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9개
-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해 보시오2025.01.231.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 동사는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품사로 주어에 대한 서술어 기능을 하며, 과거시제와 비과거시제를 구분하여 사용한다. 형용사는 사람이나 사물의 성질, 상태, 존재를 표현하는 품사로 동사와 비슷하지만 의미상, 분포상, 형태상의 차이가 있다. 동사는 명령법, 청유법 등을 만들 수 있지만 형용사는 불가능하며, 동사는 현재시제 선어말어미 '-는-', '-ㄴ-'이 결합할 수 있지만 형용사는 불가능하다. 또한 동사는 관형사형 전성어미 '-는-'이 사용될 수 있지만 형용사는 불가능하다. 이처럼 동사와...2025.01.23
-
한국어와 몽골어의 시제 종결어미의 공통점과 차이점2025.01.031. 한국어의 시제 종결어미 한국어의 시제 종결어미는 과거, 현재, 미래 시제로 나뉩니다. 과거 시제는 '-었-/-았-', '-었었-/-았었-', '-였-'을 사용하고, 현재 시제는 '-는-'/'-ㄴ-'을 사용하며, 미래 시제는 '-겠-', '-(으)ㄹ 것이다.'를 사용합니다. 이처럼 한국어는 3분법을 사용하여 시제를 표현합니다. 2. 몽골어의 시제 종결어미 몽골어의 시제 종결어미는 과거 시제와 비과거 시제로 나뉩니다. 과거 시제에는 лаа⁴, в, жээ², сан⁴ 4가지가 있으며, 이형태가 존재합니다. 비과거 시제에는 на⁴가...2025.01.03
-
한국어 경어법 체계에 대해 설명하고 다양한 높임법 사용을 예를 들어 서술하시오2025.05.061. 한국어 경어법 체계 한국어에서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경어법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경어법은 주로 높임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자신이나 다른 사람, 그리고 대상을 높여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한국 문화에서 중요한 부분이며, 대화나 글쓰기에서 적절한 경어법 사용이 매우 중요합니다. 2. 주체 높임법 주체 높임법은 자신을 높여 표현하는 경어법입니다. 이는 한국 문화에서 자기 존중감과 존경심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주체 높임법은 주로 존댓말로 사용되며, 비지니스나 공식적인 자리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3. 객체 높임법 객...2025.05.06
-
국문학과 교재 요약_국어문법론(1과~7과)2025.04.281. 언어와 국어 언어는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로서 인간 사회생활과 문화 창조, 발전, 계승을 가능하게 한다. 한국어는 약 8천만 명이 사용하는 문자를 갖춘 언어 중 하나이며, 사람이 말하는 것은 선천적으로 물려받은 기능이다. 언어는 말소리(음성)와 뜻(의미)의 두 층위로 구성되며, 말소리와 의미 사이의 관계는 자의적이다. 언어에는 자의성, 도상성, 공통점 등의 특징이 있다. 2. 문법 문법은 언어 속에 내재한 규칙과 질서를 기술한 것으로, 규범 문법과 학문 문법으로 구분된다. 국어의 특징으로는 형태적 특징(교착어, 파생, 활용)과 ...2025.04.28
-
한국어 경어법(높임법)의 체계와 혼란의 원인2025.05.101. 한국어 경어법의 체계 한국어 경어법은 주체 높임, 상대 높임, 객체 높임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체 높임은 행위자를 높이는 방법으로 선어말어미 '-시-'나 조사 '께서'를 사용합니다. 상대 높임은 청자를 높이는 방법으로 격식체와 비격식체가 있습니다. 객체 높임은 화제 속의 대상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경어법의 체계를 통해 한국어 사용자들은 상호간의 존경과 예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2. 주체 높임과 상대 높임의 혼동 경어법에서 주체 높임과 상대 높임의 혼동은 종종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격식체와...2025.05.10
-
한국어 경어법의 분류와 특징2025.01.041. 한국어 경어법의 분류 한국어 경어법은 높임 대상과 높임 형식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높임 대상은 주체 경어법, 객체 경어법, 상대 경어법으로 나뉘며, 높임 형식은 격조사, 선어말어미, 종결어미, 특수 어휘 등으로 실현된다. 주체 경어법은 행동의 주체를 높이고, 객체 경어법은 행동의 대상을 높이며, 상대 경어법은 화자와 청자의 관계를 고려한다. 2. 한국어 경어법의 특징 한국어 경어법은 적절하게 사용하면 타인과의 관계 맺음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하지만 경어법 사용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상황 맥락에 의존하는 바가 크기...2025.01.04
-
한국어에서 문장을 확대하는 방식과 어미 및 전성어미의 기능2025.04.251. 문장의 확대 한국어에서 문장을 확대하는 방식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문장들이 서로 나란히 이어지는 이어진 문장이고, 둘째는 한 문장이 다른 문장을 포함하는 안은문장이다. 이를 통해 사건의 앞뒤 관계나 인과관계 등 복합적인 내용을 표현할 수 있다. 2. 어미 어미는 한국어의 중요한 문법 요소로, 시제나 상태 등을 표시한다. 어미는 사용 위치에 따라 어말어미와 선어말어미로 구분되며, 기능에 따라 연결어미, 종결어미, 전성어미로 나뉜다. 전성어미는 다시 명사형, 관형사형, 부사형으로 세분화된다. 3. 내포절 한국어의 내포...2025.04.25
-
한국어교원 레포트 _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교육론2025.01.111. '-느라고'의 의미· 형태통사· 화용· 관련어 정보 및 활동 교수방법 '-느라고'는 앞 절의 사태가 뒤에 이어지는 절의 사태에 의도 및 목적, 원인 혹은 이유가 됨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이다. 즉, 이는 선행절에서의 시간 및 노력이 후행절의 행위 혹은 상태에 영향을 주는 것을 나타낸다. '-느라'와 '-고'를 결합하여 형성된 연결어미로서, 동작동사 가운데 시간을 필요로 하는 동사와만 붙여서 쓰인다. '-느라고'는 후행절에 명령형이나 청유형이 오는 경우 사용되지 않는다. 더불어 시상을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와는 결합하지 않는다는 특징...2025.01.11
-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형태통사·화용·관련어 정보를2025.05.151. '-느라고'의 의미· 형태통사· 화용· 관련어 정보 및 활동 교수방법 '-느라고'는 앞 절의 사태가 뒤에 이어지는 절의 사태에 의도 및 목적, 원인 혹은 이유가 됨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이다. 즉, 이는 선행절에서의 시간 및 노력이 후행절의 행위 혹은 상태에 영향을 주는 것을 나타낸다. '-느라'와 '-고'를 결합하여 형성된 연결어미로서, 동작동사 가운데 시간을 필요로 하는 동사와만 붙여서 쓰인다. '-느라고'는 후행절에 명령형이나 청유형이 오는 경우 사용되지 않는다. 더불어 시상을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와는 결합하지 않는다는 특징...2025.05.15
-
높임 표현 설명 및 예시 조사(주체 높임, 객체 높임, 상대 높임)2025.01.161. 주체 높임 주체 높임은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표현으로, 보통 선어말어미 '-시-'를 사용한다. 즉, 말하는 사람이 문장에서 언급하는 주체에 대해 존경의 의미를 부여하는 표현법이다. 주체 높임의 예로는, '아버지께서 회사에 가셨다(가시었다).' 또는 '할머니께서 진지를 잡수신다.'와 같이 문장에서 주체인 '아버지'와 '할머니'를 높임 표현으로 존중하고 있다. 2. 객체 높임 객체 높임은 말하는 이가 문장의 객체, 즉 목적어나 부사어가 가리키는 대상을 높이는 표현법이다. '드리다', '모시다', '여쭙다' 등의 특수한 어휘나 부사...2025.01.16
