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03개
-
아동간호학 실습 사전학습(신생아실 및 신생아중환자실, 소아청소년과병동, 소아중환자실)2025.01.131. 신생아 분류 신생아는 크기와 재태연령에 따라 저체중출생아, 극소저체중출생아, 초극소저체중출생아, 적정체중아, 부당경량아, 자궁 내 성장지연아, 부당중량아 등으로 분류된다. 재태연령에 따라서는 미숙아, 만삭아, 후기미숙아, 과숙아로 구분된다. 또한 사망률에 따라 생존출생, 태아 사망, 신생아 사망, 주산기 사망률로 나뉜다. 2. 신생아/고위험 신생아 관련 용어 신생아와 고위험 신생아와 관련된 다양한 의학용어들이 설명되어 있다. 재생불량성 빈혈, 천식, 말단청색증, 인공영양, 대천문, 무호흡, 말단비대증, 자폐증, 바빈스키 반사,...2025.01.13
-
소아과 병동 간호사의 72시간 실습 경험과 역할 분석2025.11.121. 소아과 병동 구조 및 특성 의료기관의 소아과 병동은 13층 소아 일반 병동, 14층 소아암 병동, 3층의 수술간호팀과 소아 중환자실, 6층 신생아중환자실로 구성되어 있다. 135병동은 심장이나 폐 질환을 가진 아이들이 주로 입원하는 곳으로, 간호사가 많이 배치되어 있는 병동이다. 각 층별로 다양한 소아 환자들을 전문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중환자실과 일반 병동이 함께 운영되고 있다. 2. 간호사의 업무 특성 및 역할 소아과 병동의 간호사는 환자 간호, EMR 기록, 의료 처치 등 다양한 업무를 동시에 수행한다. 박 간호사의 사...2025.11.12
-
소아 개심술 환아의 구강간호 효과 비교 연구2025.11.161.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VAP) 개심술 환아는 수술 중 인공심폐기 사용 후 중심 정맥관, 동맥도관, 흉관 삽입과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아 폐렴 발생 위험이 높음. 성인 중환자실에서 10~50%, 소아 중환자실에서 5~10% 빈도로 발생하며, 특히 2~12개월 영아에게 호발함. 원인균은 녹농균 등 그람음성간균이 흔하며, 소아는 커프 없는 기관내관 사용으로 구인두 분비물 흡인이 용이하고 체외순환으로 저항력이 떨어져 호흡기 감염에 더 취약함. 2. 구강간호 중재 중환자의 구강감염 합병증 감소와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에 필수적인 역할...2025.11.16
-
중환아간호: 특성, 접근방법 및 간호관리2025.11.161. 중환아 간호단위의 특성 중환아 간호단위는 고도의 지식과 현대적 기구 및 장비를 활용하여 환아의 생명을 유지하고 회복을 돕는 특수한 전문영역이다. 환아는 입원 초기 무의식 상태이지만 회복되면서 소음, 통증, 낯선 환경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영유아는 부모와의 분리로 불안해하며, 의식 있는 환아는 수면장애와 감각자극 과잉으로 감각일탈 문제를 겪는다. 장기 입원 환아는 지남력 상실 위험이 있으므로 친숙한 물품과 환경 자극 조절이 필요하다. 2. 중환아 가족에 대한 스트레스 요인 및 간호 중환아 입원으로 가족의 일상생활이 붕괴...2025.11.16
-
폐렴(Pneumonia) 케이스2025.01.111. 폐렴 5살 히스패닉 여아 Sabina vasquez는 천식 과거력이 있으며, 최근 며칠간 상기도 감염 증상이 있었고 당일 아침 39°C의 고열이 나서 보호자(어머니)와 함께 응급실에 내원하였습니다. 응급실에서 폐렴 진단을 받고 산소요법, 수액요법, 항생제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대상자의 호흡곤란, 고체온, 급성통증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력징후 및 검사 결과 모니터링, 적절한 자세 유지, 휴식 제공, 산소요법 및 약물 투여, 교육 등의 간호중재를 수행하였습니다. 2. 천식 대상자는 3년 전 천식 진단을 받고 약물 치료를 ...2025.01.11
-
간호관리학 질향상 논문 5개 요약 및 분석2025.11.141. 응급실 흉통 환자의 심전도 촬영 시간 단축 응급벨 제도를 도입하여 흉통 환자의 심전도 촬영 소요 시간을 단축하는 질향상 활동. 자가로 내원한 흉통 환자가 응급벨을 누르면 중증도 분류를 거치지 않고 직접 심전도 촬영을 진행. 제도 시행 후 심전도 촬영 시간이 8분에서 5분으로 단축되었고, 10분 이내 촬영 비율이 53.8%에서 89.5%로 증가. ST분절 상승 심근경색 환자의 신속한 진단과 치료로 환자 생명 구조에 기여. 2. 뇌졸중 환자 간호의 NIHSS 활용 전략 NIHSS(National Institutes of Healt...2025.11.14
-
응급간호실습 현장실습일지(4일치)2025.01.241. KTAS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 KTAS는 다섯 가지 단계로 나뉘며, 환자의 활력징후, 통증, 의식수준 등 객관적인 지표와 문진 내용을 바탕으로 적절한 단계를 결정한다. KTAS 1, 2단계라고 판단될 때는 전산 입력보다 환자부터 바로 소생구역 혹은 Acute zone으로 옮긴 후 응급처치를 먼저 시행한다. 2. 응급실 내 격리 지침 응급실에서는 감염성 질환에 대한 선별검사를 우선적으로 시행하며, 문진상 격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경험적 선제격리를 할 수 있다. 표...2025.01.24
-
수술을 위한 마취의 이해2025.05.131. 수술 전 준비 수술이 결정되면 혈액 검사, 흉부 X-ray, CT, MRI 촬영 등 수술에 필요한 검사를 하며, 수술 전에 환자와 보호자는 의료진에게 합병증이나 마취과정에 필요한 비급여 진료, 장비 사용 등에 대한 설명을 듣고 마취동의서를 작성합니다. 입원 후에는 수액 주입, 항생제 피부 반응 검사, 금식 등의 준비를 합니다. 2. 수술실 환경 수술실은 감염 예방을 위해 적정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고 청정한 공기를 위해 환기에 신경을 씁니다. 수술 침대는 좁기 때문에 낙상 예방을 위해 무릎 지지대로 환자의 다리를 고정합니다. 3...2025.05.13
-
[아동간호이슈 보고서] 취약한 응급의료체계 보고서-아동간호학 과제2025.05.011. 취약한 소아응급의료체계 최근 성인 환자 중심의 코로나19 정책으로 인해 소아응급의료체계의 취약성이 두드러졌다. 소아응급의료체계의 부족은 이전부터 줄곧 제기되어 왔지만, 성인을 중심으로 코로나19 정책이 운용되면서 더욱 심화되었다. 소아응급의료체계가 부족한 이유는 첫 번째, 소아 진료 인력의 부족이다. 저출산과 적자로 인해 소아청소년과에 지원률이 27%로 줄어들면서 인력난이 발생하였다. 두 번째 이유는 필요한 비용 대비 낮은 수가이다. 세 번째 이유는 수도권과 3차 의료기관 중심의 쏠림현상이다. 2. 관련 정책 현황 소아환자응급...2025.05.01
-
구급차 뺑뺑이 사건을 통해 본 응급의료법 및 응급의료체계 개선 필요성2025.05.091. 구급차 뺑뺑이 사건 최근 한밤에 교통사고로 다친 70대 남성이 응급실 병상이 없어 구급차를 타고 2시간을 헤매다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른바 뺑뻉이 사건이 다시 한번 발생한 것이다. 경찰과 소방 등에 따르면 도로에서 50대 B씨가 운전하던 그랜저 차량이 후진 중 도로 갓길에 있던 70대 A씨를 덮쳐 A씨가 크게 다쳤다. 119 신고 접수 후 약 10분 만에 현장에 도착한 구급대는 복강 內 출혈이 의심되는 A씨를 이송할 병원을 백방으로 찾았다. 그러나 인근 대학병원으로부터 응급실 병상이 없어 수용이 不可하다는 답변을 받았고 ...202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