분포 또한 상지와 마찬가지로 매우 복잡하고 세부적입니다. 하지는 보행, 균형 유지, 힘 발휘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를 지원하기 위해 여러 신경이 관여하고 있습니다. 주요 신경으로는 대퇴신경, 좌골신경, 비골신경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하지의 특정 근육군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하지 근육의 신경 분포에 대한 이해는 하지 근육 손상이나 마비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하지 근육의 신경 분포에 대한 지식은 수술이나 재활 치료 시 근육과 신경의 관계를 고려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하지 근육의 신경 분포에 대한 이해는 의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몸통 근육의 신경 분포몸통 근육의 신경 분포 또한 상지와 하지 근육의 신경 분포와 마찬가지로 매우 복잡하고 세부적입니다. 몸통은 다양한 움직임과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를 지원하기 위해 여러 신경이 관여하고 있습니다. 주요 신경으로는 척추신경, 늑간신경, 횡격막신경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몸통의 특정 근육군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몸통 근육의 신경 분포에 대한 이해는 몸통 근육 손상이나 마비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몸통 근육의 신경 분포에 대한 지식은 수술이나 재활 치료 시 근육과 신경의 관계를 고려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몸통 근육의 신경 분포에 대한 이해는 의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척수재활간호 7페이지
척수손상수준에 따른 재활사정척수손상1. 척수손상의 정의1)척수-중추신경계의 일부분, 많은 신경섬유로 구성-뇌와 신체의 다른 부분을 연결하는 통로-약 37cm의 길이-뇌기저부에서 등의 중앙을 따라 허리까지 위치2)척추-척추는 31개 마디의 뼈들로 구성-경추(7개), 흉추(12개), 요추(5개),천추(5개가 하나로 붙어있다), 미추로 구분-척추의 가운데로 척수가 지나가며, 척추에 의해 보호3)척수손상-사고나 질병에 의해 척추가 손상이 되면서 함께 척수가 손상되거나질병에 의해 척수가 손상되어 뇌와 신체 사이에 신경전달이상-손상부위 이하에...2022.10.03· 7페이지 -
성인간호학 CASE STUDY COPD A+ 자료 /문헌고찰, 대상자 사정, 검사결과 분석, 약물, 간호과정 2가지 39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만성폐쇄성폐질환: COPD)학교명과목명성인간호학 실습실습 기관실습 기간지도 교수님학번이름제출일목차1. 문헌고찰2. 일반적 사항3. 과거력4. 활동과 휴식1) 활동2) 수면3) 자가간호5. 산소욕구1) 순환2) 호흡6. 영양과 배설욕구1) 영양2) 배설3) 배뇨4) 배액5) 섭취량과 배설량 /day7. 안전과 안정욕구1) 피부통합성2) 동통3) 체온조절4) 감각 및 운동5) 감정6) 의사결정7) 지각과 인지8. 대상자 흐름도 작성...2023.01.04· 39페이지 -
성인간호학A+, MCA, 뇌경색, 뇌졸중 케이스, 간호진단3개(기도개방 유지불능, 피부손상 위험성, 자가간호 결핍) 19페이지
1. 문헌고찰1) 정의뇌신경세포는 혈액을 통한 산소공급과 포도당을 이용해서 살아간다. 그리하여 뇌의 어떤 부위에 혈류가 차단되어 지속되면 뇌경색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혈류차단이 10-20초 정도 경과하면 그 부위의 뇌의 전기활동이 중단되고, 3분이 지나면 뇌신경세포의 부종이 현저해지며 5-10분이 경과하면 뇌신경세포의 영양원인 포도당이 모두 고갈되어 뇌신경세포는 죽게 되어 뇌경색에 이르게 된다. 뇌신경세포는 재생이 되지 않아 뇌경색에 이르면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반드시 후유장해를 남기게 된다.2) 원인뇌경색이 생기는 위험인자는 고...2024.03.17· 19페이지 -
응급실ER실습 tibia fx. 골절 케이스 case 스터디 11페이지
1. 서론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응급실 실습 앞에 수술실에서 실습을 했다. 그 때 내가 공부한 수술은 OR/IF OS 환자이다. 내가 직접 소독간호사로 투입되어 OS과장님과 함께 수술을 진행했던 것이 ‘골절’이라는 질병을 선택하게 된 가장 큰 계기가 됐다. 응급처치부터 수술까지의 과정을 공부하며 골절에 대한 내용을 잘 정리하고자 한다.2. 질병 연구골절은 외부적 힘에 의하여 골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이다. 골절로 인한 손상의 범위는 경미한 근염좌에서 부터 심한 골절로 인해 불구를 야기하는 것까지 다양하다. 골절의 원인은 자동...2020.10.26· 11페이지 -
A+파킨슨병 케이스 스터디 80페이지
Parkinson's diseaseCASE STUDY과 목 명지도교수님제 출 일학과/학반조/학번/이름목차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Ⅱ 본론1. 이론적 고찰(1) 신경계의 정의(2) 파킨슨병의 정의(3) 파킨슨병의 병태생리(4) 파킨슨병의 원인(5) 파킨슨병의 증상 및 징후(6) 파킨슨병의 진단(7) 파킨슨병의 치료(8) 파킨슨병의 간호2. 사정도구(1) 간호력(2) 신체 검진&약물(3) problem list(4)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의 적용(5) 회상요법Ⅲ 결론느낀 점Ⅳ 참고문헌I. 서 론(1) 연구의 필요성파킨슨병은 치매, 뇌졸...2024.12.13· 8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