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1개
-
심폐소생술2025.01.161. 심폐소생술 정의 심폐소생술이란 심장과 폐의 활동이 갑자기 멈추어 숨을 쉬지 않는 사람에게 인공적으로 호흡을 불어넣고 흉부를 압박하여 산소가포함된 혈액을 뇌로 보내주는 응급처치이다. 2. 심폐소생술의 중요성 심장마비를 목격한 사람이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게 되면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심장마비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확률이 3배 이상 높아집니다. 또한, 심폐소생술을 효과적으로 시행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심장마비 환자의 생존율이 3배 가량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3. 심폐소생술의 법적인 측면 응급...2025.01.16
-
응급과재해간호 심폐소생술종류 및 개념정리2025.01.211. 기본소생술 기본소생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현장 안전과 반응 확인, 응급의료체계 신고, 호흡 확인, 가슴압박, 기도유지 및 인공호흡, 자동제세동기 사용 방법 등을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2. 기도폐쇄 이물에 의한 기도폐쇄의 확인 방법과 치료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가벼운 기도폐쇄와 심각한 기도폐쇄의 구분, 등 두드리기와 복부 밀어내기 등의 응급처치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3. 소아 및 영아 기본소생술 소아와 영아에 대한 기본소생술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현장 안전과 반응 확인, 응급의료체계 신고, 호흡...2025.01.21
-
제세동기의 사용목적 및 방법2025.01.221. 제세동기의 사용목적 제세동기의 목적은 심실세동 및 비정상적인 심박동을 정상리듬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전기 충격은 심근을 탈분극시켜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을 종결시키고 정상적인 전기적 활동을 하게 한다. 2. 자동 제세동기의 사용방법 자동 제세동기는 반응과 정상적인 호흡이 없는 심정지 환자에게만 사용해야 하며, 심폐소생술 시행 중에 자동 제세동기가 도착하면 즉시 적용해야 한다. 전원 켜기, 두 개의 패드 부착, 심장리듬 분석, 심장충격(제세동) 시행, 즉시 심폐소생술 다시 시행 등의 순서로 사용한다. 3. 제세동기 사용 시 주의...2025.01.22
-
A+ 강추! 심폐소생술 및 기도 폐쇄에 대한 레포트2025.01.271. 심폐소생술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환자에서 멈추어진 심장의 자발 순환을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응급 처치 과정이다. 신속하고 정확한 심폐소생술에 따라 환자의 생존율이 결정되므로 제대로 된 학습이 중요하다. 심폐소생술은 기본소생술과 전문 심장 소생술로 나눌 수 있다. 기본 소생술은 현장에서 의료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심정지 확인, 119신고, 가슴 압박, 기도열기, 인공호흡과 같은 응급 처치를 시행하는 초기 단계이며, 전문 심장 소생술은 병원에 도착한 이후 의료진에 의해 실시되는 전문 응급처치이다. 2. 기도 폐쇄 기도 폐쇄는 이물질이 ...2025.01.27
-
심폐소생술2025.01.091. 심폐소생술의 정의 심폐소생술이란 심장과 폐의 활동이 갑자기 멈추었을 때 실시하는 응급조치로서 심장마비가 발생하였을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이다. 이러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목적은 심정지 환자의 멈추어진 심장의 자발순환을 회복시켜 환자의 사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2. 심폐소생술의 유형 심폐소생술에는 기본 소생술(BLS: Basic life support)과 전문 심장 소생술(ACLS:Advanced cardiac life support)이 있다. 기본 소생술은 심정지 환자를 발견한 사람이 현장에서 ...2025.01.09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도움 및 제세동기 요청2025.05.101. 도움 및 제세동기 요청 반응이 없으면서,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적인 호흡 (심정지 호흡)을 하는 사람을 발견했다면, 즉시 119에 신고한다. 심정지 환자를 목격한 경우에는 주변에 큰 소리로 구조를 요청하여 다른 사람에게 119에 신고하도록 하는 등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주변에 아무도 없는 경우에는 직접 119에 신고한다. 호흡반응을 확인할 때는 숨을 쉬고 있는지 호흡이 정상인지 비정상적인 호흡 (심정지 호흡:gasping)인지 확인 한다. 2. 전화우선(call first) 나이에 관계없이 전화우선(call first...2025.05.10
-
응급구조사 국시준비 모의고사 2교시(각론)2025.05.121. 빈맥 환자의 아데노신 투여 빈맥 환자에서 아데노신을 투여할 때 반드시 준비해야 하는 물품은 제세동기, 수액 물품, 혈압계 등이다. 아데노신은 빈맥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2. 전기심장율동전환 에너지 전기심장율동전환을 위한 에너지의 양은 120~200J가 적절하다. 이는 심실세동이나 무맥성 심실빈맥 환자의 치료에 사용된다. 3. 저체온 환자의 이송 자세 저체온 환자를 이송할 때는 머리가 심장보다 낮은 자세가 적절하다. 이는 저체온 환자의 혈류 개선을 위해 중요하다. 4. 익수 환자의 경추보호대 착용 익수 환자에서 경추...2025.05.12
-
일상생활 속 응급처치 - 심폐소생술 CPR에 대해 조사2025.04.291. CPR(심폐소생술)이란 CPR(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은 갑작스런 심장마비나 사고로 인해 폐와 심장의 활동이 멈춘 상황에서 실시하는 기술로, 호흡과 혈액순환을 보조하기 위한 활동을 의미합니다. CPR은 4-5분 이내에 시행해야 효과적이며, 정확한 방법으로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영유아의 심폐소생술 영유아의 경우 성인과 달리 흉부압박 방법이 다릅니다. 영아(1세 미만)는 2-3개의 손가락으로 압박하며, 압박 깊이는 가슴 깊이의 1/2-1/3입니다. 소아(1-8세)는 몸집을 확인하여 성인과 ...2025.04.29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장비사용법(NBP,PT M등)2025.05.111. patient monitor patient monitor는 환자의 상태(심전도, 심박/맥박, 산소포화도, 체온 등)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사용방법으로는 electrode 부착 위치, NIBP 측정 방법, 장비의 기능(전원, NIBP start/stop, 알람 일시 정지, 메인 화면, 트렌드, 출력, 환자 정보 입력, 화면 배열 변경, 화면 밝기 조절, 서비스 모드, 전체 알람 설정값 변경, 배터리 잔량 표시, AC 전원 표시) 등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2. NIBP NIBP는 환자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사...2025.05.11
-
심폐소생술 수업자료 ppt2025.05.151. 심폐소생술 (CPR)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환자에서 멈추어진 심장의 자발순환을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응급처치 과정입니다. 성인, 소아, 영아에 따라 심폐소생술 시행방법이 다릅니다. 심폐소생술에는 기본 소생술과 전문 심장 소생술이 있습니다. 심폐소생술이 미흡하면 선진국보다 생존 및 뇌기능 회복률이 낮아, 100명 중 5명만 살아서 나온다고 합니다. 심폐소생술의 골든타임은 4분이며, 이 시간 내에 신속한 처치가 필요합니다. 2. 심폐소생술 순서 심폐소생술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의식확인 및 도움요청 2) 119 신고 및 자동...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